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09.08 월요일
맑음
서울 24˚C
흐림
부산 26˚C
비
대구 23˚C
비
인천 25˚C
흐림
광주 24˚C
흐림
대전 24˚C
흐림
울산 24˚C
흐림
강릉 25˚C
흐림
제주 28˚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SQL/PGQ'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1
건
KAIST, 그래프-관계형 통합 DB '키마이라' 개발…성능 최대 280배 향상
[이코노믹데일리] 인공지능(AI) 시대의 핵심인 복잡한 데이터 관계를 기존보다 최대 280배 빠르게 처리할 수 있는 차세대 데이터베이스(DB) 시스템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KAIST는 전산학부 김민수 교수 연구팀이 기존의 관계형 DB와 그래프 DB를 완벽하게 통합한 새로운 DB 시스템 ‘키마이라(Chimera)’를 개발했다고 8일 밝혔다. 이 시스템은 AI 에이전트,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금융 사기 탐지 등 복잡하게 얽힌 정보를 분석하고 추론하는 데 획기적인 성능 향상을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최근 거대언어모델(LLM)을 활용한 AI 서비스가 확산되면서 사람, 사건, 장소 등 데이터 간의 복잡한 연결 관계를 효율적으로 분석하는 ‘그래프 DB’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기존 시스템은 표(테이블) 형태의 데이터를 다루는 ‘관계형 DB’와 그래프 DB가 분리돼 있어 ‘A의 친구 B가 다니는 회사의 동료 C가 구매한 제품은?’과 같은 복합적인 질문을 처리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연구팀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데이터 저장부터 처리까지 전 과정을 하나로 통합한 ‘키마이라’를 설계했다. 그래프 전용 저장소와 관계형 데이터 저장소를 함께 운영하는 ‘듀얼 스토어 구조’를 도입하고 그래프 탐색과 관계형 연산을 동시에 처리하는 새로운 ‘탐색-조인 연산자’를 개발했다. 그 결과 ‘키마이라’는 국제 성능 표준 벤치마크(LDBC SNB)에서 기존 시스템 대비 최소 4배에서 최대 280배 빠른 압도적인 질의 처리 성능을 기록하며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을 입증했다. 또한 데이터 규모가 커져도 메모리 부족으로 인한 실패가 없고 데이터 최신성도 보장하는 등 기존 기술의 한계를 완벽하게 극복했다. 김민수 KAIST 교수는 “데이터 간 연결 관계가 갈수록 복잡해지는 만큼 그래프와 관계형 DB를 아우르는 통합 기술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며 “Chimera는 이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한 기술로 앞으로 AI 에이전트, 금융, 전자상거래 등 다양한 산업에서 널리 쓰일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 성과는 세계 최고 권위의 데이터베이스 분야 국제학술대회 ‘VLDB’에서 발표됐으며 개발된 기술은 스타트업 ‘그래파이’의 차세대 DB 시스템 ‘AkasicDB’에 즉시 적용돼 산업 현장에 빠르게 확산될 전망이다.
2025-09-08 12:45:13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美법원, 구글 반독점 1심 최종 판결…"크롬 매각 불필요, 데이터는 공유해야"
2
정부, 부동산 대책 곧 발표… 보유세 강화는 제외
3
[단독] 업비트, '2025 LCK' 공식 후원…e스포츠 팬심 정조준
4
셀러 또다시 등 돌리나…티몬 재오픈 연기에 속타는 오아시스
5
인천공항사고로 드러난 공기업산재 실태… 이학재사장 책임론 확산
6
롯데건설 김해 현장서 또 사망사고…5년간 16명 숨졌다
7
삼성전자·LG전자, 로봇청소기 보안 이끌지만…국내 제도는 여전히 미비
8
[기자수첩] 생산적 금융과 밸류업 사이 딜레마…은행 자본은 어디로?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기자수첩] K-제조업이 보낸 SOS…'선언적 구호'냐 '정책 실행'이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