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광미금융부
kgm1@economidaily.com
기사 제보하기
최신기사
-
-
-
-
-
우리금융, 증권업 도전장 10년 만…급선무는 주식중개 '부활'
우리금융그룹이 우리종합금융(우리종금)과 한국포스증권(포스증권)의 합병 증권사 출범 의사를 밝히면서 10년 만에 증권업 도전장을 냈다. 업계에서는 포스증권이 펀드 판매업을 주력으로 한 점을 들어 증권사 주업무인 주식중개업 등에서 우리금융표 사업 확대가 필요하다고 조언한다. 13일 우리금융에 따르면 자회사인 우리종금과 포스증권 합병 절차가 본궤도에 오르고 있다. 합병 법인은 우리금융 자회사로 편입되고 포스증권을 존속법인으로 한다. 우리금융은 포스증권의 '펀드수퍼마켓' 애플리케이션(앱)과 우리금융 투자정보 플랫폼 '원더링'을 포함한 증권 통합앱을 마련하고, 우리금융이 올 11월 출시할 예정인 슈퍼앱 'New원'과 연계하겠다는 방안이다. 합병 비율은 우리종금 주식 1주당 포스증권 약 0.34주다. 합병 후 지분은 우리금융 97.1%, 한국증권금융 1.5%로 관측된다. 우리종금과 포스증권은 금융위원회의 합병 인가를 얻어 올 8월 합병증권사를 설립하겠다는 계획이다. 이정수 우리금융 전략부문 부사장은 "그룹은 증권업 진출에 따라 '벤처캐피탈→캐피탈→은행→증권→자산운용→PE→F&I'로 이어지는 기업 생애주기별 금융서비스체제를 완성해 그룹 전략적 목표인 기업금융 명가 재건에도 한 걸음 더 다가가게 됐다"며 "자체성장과 함께 증권사 추가 M&A 등을 추진해 10년 내에 업계 TOP 10 초대형 투자은행 IB로 성장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우리종금은 1974년 창립돼 지난 3월 기준 △고객 자산(발행어음 기준) 4조3000억원 △개인 고객 수 20만명 △총자산 6조4000억원 △총자본 1조1000억원을 확보하고 있다. 포스증권은 지난 2013년 설립돼 약 3700개의 펀드를 판매하고 있는 국내 최대 온라인 펀드 판매 전문플랫폼이다. 자기자본 기준 53위를 차지하고 있는 포스증권은 △개인 고객 28만명(펀드 기준) △고객자금 6조5000억원 △총자산 2330억원 △총자본 500억원으로 집계된다. 금융권은 우리종금과 포스증권의 합병으로 통합법인은 총자산 6조6000억원, 총자본 1조2000억원으로 관측한다. 합병 시 자기자본 기준 18위에 안착해 중형 증권사로 자리할 것으로 전망한다. 우리금융이 증권업에 발을 딛는 것은 처음이 아니다. 우리증권과 LG투자증권이 2005년 합병되면서 자회사인 우리투자증권이 처음으로 출발했다. 그러나 우리금융은 지난 2014년 6월 자기자본 기준 2위였던 우리투자증권을 농협금융지주에 매각한 바 있다. 우리금융은 국내 5대 금융그룹 중 유일하게 증권사를 보유하지 않고 있어 비(非)은행 부문인 증권업 재진출을 위해 증권사 인수·합병(M&A)을 꾸준히 진행해 왔다. 또 투자은행(IB) 역량 강화, 5000억원 유상증자, 증권 전문 인력 영입, 사옥 여의도 이전 등의 증권 부문 사업도 추진했다. 이번 합병에 관한 장밋빛 기대와 달리 일각에서는 시너지 효과가 기대 이하일 것이라는 의견도 제기된다. 현재 포스증권은 펀드(집합투자증권) 투자매매업·투자중개업만 영위 중이다. 통상적 증권사가 다루는 주식·채권 중개를 위해서는 주식중개업과 투자일임업 라이선스를 확보해야 한다. 포스증권은 현재 모바일트레이딩시스템(MTS)은 펀드만 가능해 시스템을 구축하고 확대하는 등 상당한 시간과 비용도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우리종금과 포스증권과 합병 시 타사 대비 자본 경쟁력이 떨어질 수 있다는 시각도 비쳐진다. 주요 금융그룹 소속 증권사의 자기자본은 작년 말 기준 NH투자증권 7조1065억원, KB증권 6조1572억원, 하나증권 5조7525억원, 신한투자증권 5조2633억원 등으로 향후 우리금융 소속 증권사와 최소 4조원 이상 격차가 예상된다. 조영태 한국기업평가 연구원은 "포스증권의 자산 및 순이익 그리고 영업 규모를 감안 시 은행 부문 의존도 완화 효과는 단기적으로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돼 추후 실적에 대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포스증권이 온라인으로 집합투자증권 판매에만 주력하는 소형증권사로 전통적인 증권업 관련 영업기반이 미흡해 사실상 제로베이스에서 대부분의 사업 부문에 대한 영업기반을 확장해 나가야 한다"고 지적했다.
2024-05-14 05:30:00
-
-
-
-
4월 하락장에 웃은 반도체·전선株
2월과 3월 상승세를 보인 주식 시장이 4월에는 고전한 가운데 수익 상위 종목에 반도체주와 전선주가 올랐다.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설립으로 인한 전력 수요 상승, 구리 가격 급등 영향으로 풀이된다. 10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G20의 24개 주요 주가지수 수익률에서 국내 코스닥 지수는 전월 대비 4.04% 하락한 21위를, 코스피는 1.99% 떨어진 14위를 기록하며 부진한 모습이 나타났다. 키움증권의 키움영웅전에 참여한 투자자도 평균 -4.5% 수익률을 기록했고, 영웅결정전 참가 대상자(상위 랭커)들의 평균 수익률도 51.16%로 올해 중 가장 낮은 수치였다. 키움영웅전은 키움증권의 모의·실전투자 대회로 지난해 3월 시작해 30만명 이상 투자자가 투자 경쟁에 참여했다. 주식 시장의 하락세에도 반도체주가 지난달에 이어 상위랭커 수익 종목을 차지했다. 키움영웅전에서 높은 수익이 나타난 종목 10위에는 삼성전자와 반도체 검사 장비 공급 계약을 체결한 와이씨를 비롯해 유리 기판 관련주인 와이씨켐, 필옵틱스, 제이앤티씨가 포함됐다. 상위 종목 10개 중 등락률이 대원전선(123.70%), 와이씨(88.56%), LS ELECTRIC(80.57%), 와이씨켐(56.10%), 필옵틱스(44.58%), 제이앤티씨(40.72%), 대한전선(32.18%), 흥구석유(30.55%), 한국석유(24.30%), 제주은행(20.24%) 순으로 높았다. AI 데이터센터 신설 등으로 인한 전력 수요 증가와 함께 구리 가격 급등함에 따라 전선주에서 높은 등락률이 나타났다. 또 중동 리스크가 불거져 정유주 상승을 이끌었고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이 발표되면서 은행주도 상승세를 보였다. 이번 대회로 1억 대회부터 100만원 대회까지 자산 규모별로 진행된 5개 대회에서 국내는 대회별 상위 200명, 해외는 상위 100명이 영웅결정전에 참가한다. 상금이 수여되는 대회별 TOP 10은 키움증권·한국거래소 검수를 통해 1개월 뒤 최종 결정된다. 키움영웅전은 현재 5월 정규전이 진행 중이며 서비스에서 상위랭커 실시간 조회 종목, 당일 매수·매도 최다 종목 등을 제공한다.
2024-05-10 17:19:23
-
-
가계 부채, 3년來 GDP 하회했지만…여전히 최고 수준
올해 1분기 우리나라 가계 부채가 3년 반 만에 국내총생산(GDP)를 하회했다. 코로나19로 가계부채가 저금리, 부동산·주식 투자로 급등했었지만, 기준금리 인상에 통화 긴축이 지속되자 부채가 감소한 것으로 풀이된다. 9일 국제금융협회(IIF)의 세계 부채 최신 보고서에 따르면 세계 34개 국가(유로 지역은 단일 통계)의 올 1분기 GDP 대비 가계 부채 비율 중 한국이 98.9%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홍콩 92.5%, 태국 91.8%, 영국 78.1%, 미국 71.8% 순으로 뒤를 이었다. 우리나라는 코로나19 이후 4년 동안 가계부채 1위 국가라는 낙인을 지우지 못하고 있다. 그럼에도 1분기 한국 가계부채 비율은 3년 반만에 90%대로 떨어졌다. 2020년 3분기 100.5%로 100%대를 넘었고 2022년 1분기는 105.5%를 기록해 정점을 찍었다. 이번 1분기 한국 가계부채 비율이 지난해 1분기보다 2.6%p 감소했는데 비율 내림 폭이 홍콩이 -3.8%p, 영국이 -3.5%p, 미국이 -2.8% 다음으로 높았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지난해 8월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80%를 넘어가면 경제 성장이나 금융안정을 제약할 수 있는 만큼 현재 100% 이상인 이 비율을 90%를 거쳐 점진적으로 80%까지 낮추는 게 목표"라고 설명했다. 100% 밑으로 낮추겠다는 목표를 이룬 셈이다. IIF는 보고서에서 "세계 부채 규모가 올해 1분기 1조3천억달러 늘어 사상 최대인 전체 315조달러(GDP의 333%)를 기록했다"며 "증가의 주요 원인은 중국·인도·멕시코 등 신흥시장 때문인데 반대로 한국·태국·브라질의 경우 총부채 규모(미국 달러 환산)가 유의미하게 감소했다"고 분석했다. 그러나 민간 부채 중 하나인 기업의 부채 증가세는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한국의 GDP 대비 비(非)금융기업 부채 비율은 1분기 기준 123.0%로 1년 전과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에 비해 비율이 높은 국가는 홍콩 261%, 중국 170.6%, 싱가포르 127.2% 총 3곳이었다. 우리나라의 정부 부문 부채의 GDP 대비 비율은 전년 대비 0.1%p 감소한 47.1%로 34개국 중 22위를 차지했다.
2024-05-09 17:23: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