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08.19 화요일
흐림
서울 32˚C
구름
부산 31˚C
흐림
대구 33˚C
흐림
인천 31˚C
흐림
광주 32˚C
흐림
대전 32˚C
흐림
울산 33˚C
흐림
강릉 32˚C
맑음
제주 31˚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김재경'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2
건
LH공사, 올 하반기 11.4조 발주 예정…공공주택 건설에 8조 투입
[이코노믹데일리]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올해 하잔기 총 11조4000억원 규모의 공사‧용역을 발주한다고 17일 밝혔다. 이중 70%인 8조원을 공공주택 건설 분야에 배정해 신규 주택 공급 확대를 통한 부동산 시장 안정에 집중할 방침이다. 올해 전체 발주 규모는 19조6000억원으로 확정됐다. 이는 연초 계획(19조1000억원) 보다 5000억원 증가했으며, 지난해 계획(18조2000억원)보다 1조4000억원 이상 늘어난 금액이다. 하반기 주요 발주 예정 사업으로는 △고양창릉 S-3·S-4블록 건설공사(4726억원) △남양주왕숙 4공구 조성공사(2763억원) △인천계양 A10블록 건설공사(2121억원) 등이 있다. 유형별로 보면 공사 부문이 10조4000억원, 용역 부문이 1조원 규모다. 공사 부문은 종합심사낙찰제 7조1000억원(67건), 간이형종합심사제 1조1000억원(54건), 적격심사제 1조2000억원(234건), 기타 1조원(10건)으로 구성됐다. 용역 부문은 종합심사 7000억원(65건), 적격심사 2000억원(219건), 기타 720억원(44건)이다. 김재경 LH 경영관리본부장은 "침체된 건설 경기 회복과 주택 공급 안정을 위해 발주계획을 확대했다"며 "월·분기별 발주 일정과 실적을 면밀히 관리해 차질 없이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2025-08-17 15:38:50
KAIST-삼성전자, 수학으로 푸는 '최적 수면 시간'...갤럭시워치에 탑재
[이코노믹데일리] 한국과학기술원(KAIST) 연구진이 개발한 개인 맞춤형 수면 가이드 알고리즘이 삼성전자와의 협력을 통해 글로벌 상용화의 길을 열었다. 이 기술은 이달부터 출시된 ‘갤럭시 워치8’ 등 최신 삼성 갤럭시 워치에 탑재돼 전 세계 사용자에게 과거 데이터 분석을 넘어선 '미래 설계형' 수면 관리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한다. 이번 성과는 순수 수학 이론이 실제 산업 기술로 확장된 대표적인 산학협력의 성공 사례로 평가받는다. 이번에 상용화된 기술의 핵심은 KAIST 수리과학과 김재경 교수 연구팀이 개발한 수면 시간 추천 알고리즘이다. 기존 스마트워치들이 사용자가 ‘어젯밤 몇 시간을 잤는가’와 같은 과거의 수면 기록을 보여주는 데 그쳤다면 김 교수팀의 알고리즘은 한발 더 나아간다. 수학적 모델링과 생체리듬 이론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누적된 수면 패턴을 분석, 수면 압력과 생체시계 상태를 종합적으로 고려한다. 이를 통해 ‘오늘 밤 언제 잠자리에 들어야 내일 하루를 가장 상쾌하게 보낼 수 있는지’를 예측해 알려준다. 단순히 몇 시간 자라는 식의 추상적인 권고가 아니다. “밤 11시 10분에서 11시 40분 사이에 잠자리에 드는 것이 이상적입니다”와 같이 구체적이고 실천 가능한 ‘시간 창(time window)’을 제시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는 수면을 단순히 기록하고 평가하는 수동적 관리를 넘어 사용자가 더 나은 하루를 위해 능동적으로 수면 전략을 세울 수 있도록 돕는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과 근본적인 차이를 보인다. 마치 어제의 날씨를 분석하는 것을 넘어 내일의 날씨를 예보해 우산을 챙기도록 조언하는 것과 같다. 이 알고리즘은 이미 학계에서도 그 과학적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지난 6월 미국에서 열린 세계 최대 수면학회인 ‘SLEEP 2025’에서 김 교수의 강연은 학계의 주목을 받는 ‘핫 토픽스(Hot Topics)’ 세션에 선정됐으며 오는 9월 싱가포르에서 개최되는 ‘World Sleep 2025’ 학회에서도 소개될 예정이다. 이는 해당 기술이 상업적 가치뿐만 아니라 학문적 엄밀함까지 갖췄음을 방증한다. 이번 산학협력의 성공 뒤에는 3년에 걸친 연구팀의 끈기와 KAIST의 지원이 있었다. 김재경 교수는 “수학 연구실 자체적으로 수면 건강 앱을 개발하며 꾸준히 연구를 개선해왔지만 비전문 개발팀으로서 상용화까지 쉽지 않았다”고 밝혔다. 논문과 수식 안에 머물 뻔했던 연구가 KAIST 기술가치창출원의 중개를 통해 삼성전자라는 글로벌 파트너를 만나 빛을 보게 된 것이다. 김재경 교수는 세계적인 수리생물학 분야의 권위자로 이번 협업을 통해 수학적 원리가 어떻게 실생활의 문제를 해결하고 수많은 사람의 삶의 질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는지를 명확히 보여줬다. 연구팀은 현재 삼성서울병원과 협력해 더 고도화된 수면 시간 추천 알고리즘을 개발하는 등 후속 연구도 활발히 진행 중이다.
2025-07-28 10:46:15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포스코이앤씨 공사 전면 중단…협력업체·주택공급 '비상'
2
이재명 정부, 'AI 고속도로' 구축 공식화…2030년 세계 3대 AI 강국 목표 제시
3
이재명 대통령 "산재 사망사고 직보"…건설사 옥죄는 정부, 구조 개선은 뒷전
4
[김지영의 전대미문] 전력한계 극복 일등공신…ESS의 A-Z 알아보기
5
스페이스X 스타링크, 장비 인증 통과…'우주 인터넷' 드디어 한국 온다.
6
빌 게이츠, '유퀴즈' 출연 확정…유재석과 만난다
7
"미국선 웃고 중국선 울었다"...삼성전자 반도체 매출 '희비'
8
김건희 목걸이 건넨 서희건설 회장…딸·사위·광고까지 연결된 '구속 퍼즐'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기자수첩] 개미지옥? 그보다 더한 '기업지옥'...누굴 위한 세제개편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