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05.13 화요일
흐림
서울 25˚C
흐림
부산 23˚C
흐림
대구 27˚C
흐림
인천 23˚C
흐림
광주 23˚C
흐림
대전 24˚C
흐림
울산 25˚C
흐림
강릉 25˚C
흐림
제주 22˚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NHN 1분기'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1
건
NHN, 1분기 영업이익 276억원…전년 동기 대비 1.3%↑
[이코노믹데일리] 엔에이치엔(NHN)이 올해 1분기 연결 기준 매출 6001억원, 영업이익 276억원을 기록했다고 13일 밝혔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0.7% 줄었으나 영업이익은 같은 기간 1.3% 늘며 수익성 개선의 청신호를 켰다. 부문별로 살펴보면 게임 사업은 웹보드 게임의 선전과 모바일 게임의 꾸준한 성과로 전 분기 대비 0.5% 증가한 1196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특히 ‘한게임포커’ 시리즈의 호조로 웹보드 게임 매출이 전년 같은 기간보다 7% 성장했으며 일본 시장에서는 ‘라인디즈니 츠무츠무’와 ‘요괴워치 뿌니뿌니’가 견조한 실적을 이어갔다. 결제 부문은 NHN페이코의 기업 간 거래(B2B) 사업 성장과 NHN KCP의 국내외 가맹점 거래액 증가에 힘입어 전년 동기 대비 4.2% 증가한 2903억원의 매출을 달성했다. 페이코 기업복지솔루션은 거래액이 전년 동기 대비 24% 상승하며 성장세를 주도했다. 기술 부문 매출은 105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1.0% 성장했다. NHN클라우드는 공공 부문 매출의 지난해 4분기 집중 현상에 따른 기저효과가 있었으나 협업도구 NHN두레이가 공공 및 금융 분야 신규 고객 확대로 전년 동기 대비 37%의 매출 증가를 보이며 성장 가능성을 입증했다. NHN은 향후 게임 사업에서 주요 신작들을 성공적으로 선보이는 데 주력할 계획이다. 좀비 아포칼립스 세계관의 오픈월드 슈팅 게임 ‘다키스트데이즈’는 이용자 피드백을 반영해 오는 6월 정식 출시를 앞두고 있다. 서브컬처 수집형 역할수행게임(RPG) ‘어비스디아’는 3분기 일본 출시를 목표로 사전예약을 진행 중이며 인기 지식재산권(IP) ‘최애의 아이’를 활용한 퍼즐 신작 ‘프로젝트 STAR’도 하반기 일본 시장 공략을 준비하고 있다. 더불어 NHN페이코는 수익성이 낮은 서비스를 정리하고 핵심 사업에 역량을 집중하며 손실 규모를 전 분기 대비 약 33% 줄였다. NHN클라우드는 최근 출시한 ‘클라우드스테이션’을 필두로 공공 및 민간 클라우드 시장 수요에 적극 대응하고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구센터 추가 상면 확보를 통해 공공 클라우드 네이티브 전환 사업 수주에 총력을 기울일 예정이다. NHN두레이는 우리금융그룹 도입을 발판 삼아 금융 시장 점유율 확대에 나선다. 정우진 NHN 대표는 “NHN은 게임, 결제, 기술 등의 핵심 사업 부문을 중심으로 향후 지속적인 경영효율화를 통해 더욱 견고한 사업기반을 구축해 나갈 것”이라며 “보다 가시적인 손익 개선과 기업가치 제고를 최우선 순위로 두고 전사 역량을 집중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2025-05-13 08:13:25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SKT, 유심 인증키 미암호화 논란…SK쉴더스 前 부회장 사임 맞물려 파장
2
[이번 주 美 주요 일정] CPI·파월 연설…기업 실적 발표로 시장 변동성 예상
3
SKT, '유심 복제' 막는 '유심 재설정' 내일 전격 도입…"유심 교체와 보안 효과 동일"(종합)
4
SKT 이어 CJ까지…CJ올리브네트웍스 인증서도 해킹… 악성코드 유포에 악용
5
불황에 재무부담 커진 에쓰오일...'샤힌 프로젝트' 감당 가능할까
6
NH투자증권, 지난해 소송 리스크 '최다'…3984억원 규모 70건 진행 중
7
[도전인가 무리수인가] ① 롯데칠성음료는 왜 빅썸바이오를 인수했나
8
[김인규의 기분상승] 26조원 체코 원전 수주 행방은 어떻게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데스크 칼럼] '흥국'에 드리운 복귀의 망령…'금융 농락' 이호진 전 회장에게 경영을 또 맡기겠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