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 에이비엘바이오에 따르면 미국 일라이 릴리와 3조8000억원 규모의 그랩바디 플랫폼 기술이전 계약을 통해 계약금 4000만 달러(약 585억원)와 단계별 마일스톤으로 최대 25억6200만 달러(약 3조7487억원)를 수령한다.
여기에 더해 향후 제품 상용화 시 로열티 수익을 받을 예정이다. 계약금은 미국 반독점개선법(HSR Act) 등의 행정절차 완료 후 영업일 10일 이내에 수령한다고 회사는 밝혔다. 이 소식에 지난 12일 에이비엘바이오 주가는 전 거래일 대비 29.95%(12만6700원) 급등하며 상한가를 기록했다.
그랩바디 플랫폼은 타깃에 따라 △그랩바디-B △그랩바디-T △그랩바디-I로 분류된다. 일라이 릴리에 기술이전된 플랫폼은 그랩바디-B로 ‘인슐린 유사 성장인자 1 수용체(IGF1R)’를 통해 뇌혈관장벽(BBB)을 통과하기 어려운 약물이 뇌 안으로 효과적으로 전달해주는 역할을 한다.
앞서 에이비엘바이오는 이번 계약과 같은 플랫폼인 그랩바디-B를 글로벌 빅파마들에게 꾸준히 기술이전을 진행했다. 올 4월에는 GSK와 기술이전을 성사시키며 계약금 3850파운드(약 739억원)을 비롯해 단기 마일스톤, 상업화 단계에 따른 마일스톤 등 총 21억4000만 파운드(약 4조1200억원)을 수령했다.
2022년에는 파킨슨병 치료제 후보물질 ABL301을 사노피에게 기술이전했다. 해당 계약을 통해 에이비엘바이오는 총 10억6000만 달러(약 1조5500억원)가 유입됐으며 현재 안정성을 확인하며 임상 1상을 마쳤다. 이외에도 유한양행, 콤파스 테라퓨틱스 등과 기술 수출을 진행했다.
에이비엘바이오 관계자는 “그랩바디-B를 활용해 사업화를 진행 중”이라며 “계속해서 글로벌 빅파마들 대상으로 그랩바디 플랫폼 기술이전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일라이 릴리는 구체적인 타겟과 모달리티에 대해선 알리지 않은 상태지만 알츠하이머, 파킨슨병, 조현병 등 CNS질환 치료제 개발에 활용될 것을 분석했다.
허혜민 키움증권 연구원은 “추측컨데 릴리는 아밀로이드 베타 타겟 알츠하이머 치료제 키순라를 승인 받아 판매 중으로 동사의 플랫폼을 접목한다면 추후 키순라의 효능과 안전성 개선 및 특허 연장 등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어 “릴리는 RNA 모달리티 확보에 집중하고 있고 BBB 투과 플랫폼을 활용해 비만과 근육 질환 확장 가능한 치료제 개발도 가능할 것으로 추정된다”고 전망했다.
이희영 대신증권 연구원은 “향후 일라이릴리의 후속 파이프라인의 임상 진입과 초기 데이터 확보 시점에 따라 그랩바디-B 플랫폼의 밸류에이션이 추가로 상승할 가능성이 높아 에이비엘바이오 기업가치의 중장기 모멘텀으로 작용 것”이라고 분석했다.






























![[현장] 통화 중 바로 호출…LG유플러스, 익시오 AI비서 플랫폼 확장 전력투구](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5/11/13/20251113154850789319_388_136.jpg)





![[단독] 현대홀딩스, 현대네트워크 흡수합병…현정은 체제 지배 구조 단일화](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5/11/12/20251112151738303931_388_136.jpg)
댓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