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다혜금융부
dahyeji@economidaily.com
기사 제보하기
최신기사
-
-
[지다혜의 알쓸보카] 찐부자 모시기 경쟁…연회비 10만원 이상 프리미엄 카드
※ '알쓸보카'는 '알'아두면 '쓸'데있는 '보'험 및 '카'드 업계의 머리말을 합성한 것으로, 한 주간 주요 보험·카드 업계의 따끈따끈한 이슈, 혹은 이제 막 시장에 나온 신상품을 소개하는 코너입니다. 마음이 포근해지는 주말을 맞아 알뜰 생활 정보 챙겨 보세요! 최근 금융권이 찐부자 모시기 경쟁 중이다. 은행은 고액 자산가를 위한 프리미엄 점포를 늘리고 있고, 카드사는 연회비 10만원 넘는 프리미엄 카드로 연회비 수익을 확보하면서 우량고객을 유치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고급화 전략을 펼치면서 실적 개선 및 건전성 관리 극대화에 나선 것이다. 아울러 비싼 연회비에 고객들이 오히려 프리미엄 카드를 집중적으로 사용하면서 결제액이 높아 카드사들에는 효자 상품으로 주목받고 있다. 소비자도 여러 카드를 쓰는 것보다 프리미엄 카드 한 장만 써서 혜택의 폭을 넓히는 것을 선호하기도 하는 만큼 바우처 혜택과 연회비가 주목된다. 프리미엄 카드가 알짜카드로 거듭나려면 바우처 혜택이 어느 수준인지가 중요하다. 연회비 대비 바우처 혜택이 높을수록 연회비 부담이 줄어들기 때문이다. 18일 카드 비교 플랫폼 카드 고릴라에 따르면 하나 'JADE Classic'은 연회비 대비 준수한 바우처 혜택을 제공해 알짜카드로 꼽히고 있다. 10만원 상당의 바우처를 제공하는데 배달의민족 모바일 상품권도 포함돼 있어 일상에서 바우처를 활용하기 수월하다. 연회비가 12만원인데 바우처가 10만원 상당이니 실제로 체감되는 연회비는 2만원 수준에 이른다. 여기에 공항라운지 무료 이용을 동반인까지 포함해서 연 3회 제공한다. 현대 'the Green Edition2'도 10만원 상당의 바우처를 제공받는데 발급한 해에는 100만원 이상만 쓰면 연회비 7만원 감면 혜택도 받을 수 있다. 여기에 여행, 고메, 해외에서는 5% 적립되는데 여행은 25만점까지, 해외는 5만점까지 적립될 정도로 적립한도가 넉넉하다. 그래서 신혼부부의 신혼여행 결제카드로 인기가 많다. 현대 '대한항공카드 150'은 다양하게 바우처를 제공하는데 마일리지 5000 마일, 항공권 5만원 할인, 기내면세점 1만원 할인 바우처를 준다. 여기에 웰컴보너스로 5000 마일을 적립해주는데 발급 월 포함 3개월 동안 100만원 이상만 쓰면 받을 수 있다. KB국민 'BeV V카드'는 스카이패스형, 포인트형 모두 22~25만원 상당 바우처(쿠폰)를 제공한다. 여행, 호텔 뷔페, 백화점, 포인트 중 원하는 걸 선택할 수 있고 마스터카드 월드 서비스로 공항라운지 무료 이용도 누릴 수 있다. 현대 'the Red Edition5'는 5가지 10만원권 바우처 중 최대 2개를 선택해 20만원 상당까지 제공한다. 여행, 쇼핑, 고메, 라이프스타일, 레저로 바우처 종류도 다양해서 여러 조합으로 바우처를 받을 수 있다. 연간 2000만원 이상 쓰면 연회비 10만원이 감면되는 로열티 보너스도 제공한다. 삼성 'THE iD. PLATINUM(포인트)'은 15만원 상당의 바우처 혜택으로 연회비 22만원에서, 7만원으로 부담이 줄어든다. 현대 '아멕스 그린 카드 에디션2'는 국내 트래블, 패션·뷰티 12만원 상당 바우처로 연회비 15만원의 부담이 크게 줄어든다. IBK기업은행 'K-22(Mileage)'는 연회비 22만원이지만 13~15만원 상당의 바우처 5가지 중 1가지를 선택 제공한다. 여기에 공항라운지 무료 이용 및 커피·백화점 등 프리미엄 할인 서비스도 제공한다. 우리 'ALL 우리카드 Infinite'는 세계적인 호텔 체인 아코르와 우리카드가 제휴한 신용카드다. 아코르 호텔 골드등급 멤버십, 유료 멤버십 자동 가입 등 아코르 호텔 특화 혜택을 준다.
2024-05-18 06:00:00
-
-
-
-
-
-
-
-
현대차그룹, 1분기 영업익 폭스바겐 '압도'…영업이익률 1위
현대자동차그룹이 폭스바겐그룹의 영업이익을 처음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현대차그룹은 글로벌 판매량 '톱5' 완성차 업체 가운데 가장 높은 영업이익률을 기록하며 판매량에 이어 수익성까지 '빅3' 자리를 공고히 했다. 12일 지난해 판매량 기준 1∼5위 완성차 업체의 올해 1분기 실적을 분석한 결과, 현대차그룹은 올해 1분기 66조8714억원의 매출과 6조9831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이는 역대 두 번째로 많은 매출과 영업이익이다. 같은 기간 글로벌 시장에서 176만7000대를 판매하며 지난해에 이어 판매량 순위도 3위를 유지했다. 글로벌 1위인 도요타그룹은 올해 1분기(2023회계연도 4분기)에 매출 11조726억엔(한화 97조5400억원), 영업이익 1조1126억엔(한화 9조8000억원)을 거뒀다. 2위 폭스바겐그룹은 올해 1분기 매출 754억6000만유로(한화 111조5500억원), 영업이익 45억9000만유로(6조7800억원)로 집계됐다. 현대차에 이은 4위인 르노-닛산-미쓰비시 얼라이언스는 구체적인 매출과 영업이익 액수를 공개하지 않았다. 다만 판매량(169만9000대)과 합산 영업이익률(약 4.3%), 판매단가 등을 고려하면 영업이익은 현대차그룹보다 낮을 것으로 관측된다. 이어 5위 GM그룹은 매출 430억1400만달러(59조원), 영업이익 37억3800만달러(5조1000억원)를 기록했다. 수익성을 나타내는 지표 중 하나인 영업이익(원화 환산)에서도 현대차그룹은 도요타그룹에 이어 2위로 올라섰다. 지난해부터 급등한 환율을 고려해도 분기 기준 영업이익이 폭스바겐그룹을 넘은 것은 올 1분기가 처음이다. 현대차그룹은 올해 1분기 톱5 중에서 가장 높은 영업이익률도 달성했다. 현대차그룹은 현대차(제네시스 포함·8.7%)와 기아(13.1%) 합산 10.4%의 영업이익률을 기록했다. 이어 도요타그룹(10.0%), GM그룹(8.7%), 폭스바겐그룹(6.1%), 르노-닛산-미쓰비시(4.3%) 순이었다. 수익지표가 타 대중 브랜드에 비해 높은 고급 브랜드 BMW(11.4%)와 메르세데스-벤츠(10.7%) 대비 낮지만, 기아가 올해 1분기 이들을 넘어서는 13.1%의 영업이익률을 기록한 점을 감안하면 높은 수익성을 나타낸 셈이다. 현대차그룹은 올해 고수익 차 중심의 제품 믹스(Mix·혼합)로 글로벌 입지를 강화할 방침이다. 특히 전기차 대중화 이전 일시적 수요 정체 상태에 대응하기 위해 고부가가치 차량으로 꼽히는 스포츠유틸리티(SUV)와 하이브리드 차종 판매량은 늘리면서 현재 실적을 뒷받침하고, 미래를 위해 전기차와 수소 분야에 대한 투자를 강화하는 '투트랙' 전략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2024-05-12 15:23:39
-
보험사 작년 말 지급여력 개선…건전성 '파란불'
보험사들의 요구자본이 줄어들면서 지난해 말 지급여력 상황이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경과 조치를 적용한 보험사의 지난해 말 신지급여력제도(K-ICS) 비율은 232.2%로 전 분기(224.1%)보다 8.1%포인트(p) 상승했다. 그중 생명보험사의 K-ICS 비율은 232.8%로 전 분기 대비 8.4%p 늘었고, 손해보험사의 K-ICS 비율은 231.4%로 7.6%p 늘었다. 지급여력 비율은 가용자본을 요구자본으로 나눈 값이다. 보험사의 가용자본보다 요구자본이 더 많이 줄면서 지급여력 비율이 개선된 것이다. 지난해 말 경과조치 후 K-ICS 가용자본은 261조6000억원으로 전 분기 대비 1000억원 감소에 그쳤다. 같은 기간 요구자본은 112조6000억원으로 4조1000억원 줄었다. 이는 주식과 외환 위험 등 시장 위험이 증가했으나 지난해 12월부터 대량해지위험 산출기준이 개선되면서 해지위험이 감소한 데 따른 것이다. 생명·장기손보 위험도 8조9000억원 줄었다. 지난해 말 보험사별 K-ICS 비율을 살펴보면 생보사 중에서는 농협생명(363.5%), DB생명(306.7%), KB라이프생명(329.8%), 메트라이프생명(336.0%), AIA생명(304.2%), 라이나생명(336.3%) 등이 300%를 넘겼다. 한화생명(183.8%), KDB생명(117.5%), 교보플래닛(185.8%), 동양생명(193.4%), 푸본현대생명(192.5%), 카디프생명(189.4%) 등은 100%대였다. 손보사 중에서는 농협손해보험(316.8%), 신한EZ손해보험(469.4%) 등이 300%를 넘었다. 현대해상(173.2%), 하나손보(153.1%) 등은 100%대였고 MG손해보험은 76.9%에 머물렀다. 금감원 측은 "보험회사의 경과조치 후 지급여력비율은 232.2%로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며 "금융시장의 불확실성이 증대되고 있는 만큼 취약한 곳 중심으로 충분한 지급여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철저히 감독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2024-05-12 14:48:4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