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04.16 수요일
안개
서울 4˚C
맑음
부산 8˚C
맑음
대구 7˚C
안개
인천 7˚C
맑음
광주 6˚C
맑음
대전 5˚C
맑음
울산 6˚C
맑음
강릉 7˚C
맑음
제주 13˚C
검색
검색 버튼
한석진
건설부동산부
sjhan0531@economidaily.com
기사 제보하기
최신기사
1인가구 증가·전세사기에... 수도권 초소형 아파트 수요 급증
서울·수도권을 중심으로 1~2인 가구 수가 증가하며 최근 전용면적 50㎡형 이하 초소형 아파트가 주택 시장에서 인기를 끌고 있다. 전세 사기 여파로 빌라나 다세대주택 등 비아파트 인기가 시들해진 것도 소형아파트로 몰린다는 분석이다. 15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서울 송파구 가락동 헬리오시티 전용 39㎡는 지난 1월 11억3000만원에 거래됐다. 지난 2월에는 잠실동 '리센츠' 전용면적 27㎡가 지난 2월 11억6000만원에 거래됐다. 이는 올해 들어 거래된 같은 평형 아파트 중 최고가다. 같은달 강남구 개포동 '성원대치2단지' 39㎡도 11억6000만원에 매매됐다. 이 뿐만 아니다. 서울과 연접한 경기 광명시 '광명 푸르지오 센트베르'의 49㎡는 지난달 5억5000만원에 거래되며 신고가를 갱신했다. 지난 1월 체결된 최고가(5억3000만원) 거래보다 2000만원 오른 가격이다. 소형 평수 아파트의 거래량도 늘고 있다. 부동산R114 자료를 보면 지난해 수도권의 전용면적 60㎡ 이하 아파트의 매매 건수는 모두 6만1171건이다. 이는 2022년의 3만675건에 비해 2배 가량 늘어난 규모다. 전세 거래도 2022년 11만9380건에서 지난해 13만6184건으로 14.1% 증가했다. 이처럼 초소형 아파트 수요는 늘어나는 추세다. 하지만, 공급은 이에 미치지 못하고 있어 앞으로 집값이 더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2021∼2023년 수도권에서 전용 60㎡ 이하 일반분양 물량은 7만7548가구로, 전체 공급물량의 29.5% 수준이다. 올해 예정된 공급량은 3887가구로, 전체 공급량의 4.9%에 불과하다. 이에 따라 청약시장에서도 초소형 아파트의 경쟁률이 강세를 보인다. 지난 1분기 수도권에서 60㎡ 이하 아파트 청약 경쟁률은 23.8대 1로, 중소형(60㎡ 초과∼85㎡ 이하) 아파트 경쟁률 4.6대 1보다 무려 5배 이상 높다. 업계는 1∼2인 가구 증가로 초소형 아파트에 수요가 몰리는 것으로 보고 있다. 실제로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통계 자료를 보면 전국 1인 가구 수는 지난 1월 994만3426가구에서 2월 998만1702가구로 증가한 이후 3월 1002만1413가구로 1000만가구 고지를 넘었다. 이는 전체 2400만2008가구의 41.7%에 해당한다. 2인 가구와 3인 가구를 합친 995만209가구보다 많다. 비혼 및 만혼의 증가, 젊은 층의 이혼 가구, 은퇴세대의 증가 등이 원인으로 지적된다. 연이어 터져 나온 전세사기도 빌라 대신 아파트로 몰리는 이유로 꼽힌다. 국토교통부 전세사기피해지원위원회의 전세사기 피해 현황 자료를 보면 지난해 6월 1일 위원회 출범 이후 최근까지 누계 피해건수는 1만4001건을 기록했다. 주택형별로 살펴보면 다세대주택 4682건, 오피스텔 3113건이었다. 전체 피해 건수의 절반이 넘는 55.7%가 다세대주택과 오피스텔에서 발생한 것이다. 반면 아파트·연립주택은 2384건(17%)으로 비교적 적었다. 그 결과 최근 비아파트에 대한 주택 수요는 감소 추세다. 한국부동산원 부동산 거래현황 자료를 보면 올해 2월까지의 비아파트 거래 건수는 1만8351건으로 전체 거래량(18만4250건)의 9.9%였다. 지난해 거래 비중인 11.5%보다 1.6%포인트 낮은 수치다. 같은 기간 아파트 거래 비율은 64.1%에서 66.8%로 2.7% 늘었다. 부동산 업계 관계자는 "최근 전용 59㎡ 이하 아파트의 수요가 늘면서 국민 평형으로 불리는 전용 84㎡의 위상이 흔들리고 있다”며 "소규모 가구가 증가하면서 소형 평형에 대한 수요가 확대되고 있고, 가파른 분양가 상승세에 가격 부담이 커진 수요자들이 소형 아파트에 관한 관심을 두는 상황"이라고 했다.
2024-04-16 07:43:11
[K-축제] 봄꽃보다 화사하다...익산 보석대축제 17일 개막
보석 산업 중심지 익산에서 형형색색 아름다운 보석을 만날 수 있는 '2024 주얼팰리스 보석대축제'가 오는 17일 팡파르를 울린다. 16일 ㈔주얼팰리스협의회에 따르면 협의회 주관, 전북특별자치도와 익산시 후원으로 개최되는 이번 행사는 이달 28일까지 왕궁면 소재 주얼팰리스와 보석테마관광지 일원에서 진행된다. 축제는 주얼팰리스 55개 업체가 선보이는 화려하고 희귀한 보석을 만나볼 수 있고, 30% 특별할인행사(24K, 다이아몬드 제외)를 진행해 보석을 저렴하게 구입할 수 있다. 또한, 우수작품 특별전시와 보석산업 사진 전시회를 비롯해 소유한 보석을 원하는 디자인으로 변경할 수 있는 보석 재세공, 체험 활동, 보석 가공 시연 등 다양한 행사도 마련했다. 축제가 진행되는 보석테마관광지는 국내 유일의 보석박물관과 실내·외 놀이체험시설인 다이노키즈월드가 있어 가족 단위 모든 세대를 아우르는 봄나들이를 즐길 수 있다. 국내 최고의 귀금속보석 판매센터인 주얼팰리스에서 개최되는 보석대축제는 매년 봄·가을에 왕궁보석테마관광지 일원에서 열리며, 행사에 대한 자세한 문의는 ㈔주얼팰리스협의회에 연락하면 안내받을 수 있다. 익산시 관계자는 “진귀하고 아름다운 보석을 직접 눈으로 볼 수 있는 축제에 많은 관광객이 찾아오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2024-04-16 07:07:00
처음
이전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다음
끝
다른 기자의 최신 기사
로지텍, '유니티 서울 2025' 참가…AI 시대 개발자 생산성 높인다
선재관 IT온라인부
S&P, 한국 국가신용등급·등급 전망 유지
김광미 금융부
하나은행서 350억원 금융사고…"99.5% 회수 완료"
지다혜 금융부
오리온, 글로벌 생산량 확대에 8300억원 투자…"영업익 1조원 도약"
김아령 생활경제부
美 시장 문 두드린 '케이캡', 글로벌 위장약 시장 본격 공략
안서희 생활경제부
현대차, 고용부·대학과 손잡고 산업안전 교육 나선다
임효진 산업부
SK이노베이션 E&S, JB금융·이너젠과 맞손…민간 PPA 활성화 나선다
김인규
송출 수수료 73% 부담…홈쇼핑 업계, 오프라인으로 '생존' 모색
김은서
LG디스플레이, OLED 패널 양산 돌입…수익 개선 가능할까
김지영
우리카드, 문화 마케팅 프로젝트, '인:우리컬처' 개시
방예준
중국發 전기차ㆍ희토류 공세…한국 車산업 '이중 압박'
박연수 산업부
美 증시, 트럼프발 관세 유예에 상승…전자제품·車 업종 동반 강세
유명환 금융증권부
[데스크칼럼] 극한의 관세율로 대치 중인 美中 종착지가 '쥬라기 공원'은 되지 않기를
박경아 논설위원
윤 전 대통령, 한남동 관저 떠나 서초동 사저로
박명섭 생활경제부
세븐나이츠 리버스, 웹 예능 '세나 개습기' 예고편 공개…사전등록 보상도 확대
이지환
유정복 "위기의 한국정치, 지방분권형 개헌으로 극복하자"
권석림
[편집인 칼럼] 우리 기업이 트럼프 관세정책을 피할 수 있는 방안은
양규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