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04.07 월요일
맑음
서울 14˚C
맑음
부산 14˚C
맑음
대구 14˚C
흐림
인천 13˚C
흐림
광주 10˚C
흐림
대전 11˚C
흐림
울산 11˚C
흐림
강릉 15˚C
맑음
제주 13˚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QNED'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2
건
삼성·LG, AI TV 경쟁 본격화…"중국 견제하며 외수 공략해야"
LG전자, AI·화질 다 잡은 올레드·QNED TV로 프리미엄 시장 리더십 확장 [사진=LG전자] [이코노믹데일리] 인공지능(AI) 기술을 탑재한 TV가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떠올랐다. 삼성전자와 LG전자는 AI TV 신제품을 잇따라 출시하며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AI TV 시장 수요는 충분하며 중국 시장을 견제하면서 외수 중심의 전략을 펴야 한다고 전망한다. 삼성전자는 12일부터 Neo QLED·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사전 판매를 시작한다고 11일 밝혔다. 스마트 홈 기능을 강화해 사용자의 생활 패턴과 기기 사용 이력 등을 확인할 수 있는 홈 인사이트, 집안 이상 움직임을 감지하는 홈 모니터링 등 기능을 탑재했다. 이번 신제품인 Neo QLED 일부 모델과 OLED(SF95)에는 빛 반사를 크게 줄여주는 눈부심 방지 기술을 적용했다. 또한 클릭 투 서치 기능을 통해 시청 중인 콘텐츠와 유사한 프로그램을 추천하며 실시간 번역 등 기능도 지원한다. LG전자도 이날 서울 강서구 LG사이언스파크에서 '2025 LG 올레드·QNED TV 신제품 브리핑'을 열고 신제품을 공개했다. LG 올레드·QNED TV는 리모컨에 AI 전용 버튼을 탑재해 AI 접근성을 향상했으며 TV가 꺼져 있는 상태에서도 고객이 AI 버튼으로 TV를 켜면 시청 환경을 분석해 검색 키워드와 시청 프로그램 등을 추천하는 등 초개인화 경험을 제공했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AI TV 수요 전망은 좋을 것이라고 내다보며 외수에 집중하라고 입을 모았다. 시장조사기관 베리파이드 마켓 리포츠 'AI TV 시장' 리포트에 따르면 AI TV 시장 규모는 지난 2022년 12조3930억원에서 2030년까지 41조8532억원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연평균 성장률(CAGR)은 16.8%에 달하며 북미와 유럽, 아시아 태평양 지역이 주요 성장 동력으로 꼽히고 있다. 또한 글로벌 그로우스 인사이트에 따르면 "미국은 글로벌 스마트 TV 수요 40% 이상을 차지하고 있고 중동과 아프리카 지역에서의 스마트 TV 점유율은 매년 60% 증가하는 등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LG는 OLED TV 출하량 기준으로 글로벌 점유율 52.4%를 기록하며 12년 연속 1위를 유지하고 있다. 서용구 숙명여대 경영학부 교수는 "초격차 기술이 탑재됐다면 시장 수요는 충분히 있으며 이같은 프리미엄TV는 미국이나 중동 등 외수에 초점을 두는 것도 좋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중국 제품에 대한 보안성 문제를 계속 거론하는 등 전략을 펼쳐 미국, 중동과 같이 스마트 TV 수요가 많은 프리미엄 시장을 노려야한다"고 제언했다.
2025-03-11 18:12:58
LG전자, CES 2025서 'LG 올레드 에보' 공개
[이코노믹데일리] LG전자가 세계 최대 가전·정보기술(IT) 박람회 'CES 2025'에서 2025년형 ‘LG 올레드 에버’를 공개한다고 6일 밝혔다. 2025년형 LG 올레드 에보에는 디스플레이 알고리즘과 유기 화합물 적층 구조를 바꾼 새로운 밝기 향상 기술이 적용됐다. 최대 밝기가 일반 올레드 TV 대비 3배에 이른다. LG전자가 개발한 업계 유일 올레드 전용 화질·음질 인공지능(AI) 프로세서 ‘알파11’은 올레드 에보의 화질과 음질을 한층 강화했다. 또 2025년형 LG 올레드 TV는 업계 최초로 4K 콘텐츠를 최대 165㎐ 가변주사율로 표현한다. 특히 엔비디아의 ‘지싱크 호환(G-SYNC compatible)’과 AMD의 ‘프리싱크 프리미엄’ 등 그래픽 기술을 적용해 화면 전환이 빠른 게임도 부드럽게 보여준다. 게임뿐만 아니라 영화 마니아를 위한 기능도 선보인다. 2025년형 LG 올레드 에보에 탑재된 ‘필름메이커 엠비언트 라이트 모드’는 영화 제작자의 원래 의도가 정확히 전달되도록 시청 환경의 조명 세기 등을 분석해 밝기와 화질을 자동으로 조정한다. LG전자는 올해 프리미엄 액정표시장치(LCD) TV ‘LG QNED 에보’로도 확대한다. 이로써 TV 화면 주변에 전원 외 모든 연결선이 없어진다. 박형세 LG전자 MS사업본부장 사장은 “LG 올레드 TV는 지난 2013년 첫 등장 이후 세상에 없던 자발광 시청 경험을 선보이며 프리미엄 TV의 기준으로 자리매김해 왔다”며 “2025년형 LG 올레드 에보는 더 선명해진 화면과 더 똑똑해진 AI 기반 webOS 플랫폼을 앞세워 전 세계 고객에게 몰입감 넘치는 시청 경험을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2025-01-06 15:21:36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태영건설, 순이익 431억원 기록... PF 구조조정은 여전히 부담
2
인천대공원 벚꽃축제 취소… 공원 관람은 가능
3
LG화학, 수익성 악화로 배터리 분리막 사업 구조조정 돌입 전망
4
키움증권, 개장 직후 MTS 거래 지연…이틀째 시스템 장애
5
네이버 쇼핑앱, 출시 첫 달 신규 설치 1위… '테무' 제쳤다
6
헌재, 오늘 윤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헌정 두 번째 파면 여부 결론
7
트럼프發 관세 폭탄에도 끄떡없는 K-엔터·콘텐츠株…'무풍지대' 위력 과시
8
[데스크칼럼] '정치' 없었던 윤석열의 정치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데스크칼럼] 공매도 재개 이후 외국인 투자자들의 대거 이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