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03.31 월요일
맑음
서울 10˚C
맑음
부산 8˚C
흐림
대구 13˚C
맑음
인천 8˚C
흐림
광주 7˚C
흐림
대전 8˚C
흐림
울산 6˚C
흐림
강릉 8˚C
맑음
제주 10˚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가맹점수수료'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2
건
'월세 카드 납부' 확대…카드사들, 새 먹거리 찾을까
[이코노믹데일리] 올해 상반기부터 월세를 내거나 중고거래를 할 때 모든 카드사에서 신용카드 결제가 가능해질 전망이다. 가맹점수수료 인하 등으로 수익성이 악화한 카드업계가 활력을 찾을 수 있을지 주목된다. 14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금융위원회는 '2025년 주요업무 추진계획'을 통해 올해 상반기 중 혁신금융서비스인 월세·중고거래 등 개인 간 카드거래를 전체 카드사로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여신전문금융법상 신용카드 거래는 사업자로 등록된 가맹점만 가능하다. 이에 따라 금융위는 규제 샌드박스 관련 조항 적용을 일부 면제해 사업자 등록 없이도 신용카드 거래가 가능하도록 허용했다. 현재는 혁신금융서비스를 신청한 신한카드·우리카드·현대카드만 월세 신용카드 납부 서비스를 하고 있다. 신한카드의 '마이(My)월세'와 우리카드의 '우리월세', 현대카드의 '생활 요금 결제 등록(월세)' 등이다. 이렇게 일부 카드사에서만 가능하던 월세 신용카드 납부 서비스가 올해 상반기부턴 전 카드사로 확대된다. 이 서비스는 임차인이 임대료를 지정일에 신용카드로 결제하면 카드사가 임대인에게 임대료를 입금해 주는 방식이다. 임차인이 임대인의 동의를 받아 카드사에 신청하면 되고, 월 임차료 카드 납부 한도는 200만원이며 수수료율은 1%다. 수수료는 임대인과 임차인 간 상호 합의로 부담자를 정한다. 개인 간 중고거래에서도 신용카드 거래가 허용된다. 중고거래 플랫폼 '당근마켓'은 지난해 금융위에 카드 결제 허용을 건의한 바 있다. 임차인은 당장 현금이 부족해도 카드로 월세를 납부할 수 있고, 대출이 아닌 신용한도라 신용등급에도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임대인도 정기적으로 월세를 입금받고 사업자 등록도 할 필요 없다. 아울러 월세와 중고거래를 카드로 결제하면 실적과 포인트도 쌓을 수 있어 소비자 혜택도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카드사들은 수익성이 악화하는 가운데 신용카드 결제시장이 확대된다는 점에선 반기는 분위기다. 다만 카드 수수료와 중고거래 사업 모델 구체화 등 해결해야 할 문제가 남아 있어 우려가 나온다. 카드업계 관계자는 "월세 신용카드 납부 서비스의 경우 수수료가 부과되는데, 기존에 금융당국이 카드 수수료율 인하를 지속적으로 해 온 만큼 이 수수료율까지 내려간다면 수익성이 저하돼 카드사들이 적극 참여하기 힘들 것"이라며 "중고거래도 아직 사업모델이 없어 금융당국의 방침을 우선 지켜봐야 할 것 같다"고 설명했다.
2025-01-14 17:34:56
카드사들, 3분기 호실적에도 '시름'…건전성 관리 어쩌나
[이코노믹데일리] 카드사들이 올 3분기 호실적에도 골머리를 앓고 있다. 이런 실적을 견인한 게 카드론, 현금 서비스 등 향후 재무 건전성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는 '대출성 자산'이 대부분이어서다. 6일 카드업계에 따르면 올해 3분기 실적이 공개된 5개 카드사(KB국민·신한·하나·우리·삼성)의 누적 당기순이익은 1조7790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5.6% 증가했다. 이들 카드사 모두 두 자릿수 성장률을 기록했다. 업계 1위 신한카드가 전년 동기 대비 17.8% 성장한 것을 비롯해 △국민카드 36.0% △하나카드 44.7% △우리카드 19.7% △삼성카드 23.6%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호실적을 거둔 배경에는 판매 관리비 절감 및 알짜카드 단종, 대출채권 매각 등 비용 효율화와 카드론 등 대출 확대로 이익이 증대된 것이 요인으로 꼽힌다. 고금리로 인한 경기 악화로 카드사의 본업인 신용판매업 경쟁력이 축소된 상황 속에 주요 카드사들의 이익이 증가한 것은 긍정적이지만 대출업 강화로 얻은 자산 비중이 크다는 점에서 리스크 확대 우려가 커지고 있다. 강민국 국민의힘 의원이 금융감독원에서 제출받은 '국내 카드 대출 및 연체 현황' 자료를 살펴보면 지난 8월 기준 국내 8개 카드사의 대출금액은 44조6650억원으로 나타났다. 이는 금감원이 관련 통계를 추산한 2003년 이후 최대치다. 이중 단기 카드대출인 현금서비스액이 5조8760억원, 장기 카드론이 38조7880억원을 차지했다. 카드론 잔액은 올해 1월 전월 대비 4507억원 증가한 바 있다. 이어 △2월 2000억원 △3월 78억원 △4월 4823억원 △5월 5542억원 △6월 1000억원 △7월 6206억원 △8월 6044억원으로 증가세를 보였다. 이렇게 카드론 잔액이 늘어나는 것은 카드 빚을 갚지 못한 고객도 많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제 지난 8월 기준 카드 대출 연체액은 1조3720억원으로 연체율은 3.1%에 달했다. 이른바 '카드대란'이 일어났던 2003년(6조600억원)과 2004년(1조9880억원)을 제외하면 세 번째로 많은 규모다. 강민국 의원은 "금융당국이 카드 대출 연체율 추이 등에 대한 모니터링을 지속하고, 카드사들의 카드 대출 자산 관련 리스크 관리도 강화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카드사들도 건전성 관리와 수익성 제고 방법에 대한 고민이 깊다. 특히 3년마다 돌아오는 적격비용 재산정 제도로 인해 가맹점 수수료가 지속적으로 감소하면서 수익성이 악화하고 있어 대출업 강화로 대응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지난 2012년 도입된 적격비용 재산정 제도는 3년마다 가맹점 수수료 원가를 기반해 우대 가맹점의 수수료를 조정하는 제도다. 2012년 수수료율 인하로 가맹점 수수료 수익은 연간 3300억원, 2015년엔 6700억원, 2018년 이후엔 연간 1조4000억원 감소한 바 있다. 일각에서는 적격비용 산정 주기를 연장하거나 꼭 필요한 시점에만 재산정을 하는 등 제도 개선이 필요하단 의견도 제기돼 왔다. 카드업계 관계자는 "적격비용 재산정으로 수익성이 악화하는 가운데 대출 취급액이 늘면서 실적을 방어하고 있다"며 "대출채권 매각 등 비용 효율화와 사업 포트폴리오 개선으로 리스크 관리에 신경 쓸 것"이라고 말했다.
2024-11-06 14:57:52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구글, 한국 정밀지도 반출 재신청…벼랑 끝 선 韓 공간정보산업, 데이터 주권 수호 '마지막 보루'
2
배달앱 두잇, '토스뱅크 성공 주역' 김지웅 CSO 영입
3
"보스가 떠났다"…한종희 삼성전자 부회장 별세, 삼성의 침통한 이별
4
美 LA 화재와 닮은꼴…최근 우리나라 봄철 화재
5
현대엔지니어링 또 사망 사고…올해만 세 번째, 노동부 '중대재해 조사' 착수
6
[안서희의 제약바이오] 온코닉테라퓨틱스, 자큐보 중국 기술이전 마일스톤 150만 달러 청구 외
7
SPC삼립-KBO, 크보빵 출시 3일 만 100만개 경신
8
'완전 자본잠식' 발란, 정산 지연에 기업회생 의혹까지 '첩첩산중'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기자수첩] 손바닥으로 하늘 가리는 G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