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25 화요일
안개 서울 7˚C
맑음 부산 11˚C
흐림 대구 10˚C
흐림 인천 7˚C
흐림 광주 7˚C
흐림 대전 7˚C
맑음 울산 9˚C
흐림 강릉 8˚C
흐림 제주 12˚C
생활경제

"올겨울 아우터, 길어지거나 짧아지거나"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최용선 기자
2025-11-25 14:23:02

LF, 롱코트·숏패딩 양극화 뚜렷

아떼 바네사브루노 25FW 롱코트왼쪽와 아떼 바네사브루노 25FW 숏패딩오른쪽 화보 이미지 사진LF
아떼 바네사브루노 25FW 롱코트(왼쪽)와 아떼 바네사브루노 25FW 숏패딩(오른쪽) 화보 이미지. [사진=LF]
[이코노믹데일리] 올겨울 아우터 시장에서 ‘롱코트 vs 숏패딩’ 양극화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25일 LF에 따르면 소비자들이 아우터를 보다 목적성 있게 선택하면서, 격식을 갖춘 자리는 ‘더 긴 코트’, 일상·여가에서는 ‘더 짧은 패딩’으로 선호가 분리되는 흐름이 강화되고 있다.

LF몰 검색 데이터에서도 이러한 변화가 뚜렷하게 드러났다. 지난 10월 1일부터 11월 24일까지 ‘롱코트’ 검색량은 전년 대비 170% 폭증, 특히 ‘맥시 롱코트’가 처음으로 인기 검색어에 등장할 정도로 기장감이 긴 스타일의 수요가 증가했다. 같은 기간 ‘숏패딩’ 검색량도 48% 증가하며 두 제품군으로 소비자 관심이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경향은 기능·역할 중심의 목적성 소비에 기반한 것으로 분석된다. 롱코트는 실루엣과 디테일을 중시하는 ‘격식 아우터’, 숏패딩은 경량성과 활동성이 중요한 ‘캐주얼 아우터’로 구분되며, 양쪽 모두 자신의 강점을 최대한 부각한 제품들이 인기를 얻고 있다.

이에 브랜드별 움직임도 빠르다.

여성 컨템포러리 브랜드 아떼 바네사브루노는 롱코트 물량을 전년 대비 3배 확대, 숏패딩 물량도 2배 이상 늘리며 다양한 소재를 적용했다. 주요 제품들은 출시 1주일 만에 리오더에 들어갈 정도로 반응이 빠르다.

프랑스 럭셔리 브랜드 이자벨마랑은 롱코트 스타일을 전년보다 2.5배 확대하고 테일러링 코트 비중을 늘렸다. 숏패딩에서는 페이크퍼·탈착 소매 등 디자인 차별화를 강화하며, 체크 롱코트와 페이크퍼 숏패딩은 이미 판매율 97%를 기록했다.

이탈리아 디자이너 브랜드 포르테포르테는 자카드·모헤어·헤링본 등 텍스처 중심 롱코트 물량을 40% 확대했고, 대표 상품인 ‘모아레 자카드 코트’는 빠르게 판매되며 주력 제품으로 자리 잡았다.

MZ세대에게 인기 높은 던스트도 베스트셀러 코트 라인을 강화해 ‘맥시 롱코트’ 수요에 대응 중이다. ‘핸드메이드 캐시미어 머플러 롱코트’ 등은 시즌 초반부터 높은 판매율을 기록하고 있다.

한편 숏패딩은 캐주얼·스포츠 브랜드 중심으로 생산이 확대됐다.

TNGT는 숏패딩 스타일을 20%, 물량을 50% 늘렸으며, 유럽산 구스다운을 적용한 푸퍼 숏패딩은 초도 물량과 1차 예약분이 3주 만에 완판돼 2차 예약 판매 중이다. 리복은 1020 여성층을 겨냥해 크롭 패딩을 강화하며 숏패딩 매출이 전년 대비 20% 이상 성장했다.

하이엔드 아웃도어 브랜드 티톤브로스도 숏 스타일 비중을 확대한 가운데, 10데니어 발수 나일론·850필파워 구스다운 등 고급 소재를 앞세운 숏패딩은 출시 3주 만에 두 차례 리오더가 이뤄졌다.

LF는 “올겨울 아우터 시장은 ‘매우 긴 코트’와 ‘매우 짧은 패딩’이라는 명확한 이중 구도가 자리 잡았다”며, "앞으로도 기장·실루엣·소재 차별화를 통한 경쟁이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0개의 댓글
0 / 300
댓글 더보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