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04.04 금요일
맑음
서울 15˚C
맑음
부산 14˚C
흐림
대구 17˚C
맑음
인천 11˚C
흐림
광주 15˚C
맑음
대전 16˚C
흐림
울산 13˚C
흐림
강릉 13˚C
흐림
제주 12˚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고정이하여신비율'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2
건
지난해 카드사 연체율 10년만에 최고치...순이익 0.3%↑
[이코노믹데일리] 지난해 8개 전업카드사(삼성·신한·현대·KB국민·우리·하나·롯데·BC카드)의 순이익은 2.5조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보다 0.3% 증가한 반면 연체율은 10년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19일 금융감독원의 ‘2024년 여신전문금융회사 영업실적(잠정)’ 발표에 따르면 지난해 8개 전업 카드사 당기 순이익은 2조5910억원으로 전년 대비 0.3% 올랐다. 카드 대출 수익, 할부 카드 수수료 등이 증가했지만 이자 비용, 대손 비용도 증가하며 적은 상승률을 보였다. 카드사의 자산 건전성은 악화됐다. 지난해 △카드 대금 △신용 대출 △리볼빙 △카드론 △할부금 등 상품의 1개월 이상 연체율을 의미하는 카드사 연체율은 1.65%였다. 전년 말(1.63%)보다 0.02%p 상승해 지난 2014년 1.69% 기록 이후 10년만의 최고치다. 고정이하여신비율은 전년 말(1.14%) 대비 0.02%p 올라 1.16%를 기록으며, 같은 기간 대손충당금 적립률은 108.1%로 지난해 말(109.9%) 대비 하락했으나 모든 카드사가 100%를 넘겼다. 자본 적정성 지표인 조정자기자본 비율은 20.4%를 기록해 모든 카드사가 경영 지도 비율인 8%를 웃돌았다. 레버리지 비율은 5.2배로 전년 말(5.4배) 대비 하락했다. 지난해 비카드 여신전문금융회사 181개사의 당기순이익은 2조4898억원으로 집계됐다. 전년 당기순이익인 2조7026억원 대비 2128억원(7.9%) 감소한 금액이다. 이는 리스·렌탈·할부 수익, 이자 수익이 증가했지만 이자 비용, 유가증권 관련 비용 등의 증가 폭이 더 높았던 영향으로 풀이된다. 연체율은 전년 말보다 0.22%p 상승한 2.10%, 고정이하여신비율은 0.66%p 오른 2.86%였다. 금감원 관계자는 “연체율, 고정이하여신비율 등 자산 건전성 지표는 상승했으나 상승세는 둔화됐다”며 “올해 중 가맹점 우대수수료율 개편, 오프라인 간편결제 수수료 논의 등에 따른 카드사 수익성 변화와 비카드 여전사의 수익성 추이를 면밀히 모니터링하겠다”고 말했다.
2025-03-19 16:14:13
BNK금융, 3분기 누적 순익 7051억원…"주주환원율 50% 목표"
[이코노믹데일리] BNK금융그룹은 올해 3분기 누적 기준 당기순이익(지배기업 지분) 7051억원을 거뒀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406억원(6.1%) 늘어난 수치다. 30일 BNK금융은 실적공시를 통해 올해 3분기 당기순이익은 2128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2043억원)보다 4.2% 늘어났다고 밝혔다. BNK금융 관계자는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등 부실자산 증가로 인해 대손 비용이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이자이익과 유가증권 관련 이익 등 비이자이익이 증가함에 따라 전년 동기 대비 당기순이익이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주요 계열사인 은행 부문에서는 BNK경남은행이 3분기 누적 기준 21.5% 증가한 2908억원의 당기순이익을 기록해 실적 증가를 견인했다. 반면 BNK부산은행은 지난해보다 2.1% 감소한 3847억원을 거두는 데 그쳤다. 비은행 부문은 유가증권 관련 이익 증가에도 불구하고 부실자산이 늘면서 충당금 전입액 규모가 확대돼 전년 동기 대비 7.4% 감소한 1241억원의 당기순이익을 나타냈다. BNK투자증권(-122억원)은 당기순이익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감소했지만 △캐피탈(+16억원) △저축은행(+17억원) △자산운용(+9억원) 등은 전년 동기 대비 증가했다. 그룹 자산건전성 지표인 고정이하여신비율(NPL)은 1.18%로 전 분기 대비 4bp(1bp=0.01%p) 하락했지만, 연체율은 0.98%로 전 분기 대비 4bp 상승했다. 부동산 PF 사업성 평가기준 변경과 경기둔화에 따른 부실 증가가 반영되면서 악화했다는 분석이다. 그룹 자본적정성 지표인 보통주자본(CET1)비율은 적정이익 실현과 적극적인 위험가중자산(RWA) 관리로 전분기대비 15bp 상승한 12.31%로 개선됐다. 개선된 CET1비율을 바탕으로 BNK금융은 이날 주주환원 확대를 위한 '기업가치 제고(밸류업)' 계획을 발표했다. 핵심목표는 자기자본이익률(ROE) 10% 이상 달성이다. 올 3분기 말 기준 그룹 ROE는 8.97%다. 아울러 △CET1비율 12.5% 지향 △위험가중자산(RWA) 성장률 연 4% 이내 △2027년까지 주주환원율 50% 이상 달성 등 세 가지 목표를 제시했다. 권재중 BNK금융 CFO(최고재무책임자)는 "수익성 핵심목표를 ROE 10%로 수립하고, 안정적인 수준의 RWA 성장을 통한 자본 효율성 제고와 그룹의 펀더멘털 강화를 위해 최선을 다할 예정"이라며 "중기 CET1비율 목표를 12.5%로 설정하고 주당배당금을 안정적으로 확대하는 범위 내에서 자사주 매입·소각 비중을 최대화해 2027년까지 50% 이상의 주주환원율을 달성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2024-10-30 18:17:38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챗GPT '지브리풍' 그림 열풍, 저작권·차별 논란 확산
2
배달앱 두잇, '토스뱅크 성공 주역' 김지웅 CSO 영입
3
"만우절 이벤트 대방출"…웃음+할인 쏟아낸다
4
풀 밸류체인으로 한국 시장 공략하는 BYD…결론은 소비자 '선택'에 달렸다
5
탄산음료에서 시작했던 '저당 트렌드' 식품업계 전반으로 빠르게 확산
6
태영건설, 순이익 431억원 기록... PF 구조조정은 여전히 부담
7
현대차그룹, 210억 달러 美 투자에 숨은 전략…'수소 생태계' 선점 노린다
8
인천대공원 벚꽃축제 취소… 공원 관람은 가능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기자수첩] 손바닥으로 하늘 가리는 G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