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08.17 일요일
흐림
서울 27˚C
맑음
부산 26˚C
흐림
대구 27˚C
맑음
인천 27˚C
흐림
광주 25˚C
흐림
대전 26˚C
흐림
울산 26˚C
흐림
강릉 27˚C
맑음
제주 28˚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가입자이탈'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2
건
SKT, 6월 점유율 39%로 추락…알뜰폰은 1000만 가입자 돌파
[이코노믹데일리] SK텔레콤의 40% 점유율 철옹성이 마침내 무너졌다. 지난 4월 발생한 대규모 해킹 사태 여파로 가입자 이탈이 가속화되면서 국내 이동통신 시장의 지각변동이 본격화되는 모습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지난 8일 공개한 '6월 유·무선통신서비스 가입 현황'에 따르면 SK텔레콤 가입자는 2235만670명으로 전체 시장의 39%를 차지했다. 해킹 사태로 처음 40%선이 무너졌던 5월(39.29%)보다 0.29%포인트 추가 하락한 수치다. 이로써 SK텔레콤의 점유율은 4월 40.08%를 기록한 이후 석 달 연속 하락세를 면치 못했다. SK텔레콤이 잃은 파이는 경쟁사들이 고스란히 흡수했다. 같은 기간 KT는 1366만1813명(23.84%), LG유플러스는 1118만347명(19.51%)의 가입자를 확보했다. 전월 대비 점유율이 각각 0.07%포인트, 0.06%포인트 상승하며 반사이익을 톡톡히 누렸다. 이번 시장 재편의 가장 큰 수혜자는 알뜰폰이었다. 알뜰폰은 6월 가입자 1011만684명을 기록하며 사상 처음으로 '1000만 가입자' 시대를 열었다. 전체 이동통신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17.64%까지 치솟았다. 고물가 시대에 저렴한 요금제를 앞세운 알뜰폰이 통신사에 실망한 고객들을 대거 흡수한 결과로 풀이된다. 이번 점유율 하락의 직접적인 원인은 지난 4월 발생한 유심 해킹 사태다. 당시 대규모 개인정보 유출 우려가 확산되며 고객 신뢰에 치명타를 입었다. SK텔레콤이 밝힌 자료에 따르면 사고 이후 번호이동을 통해 이탈한 고객만 약 105만명에 달한다. 이번 사태는 SK텔레콤의 브랜드 신뢰도에 큰 타격을 입혔을 뿐 아니라 수십 년간 고착됐던 'SKT 40%, KT 30%, LGU+ 20%'라는 시장 공식을 완전히 깨뜨렸다. 향후 SK텔레콤은 이탈 고객을 되찾고 신뢰를 회복하기 위해 파격적인 마케팅과 보안 강화에 총력을 기울일 것으로 예상된다. 알뜰폰의 약진과 맞물려 국내 통신 시장의 경쟁 구도는 더욱 치열해질 전망이다.
2025-08-09 13:32:46
'SKT 해킹' 가입자 이탈 진정세…유심 교체·위약금 '변수' 남아
[이코노믹데일리] SK텔레콤의 유심 해킹 사고에 따른 가입자 이탈이 일일 7000명대로 하락하며 다소 진정되는 국면을 보이고 있다. 유심 보호 서비스 및 교체 작업이 본격화되면서 고객 불안감이 다소 해소된 것으로 풀이된다. 16일 통신업계에 따르면 지난 15일 SK텔레콤의 가입자 번호이동 순감은 7666명을 기록했다. 이는 지난 5월 1일 3만683명까지 치솟았던 일일 순감 규모가 2주 만에 약 4분의 1 수준으로 줄어든 것이다. 지난 14일에는 9908명으로 처음 1만 명 아래로 내려왔다. 가입자 이탈 감소는 SK텔레콤이 유심 교체에 속도를 내며 고객 불안을 해소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지난 15일 임봉호 SK텔레콤 MNO사업부장은 "17일부터 유심 87만개가 입고되며 다음 주 초까지 100만장 확보를 완료할 예정"이라며 "다음 달 말까지 총 1077만개를 확보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유심 교체 대기자는 한때 800만명에 육박했지만 15일 기준 699만명으로 줄었고 누적 교체 완료 건수는 178만 명(15일 기준 187만 명)에 달했다. 업계에서는 위약금으로 SK텔레콤에 묶이지 않은 수십만 명의 가입자 이탈이 거의 완료된 것으로 보기도 한다. 다만 지난달 말부터 이달 중순까지 한 달 새 이탈한 규모는 여전히 크다. 해킹 정황이 공지된 지난 4월 22일부터 5월 15일까지 SK텔레콤에서 KT나 LG유플러스로 번호이동한 가입자는 34만5646명이며 같은 기간 유입을 제외한 순감 수는 30만2918명에 달했다. 하루 평균 1만명 가까이 이탈한 셈이다. 앞서 유영상 SK텔레콤 대표는 지난 8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청문회에서 "해킹 사태 이후 25만 명 정도 이탈했는데 위약금 면제 시 지금보다 10배 이상 이탈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언급한 바 있다. 또한 삼성전자의 '갤럭시S25 엣지' 사전예약도 가입자 추세의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신제품 출시 시기에는 번호이동 수요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번 사전예약은 14일부터 일주일간 SK텔레콤을 제외한 KT와 LG유플러스에서만 번호이동 고객을 대상으로 진행되고 있다. 개통이 시작되는 21일을 전후해 번호이동이 다시 늘어날 가능성도 제기된다. 한편 SK텔레콤은 지난 5일부터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행정지도에 따라 신규 가입을 중단한 상태이며 이에 따른 전국 대리점 지원 방안도 마련 중이다.
2025-05-16 16:01:10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서희건설, 부사장 '385억 부풀리기' 13억대 횡령…특검·상폐 위기 겹악재
2
포스코이앤씨 면허취소 논란… "법치주의 무시한 발언" 반발 확산
3
희비 엇갈리는 '1세대 K-뷰티'…팔리거나 혹은 버티거나
4
포스코이앤씨 공사 전면 중단…협력업체·주택공급 '비상'
5
이재명 정부, 'AI 고속도로' 구축 공식화…2030년 세계 3대 AI 강국 목표 제시
6
정부, '건설사 중대재해' 매출 3% 과징금 추진…"안전투자 늘려도 사고 못 막아"
7
특검 칼끝 겨눈 서희건설… 지주택 성장 뒤에 쌓인 민원과 의혹
8
[김지영의 전대미문] 전력한계 극복 일등공신…ESS의 A-Z 알아보기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기자수첩] 개미지옥? 그보다 더한 '기업지옥'...누굴 위한 세제개편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