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5 수요일
맑음 서울 9˚C
맑음 부산 14˚C
맑음 대구 11˚C
맑음 인천 13˚C
맑음 광주 11˚C
흐림 대전 11˚C
흐림 울산 13˚C
흐림 강릉 10˚C
흐림 제주 17˚C
산업

삼성전자, '북미·아시아'서 울고 '중남미'서 웃었다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고은서 기자
2024-01-10 14:38:34

삼성 가전·모바일, 중남미서 점유율 1위

가성비 전략 '通'…시장 성장 여력 '충분'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당시 부회장이 지난 2022년 광복절 특별사면으로 복권 후 첫 해외출장지로 중남미를 택했다 사진은 이재용 회장이 2022년 9월  삼성엔지니어링 멕시코 도스보카스 정유공장 건설 현장을 방문해 직원들을 격려하는 모습사진삼성전자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당시 부회장)이 지난 2022년 광복절 특별사면으로 복권 후 첫 해외 출장지로 중남미를 택했다. 사진은 이재용 회장이 2022년 9월 삼성엔지니어링 멕시코 도스보카스 정유공장 건설 현장을 방문해 직원들을 격려하는 모습[사진=삼성전자]
[이코노믹데일리] 삼성전자 가전·스마트폰 사업이 글로벌 시장에서 뚜렷한 양극화를 보이는 모습이다. 미국과 중국 등 거대 시장에서는 고전하는 반면 신흥 시장으로 떠오른 중남미에서 활약하면서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 가전 사업이 북미·아시아 등에서 영업이익률 2%대에 그치며 힘을 못쓰고 있다. 반면 중남미 지역은 유일하게 영업이익률 8%를 넘기며 굳건한 버팀목이 되어주고 있다. 

비단 가전 사업 뿐만 아니라 스마트폰 사업도 마찬가지다.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리서치가 공개한 데이터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삼성전자는 글로벌 시장 전체 스마트폰 출하량 중 시장 점유율 20%를 차지했다. 삼성전자의 지역별 점유율은 △중남미(35%) △유럽(32%) △북미(25%) )△중동·아프리카(22%) △아시아(12%)로 중남미 지역의 시장 점유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듯 중남미 지역은 삼성전자에 중요한 핵심 거점이 되고 있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당시 부회장) 역시 지난 2022년 광복절 특별 사면으로 복권된 후 첫 공식 해외 출장지로 중남미를 택할 정도로 애정을 드러낸 바 있다. 

삼성전자는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중남미 시장 확대에 나서는 모양새다. 삼성전자 지속가능경영보고서에 따르면 2022년 말 기준 삼성전자가 전 세계에 보유한 판매거점 108곳 중 20곳을 중남미에서 운영 중이다. 이는 유럽(24곳) 다음으로 많다. 

업계에서는 삼성전자의 '가성비' 전략이 중남미 지역에서 주효했다는 분석이 이어진다. 중남미와 중동·아프리카 등에서는 고가의 플래그십, 프리미엄 제품군보다 저가 제품군의 수요가 더 높다. 

이러한 이유로 전 세계 가전·스마트폰 시장에서 삼성전자의 최대 경쟁업체로 꼽히는 LG전자나 애플은 해당 지역에서 존재감을 크게 드러내지 못하고 있다. LG전자와 애플 제품은 대부분 삼성전자보다 높은 가격대를 형성하고 있어서다. 즉 중남미에 삼성을 대체할만한 가전이나 스마트폰 업체가 없어 시장 성장 여력도 충분하다는 평가다. 


0개의 댓글
0 / 300
댓글 더보기
한화투자증권
삼성전자
삼성화재
DB손해보험
NH
스마일게이트
카카오
db
하나금융그룹
한국투자증권
씨티
신한금융지주
kb금융그룹
KB국민은행
한화
신한투자증권
롯데캐슬
교촌
우리은행
SC제일은행
NH투자증
신한은행
경주시
포스코
삼성증권
다음
이전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