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재관IT온라인부
seon@economidaily.com
기사 제보하기
최신기사
-
-
-
네이버, 3분기 매출 2조7156억원…영업이익 전년 대비 38.2% 상승
네이버(대표이사 최수연)는 연결 기준 3분기 매출이 전년 대비 11.1% 증가한 2조 7156억원을 기록했다고 8일 밝혔다.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38.2% 늘어난 5253억원으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하며 영업이익률은 19.3%로 전년 대비 3.8%p 향상됐다. 네이버는 검색과 광고사업 호조와 더불어 AI와 데이터 기반의 플랫폼 고도화를 통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네이버는 검색 및 광고를 포함한 서치플랫폼, 커머스, 핀테크, 콘텐츠, 클라우드 등 주요 사업 부문에서 성장세를 나타냈다. 특히 서치플랫폼 부문은 숏폼, 피드 서비스 등 이용자 체류시간을 늘리는 전략과 맞춤형 광고 상품을 강화하며 매출이 전년 대비 11.0% 성장해 9977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서치플랫폼 매출이 10개 분기 만에 두 자릿수 성장률을 회복한 것이다. 커머스 부문도 브랜드 협업 확대와 멤버십 혜택 강화, 배송 품질 개선 등의 전략에 힘입어 전년 대비 12.0% 증가한 7254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네이버는 이를 바탕으로 초개인화된 쇼핑 경험을 제공하며 커머스 경쟁력을 한층 강화할 계획이다. 핀테크 부문은 네이버페이의 성장세가 돋보였다. 3분기 네이버페이 결제액은 18.6조 원으로 외부 생태계 확장을 통해 전년 대비 22.1% 증가했다. 오프라인 결제는 현장 결제와 주문, 예약 결제 확대에 힘입어 전년 대비 78% 증가했다. 콘텐츠 부문은 일본에서의 성과가 두드러졌다. 라인망가(Line Manga)가 역대 최고 MAU(월간활성사용자수)와 유료 이용자를 기록하며 콘텐츠 매출은 전년 대비 6.4% 증가한 4628억원에 달했다. 네이버는 해외 시장에서의 성장 가능성을 높게 평가하며 콘텐츠 강화에 집중할 방침이다. 클라우드 부문에서는 뉴로클라우드와 라인웍스를 중심으로 매출이 전년 대비 17.0% 증가해 1446억원을 기록했다. 클라우드는 AI 기반의 솔루션 확장을 통해 기업의 디지털 전환을 돕고 있으며 이는 특히 비즈니스 서비스와 B2B 고객들에게 긍정적인 반응을 얻고 있다. 최수연 네이버 대표는 “네이버는 AI와 데이터를 활용한 초개인화 서비스를 통해 검색 기능을 강화하고 있다”라며 “이용자 관심사에 맞춘 맞춤형 서비스 확대와 더불어 플레이스, 지도, 부동산, 디지털 트윈 등 온·오프라인 경험에 생성형 AI를 적용해 새로운 성장 동력을 발굴하겠다”라고 말했다. 네이버는 AI를 적용한 새로운 사업 기회를 만들어가며 미래 지향적 플랫폼으로서의 경쟁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한편 네이버의 2024년 3분기 실적은 검색 및 광고 사업의 강세와 AI 기반 플랫폼 전략이 성과를 낸 결과로 분석된다. 앞으로 네이버는 플랫폼 고도화와 AI 기술을 통해 사용자의 개별화된 요구에 대응하며 검색, 광고, 커머스 등 다양한 분야에서 지속 성장을 도모할 예정이다.
2024-11-08 08:04:02
-
-
CJ ENM, 3분기 연속 흑자…콘텐츠와 커머스로 성장 동력 강화
CJ ENM은 2024년 3분기 연결기준으로 매출 1조1246억원과 영업이익 158억원을 달성하며 3분기 연속 흑자를 기록했다. 엔터테인먼트 사업은 티빙(TVING) 가입자 증가와 프리미엄 콘텐츠 확산에 힘입어 성장을 이어갔으며 커머스 부문은 모바일 라이브커머스 확장으로 수익성 강화에 성공했다. CJ ENM의 미디어플랫폼 부문은 프리미엄 드라마와 예능의 교차 편성 전략이 주효하며 티빙 가입자 수와 매출이 함께 상승했다. 드라마 <엄마친구아들>과 예능 <서진이네2> 등 히트작이 유료 가입자 증가에 기여했고 스포츠 콘텐츠인 <2024 KBO 리그>와 광고 기반 VOD(AVOD) 요금제가 성과를 보였다. 이를 통해 3분기 미디어플랫폼 부문은 매출 3565억원, 영업이익 108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3.4%, 471.5% 증가했다. 특히 티빙의 월간 활성 이용자 수(MAU)는 780만 명을 돌파해 넷플릭스의 MAU와 근접했으며 3분기 매출은 780억원에서 1213억원으로 1년 사이 55.6% 성장했다. 이에 대해 CJ ENM 관계자는 “티빙의 유료 가입자 증가로 이익이 개선되고 있으며 글로벌 유통 강화와 자체 아티스트 활동에 따라 성장이 지속될 것”이라고 밝혔다. CJ ENM의 커머스 부문은 모바일 라이브커머스를 통한 신규 고객 유입과 브랜드 확장을 바탕으로 연속 성장세를 기록했다. 3분기 매출은 3338억원, 영업이익은 92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모바일 라이브커머스 거래량은 88.6% 증가했으며 신규 브랜드 입점도 164% 늘었다. <최화정쇼>와 <한예슬의 오늘 뭐입지> 같은 대형 IP를 활용해 뷰티, 패션, 건강식품 등 고수익 상품군의 매출 호조를 이뤘다. 커머스 부문은 4분기 FW 시즌에 맞춰 신규 브랜드와 상품 입점을 확대하고 프리미엄 패션 및 뷰티 제품으로 수익성을 강화할 계획이다. CJ온스타일의 하반기 대표 행사인 ‘컴온스타일(10월)’, ‘온스타일 패션위크(11월)’, ‘온스타일 어워즈(12월)’와 같은 프로모션을 통해 매출 증가를 기대하고 있다. 음악 부문은 자체 아티스트의 성장이 돋보였다. 보이그룹 <ZEROBASEONE>은 미니 4집이 초동 판매량 111.2만 장을 기록하며 음악 부문의 성장을 견인했다. 일본 걸그룹 <ME:I>의 미니앨범과 글로벌 아티스트 <INI>와 <ATEEZ>의 콘서트 확대도 매출 성장에 기여했다. CJ ENM은 아티스트 라인업을 강화하고 미국과 일본에서 개최될 <2024 MAMA AWARDS>를 통해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CJ ENM은 4분기에도 초격차 콘텐츠 경쟁력을 기반으로 흑자 기조를 굳힌다는 방침이다. 미디어플랫폼 부문은 <가석방 심사관 이한신>, <사랑은 외나무다리에서> 등 새로운 드라마와 예능을 추가해 라인업을 강화할 예정이며, 티빙은 스포츠와 오리지널 콘텐츠를 통해 트래픽을 극대화할 계획이다. 또한, 영화드라마 부문에서는 콘텐츠 유통을 다각화하고 피프스시즌을 통해 <세브란스 시즌2>와 <치프 오브 워> 등을 선보여 수익성을 개선할 방침이다. 한편 CJ ENM은 강력한 콘텐츠와 아티스트 라인업을 바탕으로 4분기에도 성장세를 이어가며 글로벌 무대에서 입지를 다질 계획이다.
2024-11-07 15:51:16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