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7 금요일
안개 서울 20˚C
흐림 부산 20˚C
흐림 대구 20˚C
흐림 인천 17˚C
구름 광주 20˚C
흐림 대전 20˚C
흐림 울산 18˚C
흐림 강릉 16˚C
흐림 제주 22˚C
신화통신

[경제] '14차 5개년 계획' 기간 中 문화 산업 급성장...소비도 '껑충'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胡超
2025-10-04 12:14:17
지난달 17일 '크리에이티브윈난(雲南) 문화산업박람회'에서 한 관람객이 가상현실(VR) 장비로 막고굴(莫高窟) 벽화를 감상하고 있다. (사진/신화통신)

(베이징=신화통신) '14차 5개년(2021~2025년) 계획' 기간 중국의 문화 사업 및 산업이 급속 성장하고 주민 문화 소비가 꾸준히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중국 국가통계국이 발표한 사회 민생 통계 보고서에 따르면 '14차 5개년 계획' 이후 지난해 말 기준, 중국에 등록된 박물관은 7천46개로 지난 2020년 말보다 21.7% 증가했다. 전국 방송 및 TV 프로그램의 종합 인구 커버리지 비율은 각각 99.74%, 99.82%를 기록했다. 디지털 TV의 실제 가입 가구 수는 2억 가구로 2020년 말 대비 0.3% 늘었다. 같은 기간 공공도서관 회원증 소지자 중 실제 활성 이용자 수는 1억1천만 명으로 9.8% 확대됐다.

주민 문화 소비도 지속적인 상승세를 보였다. 지난해 전국 주민의 1인 평균 문화·오락 소비 지출은 2020년보다 67.8% 증가한 955위안(약 18만8천135원)에 달했다. 이로써 같은 기간의 1인 평균 소비 지출보다 높은 증가율을 보이며 주민 소비 총 지출에서 3.4%의 비율을 차지했다. 2024년 말 중국의 인터넷 영상, 인터넷 음악 및 인터넷 문학의 사용자 규모는 각각 10억7천만 명, 7억5천만 명, 5억7천만 명으로 조사됐다. 2020년 대비 15.5%, 13.6%, 24.9%씩 늘어난 규모다.

이 밖에 문화 산업도 안정적으로 몸집을 불리고 있다. 2023년 전국 문화 및 관련 산업의 부가가치는 5조9천464억 위안(1천171조4천408억원)으로 국내총생산(GDP)의 4.59%를 차지했다. 2020년 대비 0.20%포인트 오른 수치다. 한편 지난해 전국 문화 산업은 2020년보다 무려 37.7% 증가한 19조1천423억 위안(3천771조331억원)의 매출액을 기록했다.




0개의 댓글
0 / 300
댓글 더보기
삼성증권
롯데캐슬
포스코
스마일게이트
신한투자증권
우리은행
교촌
신한금융지주
한화투자증권
경주시
SC제일은행
삼성화재
하나금융그룹
삼성전자
한국투자증권
NH투자증
한화
카카오
db
하이닉스
KB국민은행
씨티
kb금융그룹
NH
신한은행
DB손해보험
다음
이전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