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총 654건
-
LG전자, 아마존과 와이파이 표준특허 계약…로열티 수익 확대
[이코노믹데일리] LG전자가 최근 글로벌 전자상거래 기업 아마존(Amazon)과 와이파이(Wi-Fi) 표준필수특허(SEPs) 사용권 관련 특허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다고 20일 밝혔다. 이번 계약으로 아마존은 AI 스피커 알렉사, 스트리밍 기기 아마존 파이어 TV 스틱, 파이어 태블릿, 등 와이파이 기술을 활용하는 기기에 LG전자의 와이파이 표준특허 기술을 사용할 수 있는 라이선스를 받게 됐다. 현재 LG전자는 아마존 외에도 와이파이 표준 기술을 사용하는 다수의 글로벌 기업들과 와이파이 표준필수특허에 대한 특허 라이선스 협상을 진행 중이다. 표준필수특허는 해당 기술을 사용하는 모든 제품이 반드시 준수해야 하는 국제 표준을 따르기 위해 필수적으로 사용해야 하는 핵심 특허를 의미한다. 해당 기술이 관련 산업의 국제 표준으로 채택되면 모든 기업들이 이를 기반으로 제품을 개발하게 돼 산업 전체의 발전을 도모하는 기술적 가치를 인정받는 의미가 있다. LG전자는 통신, 와이파이, 방송, 코덱 등 주요 표준 기술 분야에서 글로벌 최고 수준의 특허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있다. LG전자가 공시한 2025년 반기보고서에 따르면 올 상반기 기준 LG전자가 보유한 국내외 등록 특허는 9만7880건이며 이 가운데 절반가량이 표준특허에 해당한다. OLED TV, 세탁기, 냉장고 등 주력 제품에 적용한 혁신 특허 기술이 글로벌 시장에서 LG전자의 사업 경쟁력으로 이어지고 있다. LG전자는 6G 이동통신, 차량-사물간 통신(V2X), 인공지능(AI), 양자컴퓨팅 등 미래 유망기술 분야에서도 세계 최고 수준의 특허 경쟁력을 지속 창출해 간다는 계획이다. 자동차부품 사업에서는 지난해 차량용 AR(증강현실) 특허 기술력을 인정받아 특허청이 주관한 '2024 특허기술상'에서 차량용 AR 내비게이션 선행 특허로 대상인 세종대왕상을 수상했다. LG전자는 지난 2022년부터 회사 정관 내 사업 목적에 '특허 등 지적재산권의 라이선스업'을 추가하고 특허 경쟁력을 바탕으로 지적재산권 수익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 조휘재 LG전자 IP센터장(부사장)은 "이번 계약은 글로벌 시장에서 LG전자의 와이파이 표준 특허 기술력을 입증받은 성과"라며 "앞으로도 세계 최고 수준의 특허 경쟁력을 기반으로 글로벌 기술 혁신을 선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2025-11-20 13:43:27
-
-
-
-
캐딜락, SUV '에스컬레이드 IQ' 국내 출시… 2억7757만원부터
[이코노믹데일리] 캐딜락이 브랜드의 플래그십 SUV '에스컬레이드'를 순수 전기 모델로 재해석한 '에스컬레이드 IQ'를 국내 공식 출시한다고 19일 밝혔다. 오는 20일부터 판매를 시작하는 이번 모델은 지난 1998년 1세대 출시 이후 전 세계 100만대 이상 판매됐다. 에스컬레이드 IQ는 기존 모델의 헤리티지 요소를 계승하면서 전동화 기술과 풀사이즈 SUV의 특징을 더한 것으로 평가 받는다. 이번 모델은 전장 5715mm, 휠베이스 3460mm의 풀사이즈 SUV로 GM의 전기차 아키텍처 설계가 적용돼 넓은 실내 공간을 유지하면서 전면부에는 345리터 용량의 대형 e-트렁크가 탑재됐다. 외관은 미래지향적으로 재해석한 캐딜락의 시그니처 디자인을 적용했다. 수직형 LED 헤드램프, 블랙 크리스탈 실드, 일루미네이티드 캐딜락 크레스트가 전면을 장식하며 블레이드형 테일램프, 슬로핑 루프라인, 24인치 알로이 휠이 실루엣을 완성했다. 외장 색상은 총 6가지이며 일부 모델에는 투톤 루프가 적용된다. GM과 LG에너지솔루션 합작사 '얼티엄 셀즈'에서 생산한 205kWh 대용량 배터리를 탑재해 1회 충전 시 최대 739km 주행 가능하다. 800V 충전 시스템은 최대 350kW 충전을 지원하며 10분 충전으로 최대 188km 주행이 가능하다. 듀얼 모터 AWD 시스템은 최대 출력 750마력, 최대 토크 108.5kg·m를 성능이며 주행 효율과 안정성을 극대화하도록 전·후륜 구동력을 상황에 맞게 조절한다. 이번 모델에는 마그네틱 라이드 컨트롤 4.0과 에어 라이드 어댑티브 서스펜션이 적용돼 초당 최대 1000회 도로 상태를 감지하고 사륜 조향 시스템의 탑재로 저속에서는 좁은 도로에서 회전 반경을 최소화하고, 고속에서는 안정적인 차선 변경을 지원한다. '어라이벌 모드'는 차량을 대각선으로 주차할 수 있도록 해 도심 주차에 최적화됐다. 에스컬레이드 IQ에는 GM 핸즈프리 운전자 보조 시스템 '슈퍼크루즈'가 탑재됐다. 운전자가 전방 주시 상태에서 스티어링 휠에서 손을 떼고 주행 가능하다. 또한 캐딜락 온스타 서비스와 연동해 원격 시동, 배터리 상태 확인, OTA 업데이트 등 다양한 원격 제어 기능을 제공한다. 대시보드 전면을 가로지르는 55인치 커브드 LED 디스플레이와 파노라마 글라스 루프, LED 앰비언트 라이트가 장착됐고 플로팅 캔틸레버 콘솔과 내장형 냉장고 등 실용성과 디자인의 균형을 맞췄다. 또한 재활용 원사와 고급 소재를 활용해 지속 가능한 럭셔리 인테리어를 구현했다. 국내에서는 프리미엄 스포츠 단일 트림으로 출시되며 가격은 2억7757만원이다. 윤명옥 GM 한국사업장 전무는 "에스컬레이드 IQ는 전동화 시대에 맞춰 확장한 캐딜락의 핵심 모델"이라며 "국내 최초 풀사이즈 전기 SUV를 통해 브랜드가 지향하는 새로운 기준을 보여줄 것"이라고 말했다.
2025-11-19 17:27:35
-
-
-
-
-
-
-
-
-
-
중국 시장이 답이다
[이코노믹데일리] 한국 산업의 10대 수출 주력 업종이 모두 5년 뒤 중국에 뒤처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충격적인 결과다. 철강·디스플레이만이 아니다. 반도체·전기전자·선박 등 우리가 ‘전통적 강자’라고 믿어온 분야까지 중국이 한국을 앞설 수 있다는 분석이다. 한국 제조업의 경쟁력이 구조적으로 흔들리고 있다는 신호다. 지금까지의 방식으로는 더 이상 중국을 상대하기 어렵다는 자성의 목소리도 나온다. 그러나 해답은 역설적으로 분명하다. 중국 시장을 다시 읽고, 그 속에서 초격차를 확보해야 한다는 것이다. 중국과의 경쟁은 결국 중국을 이해할 때 풀린다. 최근 한국경제인협회가 매출 1000대 기업 중 200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한·미·일·중 경쟁력 현황 및 전망’ 조사 결과에 따르면 철강·일반기계·이차전지·디스플레이·자동차 및 부품 등 5개 업종은 이미 중국이 한국을 앞선 것으로 조사됐다. 반도체·전기전자·선박·석유화학·바이오헬스는 현재 한국 우위지만, 2030년이 되면 이들 분야마저 중국에 추월당할 수 있다는 전망이 기업 현장에서 나왔다. 응답 기업의 62.5%는 올해 한국의 1순위 수출 경쟁국으로 중국을 꼽았고, 2030년에는 68.5%로 더 높아졌다. 기업들은 한국의 경쟁력을 100으로 놓고 비교했을 때 중국의 현재 수준을 102.2로 평가했다. 2030년 전망치는 112.3이다. 미국과 비슷한 수준(112.9)까지 접근한다는 의미다. 이 수치는 단순한 설문 결과가 아니다. 한국이 직면한 구조적 위기, 그리고 압도적인 속도로 성장하는 중국 제조업의 현실을 정확히 반영한다. 더 심각한 신호는 브랜드 경쟁력이다. 그동안 한국은 기술과 품질뿐 아니라 ‘K’로 대표되는 독자 브랜드 가치로 차별화를 만들어왔다. 그러나 이번 조사에서 중국의 브랜드 경쟁력이 2030년이면 한국을 넘어설 것이라는 응답이 다수였다. 가격경쟁력(130.7→130.8), 생산성(120.8→123.8), 정부 지원(112.6→115.1), 전문인력(102.0→112.4), 핵심기술(101.8→111.4)뿐 아니라 브랜드(96.7→106.5)까지 모두 추월한다는 전망이다. 이미 중국은 ‘싼 제품’에서 ‘좋은 제품’으로 인식이 바뀌고 있고, 브랜드마저 추격하고 있다. 그렇다면 한국 기업은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 답은 단순한 기술 개발이 아니다. 중국과의 격차를 유지하려면 ‘중국을 이기는 기술’이 아니라 ‘중국 시장을 활용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중국을 경쟁국으로만 바라보는 시각에서 벗어나야 한다.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기술이 산업화되는 곳이 중국이며, 대규모 내수와 공급망이 결합된 이 시장은 한국 기업에게 위협이자 동시에 기회다. 삼성·SK·현대차·LG 등이 최근 800조원에 달하는 '통큰' 투자를 국내에 단행하기로 한 것은 단순히 미국과의 관세 협상 후속 조치가 아니다. 중국과의 기술 격차를 벌리기 위한 전략적 선택이다. 반도체 HBM, 전고체 배터리, AI 데이터센터, 로봇 등 차세대 산업에서 초격차를 확보하지 못하면 중국의 추격을 방어하기 어렵다는 위기감이 깔려 있다. 전문가들도 같은 진단을 내놓는다. KAIST 유회준 교수는 “기술을 산업화로 연결하는 능력이 중국의 가장 강력한 무기”라며 “양적·질적 투자가 초격차 유지의 유일한 방법”이라고 강조했다. 중국은 이미 제조·기술·정책이 일체화된 거대한 산업 플랫폼이다. 정부 지원 점수(112.6→115.1)가 상징하듯 정책적 속도가 다르고, 기술 채택과 상업화의 스케일도 한국과 비교할 수 없다. 한국 기업이 중국을 외면하면 결국 세계 시장을 일부 포기하는 결과가 된다. 중국 시장에서의 성패는 곧 글로벌 경쟁력으로 직결된다. 결국 우리는 선택의 기로에 서 있다. 중국을 두려움의 대상으로만 볼 것인가, 아니면 세계 최대의 산업 실험장으로 활용할 것인가. 중국 시장과의 전략적 결합은 한국 제조업이 초격차를 유지하는 데 필수적이다. 중국의 추격 속도가 빨라질수록, 우리는 더 깊이 더 정교하게 중국 시장 안으로 들어가야 한다. 중국 시장을 외면하면서 중국을 이기는 전략은 존재하지 않는다. 한국 제조업의 다음 10년은 중국과의 관계 설정에 달려 있다. 중국 시장이 답이다. 문제는 그 답을 우리 방식으로 다시 쓰는 용기와 전략이다.
2025-11-18 10:0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