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07.29 화요일
맑음
서울 26˚C
맑음
부산 22˚C
맑음
대구 27˚C
맑음
인천 26˚C
맑음
광주 25˚C
맑음
대전 25˚C
맑음
울산 24˚C
맑음
강릉 27˚C
구름
제주 26˚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금융인'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2
건
'이재명' 인맥에 쏠린 시선…여의도엔 연결고리 '無'
[이코노믹데일리] 새 정부가 출범한 가운데 투자금융업계에서는 이재명 대통령과 인맥 관계에 관심이 커지고 있다. 그러나 주요 증권사에서는 이 대통령과 직접적인 학연이나 정치적 연관이 있는 인물은 드문 것으로 나타났다. 9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 1964년생 경상북도 안동에서 태어나 고등학교 검정고시에 합격한 뒤 중앙대 법학과를 졸업했다. 변호사 출신인 이 대통령은 지난 2005년 열린우리당에 입당하며 성남시장, 경기도지사 등을 거쳤다. 신정부가 출범하면서 여의도 증권가에 이 대통령 인맥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다만 국내 주요 증권사에서 이 대통령과 측근인 최고경영자(CEO)는 없었다. 앞서 윤석열 전 대통령이 당선됐을 당시 충암고등학교 출신 여의도 모임 '충여회'가 주목을 받았다. 증권·자산운용사 CEO가 주축이 돼 만들어진 충여회에는 김경배 전 금융투자협회 본부장(9회), 서명석 전 유안타증권 대표(9회), 정환 전 신한투자증권 부사장(11회) 등이 포함됐었다. 이 대통령과 동문인 국내 증권사 CEO는 전무했다. 20년간 대표이사직을 이어오다 지난달 퇴임한 원종석 신영증권 회장이 투자금융업계에서 유일한 중앙대 출신 인물이었다. 원 회장은 중앙대 토목공학과를 졸업했는데 현재 대표이사에서 퇴임한 후 이사회 의장직을 맡고 있다. 이외 인물로는 NH농협손해보험 부사장을 역임한 문연우 NH투자증권 비상임이사도 중앙대 출신이다. 또 IB1사업부대표를 맡고 있는 이성 전무도 중앙대 경영학과를 나왔다. 또 이 대통령과 같은 법학을 전공한 CEO는 박봉권 교보증권 대표가 유일했다. 전공을 졸업한 증권사의 경우 업의 이해도가 높아야 하기 때문에 최고경영자(CEO) 전공은 경영학과와 경제학이 다수를 차지하기 때문이다. 이 대통령과 동갑인 용띠 증권사 CEO는 정일문 한국투자금융지주 부회장, 강성묵 하나증권 대표, 남기천 우리투자증권 대표, 전우종 SK증권 대표 등이 있었다. 한편 대선 과정에서 이 대통령을 지지하는 전·현직 금융인 임원 157명도 많은 주목을 받았다. 이중 투자금융업계 인물은 정의동 전 코스닥위원회 초대 상임위원장, 정한기 전 유진자산운용 대표이사 등이 포함됐다.
2025-06-09 06:13:00
신용카드 3월 브랜드 평판 신한카드 1위...실적에서도 다시 앞설 수 있나
[이코노믹데일리] 신한카드가 9개월 만에 신용카드 브랜드 평판 1위를 달성했다. 최근 박창훈 대표 취임, 신규 상품 출시 등 경쟁력 강화에 속도를 올리면서 실적에서도 1위를 되찾을 수 있을지 주목된다. 10일 한국기업평판연구소에 따르면 이달 신용카드 브랜드 평판 1위는 신한카드가 차지했다. 삼성카드와 현대카드가 2위와 3위로 뒤를 이었다. 신한카드는 △참여 지수 88만7632점 △미디어 지수 81만3265점 △소통 지수 68만3491점 △커뮤니티 지수 36만3628점 △사회 공헌 지수 33만7340점 △CEO(최고경영자) 지수 29만1828점으로 총 점수 337만7185점을 기록했다. 지난달 점수인 222만1306점 대비 52.04% 상승했다. 지난달 대비 세부 상승치는 △참여 지수 2.94% △미디어 지수 68.87% △소통 지수 90.71% △커뮤니티 지수 2.82% △사회 공헌 지수 148.8% △CEO 지수 878.37%로 특히 CEO 지수가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박 대표는 지난달 발표한 아시아브랜드연구소의 ‘K-브랜드 지수’ 금융인(카드사) 부문에서도 1위를 차지했다. 이는 올해 새로 취임한 박창훈 신한카드 대표 체제 아래 성장 기대감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한정근 아시아브랜드연구소 대표는 지수 발표와 함께 “주요 9개 카드사 중 6개 카드사가 CEO를 교체한 가운데 신임 CEO들은 지속 성장과 내부 쇄신이라는 막중한 임무를 부여받은 상황”이라며 “박창훈 대표는 애플페이 도입, 프리미엄 카드 출시, 조직 개편 등을 추진하며 주목받고 있다”고 말했다. 박 대표 취임 이후 신한카드는 올해 들어 다양한 사업들을 전개하며 경쟁력 강화에 열을 올리고 있다. 지난달 신한카드는 6년 만에 프리미엄 카드 ‘더 베스트 엑스(The BEST-X)’를 출시했다. 프리미엄 카드는 연회비가 비싸고 결제 금액이 높은 우량 고객을 대상으로 판매하기 때문에 수익성이 높다. 또한 경제력을 갖춘 주요 고객 특성상 연체 위험도가 낮아 건전성 측면에서도 이점이 있다. 최근 해외여행 수요가 증가하면서 신한카드는 해외 결제 고객 유치 전략도 추진 중이다. 지난달 ‘위챗페이 QR 연동 결제 서비스’를 출시해 무비자 허가 이후 중국 여행을 떠나는 고객들의 결제 편의성을 높였다. 업계는 신한카드가 애플페이도 곧 도입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신한카드는 올 1분기 애플페이 서비스 출시를 준비 중이다. 지난달 신한SOL페이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에서 애플페이 개인정보 제공 약관이 노출되기도 했다. 애플페이 도입 시 고객 결제 편의성을 높이고 애플 스마트폰을 많이 사용하는 ‘MZ 고객층’을 확보할 수 있다. 다만 수수료 부담으로 수익성 악화, 카드 혜택 축소 등 우려도 있다. 현재 신한카드의 신용판매액은 현대카드에, 순이익은 삼성카드에 뒤처지는 상황이다. 앞으로의 전략이 경쟁력 강화로 이어질지 중요한 관건이다. 지난 1월 기준 신한카드의 신용판매액은 14조67억원으로 2위다. 1위는 14조3171억원을 기록한 현대카드가 차지했다. 신한카드의 지난해 순이익은 5271억원으로 전년 대비 7.8% 줄었다. 반면 순이익 1위를 달성한 삼성카드는 전년보다 9.1% 증가한 6656억원의 수익을 올렸다. 박창훈 신한카드 대표는 취임사에서 “비용은 줄이며 시장 지위를 높이고 리스크를 낮추면서도 수익 자산을 확대하는 일들은 보통의 노력으로 이룰 수 없다”며 “우리가 시장을 흔들 무언가를 만들어 내야 한다면 오직 많은 시도를 해보는 것이 유일한 열쇠”라고 말하기도 했다.
2025-03-10 17:58:35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국내 최대'가 '국내 최다 하자'로… 흔들리는 현대건설의 신뢰
2
SKT 해킹 피해, 내 정보는...오늘부터 유출 여부 직접 확인 가능
3
美 통상압력에 볼모가 된 '온플법'…빅테크 규제 공약, 모두 '올스톱'
4
690조 '스타게이트' AI 프로젝트 차질…엔비디아 등 반도체주 급락
5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최종 선발전, 네이버·LG·SKT 등 10개팀, 기술·세력 과시 총력전
6
체코 원전 덕에…올 상반기 해외건설 수주 11년 만에 최고
7
크래프톤, '인수 대박'이 '3447억 소송 대란'으로… M&A 후폭풍 맞나
8
국내 AI 기술, 글로벌 무대서 '성과' 입증…LG·업스테이지·네이버 약진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기자수첩] '지시'로 SPC 산재 막을 수 없다…'진짜 실행력' 증명돼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