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총 4건
-
-
"설 선물, 어디서 사지?"…카드업계, 명절 혜택 '풍성'
※ '알쓸보카'는 '알'아두면 '쓸'데있는 '보'험 및 '카'드 업계의 머리말을 합성한 것으로, 한 주간 주요 보험·카드 업계의 따끈따끈한 이슈, 혹은 이제 막 시장에 나온 신상품을 소개하는 코너입니다. 마음이 포근해지는 주말을 맞아 알뜰 생활 정보 챙겨 보세요! [편집자 주] [이코노믹데일리] 카드사들이 설 명절 전후로 내수 활성화에 힘을 싣는다. 온·오프라인 다양한 가맹점에서 선물세트 할인 등 결제 혜택을 제공하거나 대형마트·재래시장과도 제휴해 할인 이벤트를 진행한다. 25일 카드업계에 따르면 KB국민카드는 설을 맞아 KB Pay(페이)를 이용하는 회원 대상으로 KB온누리쇼핑 할인쿠폰을 제공한다. 다음 달 10일까지 KB Pay 쇼핑 내 KB온누리쇼핑에서 전통시장 상품을 판매하는 '설날은 KB온누리로 준비하설!' 행사 기간 동안 15% 할인 충전에 추가로 사용 가능한 전통시장관 5% 할인 쿠폰을 제공한다. 5% 할인 전통시장관 쿠폰은 최소 주문 금액 제한 없이 사용 가능하며 최대 할인 금액은 10만원이다. 충전식 카드형 온누리 상품권은 보유하고 있는 국민카드를 온누리상품권 애플리케이션(앱)에 등록하고, 계좌이체 충전 후 등록한 국민카드로 온누리상품권 가맹점에서 사용 가능하다. 국민카드 관계자는 "전통시장을 직접 방문하기 어려운 경우에도 KB Pay에서 할인된 금액으로 명절 선물 준비가 가능하다"며 "이번 이벤트를 통해 알찬 설 선물 준비와 함께 즐거운 설 연휴 보내시길 바란다"고 말했다. 롯데카드는 이달 30일까지 디지로카앱 띵샵에서 설 기획전 선물세트 결제 시 최대 10% 할인 쿠폰을 제공한다. 5만원 이상 결제 시 2~3개월, 30만원 이상 결제 시 6개월 무이자 할부 혜택도 이용할 수 있다. 또 이달 31일까지 설 생활 필수품 7% 즉시 할인 행사도 진행한다. 온·오프라인 가맹점에서도 선물세트 결제 시 다양한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이달 29일까지 롯데마트에서 선물세트를 결제하면 최대 30% 즉시 할인 또는 결제금액 구간별 혜택(롯데상품권 증정 또는 즉시할인) 중 하나를 선택해 받을 수 있다. 이달 31일까지 롯데마트(MAXX 6개점 제외)에서 롯데마트&MAXX 카드로 딸기 결제 시 20% 즉시 할인 혜택을 제공한다. 이달 30일까지 롯데슈퍼에서 선물세트를 구매하면 최대 30% 즉시 할인과 결제금액 구간별 롯데상품권 증정 혜택도 중복 제공하고, 홈플러스에서 선물세트 결제금액 구간에 따라 즉시 할인 또는 홈플러스 상품권 증정 혜택을 제공한다. 아울러 농협 하나로마트에서 선물세트 결제 시 즉시 할인 또는 결제금액 구간별 농촌사랑상품권 증정 혜택을 제공한다. 이달 29일까지 이마트에서 선물세트를 결제하면 최대 50% 할인 또는 결제금액 구간별 혜택(신세계상품권 증정 또는 할인)을 받을 수 있다. 이와 함께 이달 31일까지 쿠팡에서 선물세트를 결제하면 최대 20%를 즉시 할인해 주고, G마켓과 옥션에서 설 빅세일 행사상품을 3만원 이상 결제 시 5~7%를 최대 30만원까지 즉시 할인받을 수 있다. 롯데카드 관계자는 "높아진 물가로 인해 명절 선물에 대한 고민이 깊어진 고객이라면 이번 이벤트 혜택을 이용하시길 바란다"고 언급했다. NH농협카드는 다음 달 9일까지 설날 행운 이벤트를 진행한다. 행사 기간 중 농협 개인카드로 국내 전 가맹점 30만원 이상 결제하는 고객을 대상으로 추첨을 통해 총 2331명에게 1만원 상당의 상품권을 증정한다. 카드 이용금액 30만원당 추첨권이 1장씩 부여되며(최대 10장), 원하는 상품권을 선택해 응모할 수 있다. 증정 상품권은 △하나로마트 모바일금액권 1만원권(777명) △배달의민족 상품권 1만원권(777명) △올리브영 기프트카드 1만원권(777명)이다. 이달 31일까지 NH pay 신년맞이 이벤트도 마련했다. NH pay 고객이라면 이벤트에 응모할 수 있으며, 추첨을 통해 △스텝밀 머신(1명) △다이슨 에어랩 오리진 플러스(5명) △배달의민족 상품권 1만원권(500명)을 증정한다. 설 연휴를 맞아 여행을 계획 중인 고객을 위한 할인 혜택도 마련했다. 각각 △호텔스닷컴(올해 12월 31일까지) △아고다(올해 12월 31일까지) △트립닷컴(이달 31일까지)에서 최대 8~10% 즉시할인을 받을 수 있다. 해당 혜택은 'NH pay > 이벤트 > 여행/해외 > 제휴사별 전용 페이지'에서 쿠폰 코드를 입력하면 된다. 농협카드 관계자는 "민족대명절인 설 연휴를 더 즐겁게 보내시길 바라는 마음으로 이벤트를 준비했다"며 "새해에도 다양한 혜택과 풍성한 이벤트로 고객들에게 보답하겠다"고 전했다. 하나카드는 100% 당첨 랜덤박스 이벤트를 시작으로 설 선물 준비, 설 연휴 여행 그리고 귀성길 혜택 등 다양한 부문에서 프로모션을 진행한다. 먼저 100% 당첨 랜덤박스 이벤트는 이달 31일까지 한 달간 진행된다. 이벤트 기간 내 하나 개인 신용·체크카드로 랜덤박스 1원을 결제한 손님을 대상으로 추첨을 통해 갤럭시 탭 S10 울트라 5G(512GB), 네이버페이 포인트 5만원권, 10하나머니까지 푸짐한 경품 혜택을 제공한다. 설 명절 선물세트를 준비하려는 손님을 위해 △이마트 △홈플러스 △롯데마트 △농협하나로마트 △이마트 에브리데이 △GS THE FRESH에서 최대 50% 할인 또는 구매 금액대별 상품권을 증정한다. 또 △네이버 △쿠팡 △G마켓 등 온라인 쇼핑몰에서도 설 명절 선물세트 최대 20%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아울러 △LG전자 온라인몰 50만원 이상 결제 시 7% 청구할인 △다이슨(소형 가전) 40만원 이상 결제 시 최대 10% 즉시할인 등 다양한 효도가전 할인 혜택도 만나볼 수 있다. 설 황금연휴를 맞아 여행을 떠나는 손님께는 △모나 용평 △하이원 리조트 △웰리힐리파크 등 전국 7대 스키장 리프트·렌탈 최대 50% 현장 할인 △인터파크 투어 패키지여행 상품 30만원 이상 결제 시 최대 6% 쿠폰할인 △마이리얼트립 10만원 이상 결제 시 5000원 즉시할인 혜택이 준비돼 있다. 다양한 하나Pick 쿠폰 할인 혜택도 준비했다. 안전한 귀성길을 위해 △스피드메이트에서 국산차 엔진오일 교환 시 2만2000원 즉시 할인 △S-OIL 5만원 이상 결제 시 3000원 청구할인 등의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이와 함께 △롯데시네마 9000원 영화관람권 쿠폰을 제공해 합리적인 가격에 영화를 관람할 수 있다. 이완근 하나카드 영업그룹장은 "설 명절을 맞아 마음을 전하려는 손님을 위해 다양한 할인 이벤트를 기획했다"며 "설 연휴 동안 하나카드 혜택으로 더 편안한 시간을 보내시길 바란다"고 했다.
2025-01-25 06:00:00
-
-
LH 임대주택 입주민 311명 고가 자동차 보유
[이코노믹데일리] 서민 주거복지 일환으로 마련된 임대아파트에 살면서 자격 기준을 상회하는 고가 자동차를 보유한 사례가 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임대주택 거주민의 고가차 보유 문제는 꾸준히 제기돼 왔는데, LH가 재계약 기준을 강화했음에도 비슷한 문제가 되풀이된다는 지적이 나온다. 4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김희정 의원이 한국토지주택공사(LH)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현재 LH 임대주택 입주민 가운데 311명이 입주 및 재계약 자격 기준 이상의 차량을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135명은 수입차를 갖고 있다. 이들의 차량을 브랜드별로 보면 BMW가 50대로 가장 많았으며, 메르세데스-벤츠 38대, 테슬라 9대, 아우디 9대, 포르쉐 5대 등이었다. 충북 청주시 청원구의 한 국민임대 아파트 입주민은 1억8000만원에 이르는 2023년식 포르쉐 카이엔 터보를, 전북 익산시 오산면의 한 임대아파트 입주민은 1억원이 넘는 2022년식 포르쉐 카이엔을 각각 보유 중이다. 또 BMW iX xDrive50(9800만원), 벤츠 S650(8700만원), 카이엔 쿠페(7800만원), 레인지로버(6300만원), 볼보 XC90(6200만원), 벤틀리 컨티넨탈 GT(4600만원) 등이 입주자 보유 차량 명단에 포함됐다. 고가 국산차로는 제네시스 모델이 78대로 가장 많았다. 국산 전기차 브랜드 중 최대 6000만원에 이르는 EV6 20대, 아이오닉5 8대 등도 있었다. LH는 임대아파트 자격 기준으로 소득과 함께 세대가 보유한 모든 차량의 합산 가액이 3708만원 이하가 돼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그런데도 고가 차량 보유자가 임대아파트에 입주할 수 있는 것은 제도상 허점 때문이다. LH는 임대아파트 입주민의 고급 차가 사회적 논란이 되자 올해 1월 5일을 기준일로 그 이전 입주자는 차량가액 초과 시 1회에 한해 재계약을 허용하고, 이후 입주자는 재계약을 거절할 수 있도록 제도를 바꿨다. 현재 고가 차량을 보유한 입주민 중 271명은 최초 입주연도가 지난 1월 5일 이전이어서 고가 차량을 보유하고 있어도 임대차 계약 종료 후 재계약이 가능하다. 이들 271명 중 76명은 최대 2028년까지 거주할 수 있다. LH가 입주자 재계약을 위해 계약 만료 3∼4개월 전 사회보장정보원에 입주자 자격조회를 요청하고 있는 것도 임대아파트의 고가 차량 문제가 반복되는 이유로 지적된다. 입주 희망자가 자격조회 기간에만 고가 차량을 보유하지 않으면 재계약이 가능하다는 점에서다. 김 의원은 “국민 세금으로 지어진 임대아파트에 거주하면서 고가 차량을 보유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며 “정부와 LH는 입주자 자격조회를 더욱 강화하는 등 제도의 미비점을 적극 보완해 정말 지원이 절실한 취약계층 등에 주거복지 혜택이 돌아갈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LH는 이에 대해 “정기적으로 등록 차량 전수조사를 시행해 입주민의 고가 차량 보유 및 주차 등을 제한 중”이라며 “임대주택 고가차량 보유에 대해서는 제도 개선과 재계약 거절, 주차등록 제한 등을 통해 엄격히 관리하겠다”고 밝혔다.
2024-10-04 08:25: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