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04.04 금요일
안개
서울 7˚C
맑음
부산 6˚C
맑음
대구 6˚C
안개
인천 7˚C
맑음
광주 11˚C
흐림
대전 11˚C
흐림
울산 11˚C
흐림
강릉 11˚C
흐림
제주 9˚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고성능 칩'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2
건
챗GPT 개발사 오픈AI, 연 매출 5조 돌파…폭발적 성장세
[이코노믹데일리] 챗GPT 개발사 오픈AI가 지난해 연간 매출 5조원을 넘어서는 기록적인 성장을 달성했다고 블룸버그 통신이 2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는 유료 구독자 증가에 힘입은 결과로 오픈AI는 올해 매출이 20조원에 육박하고 2029년에는 180조원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블룸버그 통신은 소식통을 인용해 오픈AI의 2023년 매출이 37억 달러(약 5조4000억원)를 기록했다고 전했다. 이는 2022년 매출 16억 달러의 두 배를 훌쩍 뛰어넘는 수치다. 특히 올해 매출은 작년보다 3배 이상 증가한 127억 달러(약 18조60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며 내년에는 올해의 두 배를 넘는 294억 달러(약 43조2000억원)에 달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왔다. 이러한 성장세는 뉴욕타임스가 작년 9월 보도한 오픈AI의 2025년 목표 매출액 116억 달러를 이미 10% 초과한 수준이다. 오픈AI의 폭발적인 매출 증가는 유료 구독 서비스의 확장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다양한 유료 구독 모델을 출시한 오픈AI는 기업용 챗GPT 유료 사용자가 작년 9월 기준 100만 명을 돌파하는 등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최근에는 최고급 AI 모델을 활용 가능한 월 200달러의 ‘챗GPT 프로’ 옵션을 도입했으며 수천 달러에 달하는 프리미엄 서비스 출시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러한 추세에 힘입어 2029년에는 매출이 올해 예상치의 10배에 달하는 1250억 달러(약 183조7000억원)에 이를 것이라는 장밋빛 전망도 제시됐다. 하지만 오픈AI는 매출 급증과 동시에 AI 시스템 개발에 막대한 비용을 쏟아붓고 있다. 첨단 AI 모델 개발에 필수적인 고성능 칩, 데이터 센터 구축, 인재 확보 등에 천문학적인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다. 소식통은 이러한 투자 확대로 인해 오픈AI가 2029년까지는 흑자 전환을 이루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했다. 현재 오픈AI는 손정의 소프트뱅크 회장이 주도하는 투자 유치를 통해 최대 3000억 달러의 기업 가치로 400억 달러 규모의 자금 조달을 추진하고 있다. 더불어 비영리 법인에서 영리 법인으로 전환하기 위한 규제 당국과의 협의도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2025-03-27 08:09:14
오픈AI vs 딥시크, '가성비' 넘어 '성능' 경쟁…AI 신경전 고조
[이코노믹데일리] 글로벌 인공지능(AI) 업계에 파란을 일으킨 중국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와 AI 선두 주자 오픈AI가 '가성비'를 넘어 '성능'을 두고 미묘한 신경전을 벌이고 있다. 양측의 경쟁은 단순한 기술 경쟁을 넘어 글로벌 AI 주도권을 둘러싼 치열한 경쟁의 서막을 알리는 신호탄으로 해석된다.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는 27일(현지시간) X(옛 트위터)를 통해 딥시크의 'R1' 모델에 대해 "특히 제작 비용을 고려한다면 인상적"이라고 평가했다. 이는 딥시크의 '가성비'를 인정하는 듯 보이지만 "우리가 훨씬 뛰어난 모델을 내놓을 것"이라는 발언을 덧붙이며 은근한 견제와 함께 성능 우위에 대한 강한 자신감을 드러냈다. 이러한 반응은 딥시크에 대한 미국 AI 업계 일각의 의구심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현재 AI 업계는 딥시크가 오픈AI, 앤스로픽, 구글 등 경쟁 모델 대비 훨씬 적은 비용으로 AI 모델을 개발했다는 점에는 동의한다. 그러나 딥시크가 엔비디아의 고성능 칩 'H100'을 대량으로 사용한 사실을 숨기고 있다는 의혹과 함께 'R1'의 성능이 오픈AI 모델을 능가한다는 주장에 대해서도 독립된 연구기관의 검증이 필요하다는 신중론이 제기되고 있다. 딥시크의 발표를 100% 신뢰하기에는 아직 이르다는 분위기이다. 이에 딥시크는 전날 자체 기술 보고서를 통해 반격에 나섰다. 문장으로 이미지를 생성하는 능력 분야에서 자사의 'Janus' 최신 버전이 오픈AI의 'DALL-E'와 영국 스태빌리티AI의 '스테이블 디퓨전'을 제쳤다고 주장했다. 지난해 말 출시된 'Janus'가 훈련 과정과 데이터 품질 개선을 통해 이미지 안정성과 디테일이 크게 향상되었고 이미지 생성 벤치마크에서 이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특히 'Janus' 최신 버전에 추가된 7200만 개의 고품질 합성 이미지를 실제 데이터와 균형 있게 결합하여 시각적으로 더 매력적이고 안정적인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딥시크가 제시한 벤치마크 결과에 대해서도 논란이 일고 있다. AI 업계 일각에서는 딥시크가 언급한 벤치마크의 기준이나 테스트 환경의 공정성에 의문을 제기하며 실제 활용 사례와 안정성 검증이 필요하다는 반론을 제기하고 있다. 결국 오픈AI와 딥시크 간의 신경전은 '가성비'를 넘어 '성능'에 대한 진실 공방으로 번지고 있다. 양측의 주장에 대한 객관적인 검증과 평가가 이루어지기 전까지는 섣부른 판단을 유보해야 할 것이다. 다만 이번 논쟁은 글로벌 AI 시장에서 새로운 강자로 부상한 딥시크의 존재감과 더불어 AI 기술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것임을 예고하고 있다.
2025-01-28 18:18:01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챗GPT '지브리풍' 그림 열풍, 저작권·차별 논란 확산
2
배달앱 두잇, '토스뱅크 성공 주역' 김지웅 CSO 영입
3
"만우절 이벤트 대방출"…웃음+할인 쏟아낸다
4
풀 밸류체인으로 한국 시장 공략하는 BYD…결론은 소비자 '선택'에 달렸다
5
탄산음료에서 시작했던 '저당 트렌드' 식품업계 전반으로 빠르게 확산
6
태영건설, 순이익 431억원 기록... PF 구조조정은 여전히 부담
7
현대차그룹, 210억 달러 美 투자에 숨은 전략…'수소 생태계' 선점 노린다
8
"끝나지 않는 배민과 쿠팡이츠의 전쟁"…권역 확대에 포장 수수료 무료까지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기자수첩] 손바닥으로 하늘 가리는 G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