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11.01 토요일
흐림
서울 10˚C
맑음
부산 11˚C
맑음
대구 11˚C
맑음
인천 11˚C
흐림
광주 13˚C
비
대전 11˚C
비
울산 12˚C
흐림
강릉 11˚C
흐림
제주 17˚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고부가 강종'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1
건
'양보다 질' 택했다…현대제철, 철강 내 구조 전환 본격화
[이코노믹데일리] 현대제철이 경기 둔화 속에서도 자동차 강판·후판 등 고부가 제품 비중을 늘리며 수익성 회복에 성공했다. 단순한 업황 반등이 아니라 '싸게 많이 파는' 기존 철강 구조에서 '비싸도 질 높은 제품'으로 체질을 바꾸는 변화가 본격화 되면서다. 31일 현대제철은 올해 3분기 연결 기준 매출 5조7344억원, 영업이익 932억원, 당기순이익 178억원을 기록했다고 공시했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7% 늘었고 영업이익은 81% 증가했다. 전분기와 비교해도 영업이익 규모를 유지하며 수익성을 방어했다. 철강 시황이 여전히 부진한 가운데서도 이익을 지켜낸 건 자동차·조선·건설용 등 수익성 높은 강종 중심의 제품 믹스 전환 덕분이다. 현대제철은 지난해부터 '양보다 질' 전략을 강화해왔다. 가격 경쟁이 치열한 일반 구조용 강재 대신 자동차 강판, 초고장력강, 후판 등 고부가 제품 생산 비중을 높였고 그룹 계열사(현대차·기아) 수요를 기반으로 안정적인 판매망을 확보했다. 특히 인도·호주 등 해외 거점을 확대하며 글로벌 완성차용 강판 공급망을 늘린 것도 수익성 개선에 기여했다. 이 같은 전략은 철강산업 전반이 직면한 한계를 돌파하기 위한 구조적 대응이기도 하다. 세계 철강 수요는 경기 둔화와 보호무역 강화로 정체 상태지만, 친환경·미래차·에너지 전환 산업 중심의 '질적 수요'는 커지고 있다. 회사는 이 흐름에 맞춰 미래차용 초고장력강과 친환경 인증 철강재를 선제적으로 개발·양산하고 있다. 아마존웹서비스(AWS)에 저탄소 인증 철강재를 공급하며 글로벌 빅테크와 협력하는 것도 그 일환이다. 철강 본업 안에서 '수익 구조 고도화'를 추구한다는 점에서 신사업 다각화를 통해 성장축을 넓히는 포스코의 행보와는 결이 다르게 비춰진다. 포스코가 이차전지소재·리튬 등 '비(非)철강 핵심사업'으로 성장축을 넓히고 있다면, 현대제철은 철강 내에서 고부가 강종 중심의 내부 혁신으로 방향을 잡은 셈이다. 현대제철 관계자는 "현대제철은 철강 불황기에도 제품 구조를 바꾸는 방식으로 수익성을 방어했다"며 "저가 벌크강에서 벗어나 고부가 수출형 강종 중심으로 가는 변화는 철강산업 전반의 전환 흐름을 보여주는 신호"라고 말했다.
2025-10-31 15:50:06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마이크로소프트 애저·365 서비스, 전 세계적 접속 장애…'클라우드 대란' 현실화
2
'역대 최강' LCK, 롤드컵 8강 점령…우승컵 탈환 청신호
3
삼성바이오에피스, ADC 인투셀 '픽'한 이유는…차세대 성장동력 선점 전략
4
[단독] 토스증권, 출범 이후 약 4년간 본점 정보 공시 누락
5
[데스크 칼럼] '카카오 무죄'가 남긴 질문… 검찰의 칼끝은 무엇을 겨눴나
6
롯데·HD현대 석화 구조조정 빅딜 성사...구조조정·개편 '꿈틀'
7
[2025APEC] 젠슨 황이 들고 올 '선물'은 무엇…15년 만의 방한에 韓 반도체 업계 '들썩'
8
[2025국감] 산자위 국감, 남정운 "정상적 M&A 과정" vs 조용수 "한화솔루션, 과정·결과 불법"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데스크칼럼] 배달앱 '이중가격제', 소비자의 눈 가린 편리함의 그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