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총 10건
-
-
-
-
-
MS '코파일럿', 금융 내부망 '뚫었다'…26개 금융사 업무 혁신 '시동'
[이코노믹데일리] 마이크로소프트(MS)의 생성형 인공지능(AI) 솔루션 ‘마이크로소프트 365 코파일럿’이 국내 금융 시장의 문턱을 넘었다. MS는 26개 금융사가 자사 내부 업무망에서 ‘마이크로소프트 365 코파일럿’ 사용을 허용했다고 26일 공식 발표했다. 이번 발표는 금융위원회가 지난달 15일 발표한 혁신금융서비스 신규 지정 내역 중 ‘내부 업무용 단말기에서 서비스형소프트웨어(SaaS) 및 생성형 AI 이용’ 항목에 마이크로소프트 365 코파일럿이 포함된 데 따른 것이다. 이에 따라 KB금융지주를 비롯해 은행, 보험, 증권, 저축은행, 카드·캐피탈 등 총 26개 금융 기관이 내부 업무용 PC 환경에서 ‘마이크로소프트 365 코파일럿’을 본격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됐다. 금융 투자 업계의 엄격한 보안 기준을 충족하며 생성형 AI 솔루션이 금융 내부망에 도입되는 것은 이례적인 사례로 평가된다. ‘마이크로소프트 365 코파일럿’은 MS의 워드, 파워포인트, 아웃룩, 엑셀 등 다양한 ‘마이크로소프트 365’ 앱에 적용되는 AI 기반 업무 지원 솔루션이다. 대형 언어 모델(LLM)과 기업의 업무 데이터를 결합, 문서 작성, 자료 요약, 이메일 초안 작성 등 다양한 업무를 자동화하고 생산성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 ‘마이크로소프트 365’는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로 PC, 모바일 등 다양한 기기에서 문서 작업, 협업, 공유를 용이하게 지원한다. 조원우 한국마이크로소프트 대표는 “MS의 AI 솔루션은 금융사의 업무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고 협업 방식을 혁신하는 강력한 도구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더불어 “앞으로 더 많은 금융사들이 생성형 AI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고 빠르게 변화하는 금융 규제 및 보안 요구사항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2025-02-26 11:59:05
-
-
-
NHN, 클라우드 사업 '고공 성장'…'티메프 쇼크'에도 기술 부문 매출 50% 급증
[이코노믹데일리] NHN이 지난해 ‘티메프(티몬·위메프) 사태’라는 예기치 못한 악재 속에서도 클라우드 사업을 중심으로 한 기술 부문의 눈부신 성장을 기록했다. 티메프 관련 대규모 손실 반영으로 연간 실적은 적자 전환했으나 기술 부문의 괄목할 만한 성장세는 NHN의 미래 성장 동력에 대한 긍정적인 전망을 제시했다. 특히 NHN은 올해 수익성 개선을 최우선 과제로 삼고 페이코 사업 전략 재정비 및 자회사 효율화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NHN이 14일 발표한 2023년 4분기 및 연간 실적 자료에 따르면 기술 부문은 4분기에만 1185억원의 매출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50.2%의 폭발적인 성장률을 나타냈다. 연간 기술 부문 매출 역시 4143억원으로 전년 대비 12.6% 증가하며 NHN의 성장을 견인했다. 이 같은 기술 부문의 성과는 공공 기관의 클라우드 네이티브 전환 사업 수주 확대와 정부 주도 인공지능(AI) 사업 협력 강화에 힘입은 결과로 분석된다. NHN은 행정안전부, 국토지리정보원 등 주요 기관의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사(CSP)로 선정되며 클라우드 네이티브 전환 시장에서 선두 입지를 굳혔다. 정우진 NHN 대표는 이날 실적 발표 컨퍼런스 콜에서 "AI 트렌드에 발맞춰 NHN 클라우드 사업이 꾸준히 성장, 회사의 핵심 사업으로 자리매김할 것"이라며 기술 부문 성장세에 대한 기대감을 드러냈다. 반면 NHN 전체 실적은 ‘티메프 사태’의 직격탄을 맞았다. 3분기 티메프 관련 미회수채권 대손상각비 반영으로 인해 NHN은 연결 기준 지난해 326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하며 적자 전환했다. 이와 관련해 정 대표는 "티메프 사태 이후 NHN 페이코는 선택과 집중 전략으로 선회, 수익성이 낮은 일부 서비스를 점진적으로 종료하고 쿠폰, 포인트, 기업 간 거래(B2B) 사업에 집중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NHN 페이코는 2월 중 NHN KCP 사옥으로 이전, 결제 사업 계열사 간 시너지 창출을 통해 수익성 개선에 나설 방침이다. NHN은 수익성 개선을 위한 자회사 정비에도 속도를 낸다. 안현식 NHN 최고재무책임자(CFO)는 컨퍼런스 콜에서 "지난해 14개의 종속회사를 정리했으며 올해에도 커머스 부문을 중심으로 10개 이상의 자회사를 추가 정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는 비핵심 사업 부문을 정리하고 핵심 사업 중심으로 경영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NHN의 전략으로 풀이된다. 한편 NHN은 올해 게임 사업 부문에서 ‘다키스트 데이즈’, ‘어비스디아’ 등 6종의 신작 출시를 예고하며 실적 반등을 꾀한다. 정 대표는 "신작 게임들이 국내외 시장에서 성공적으로 안착, NHN 게임 사업의 성장을 견인할 것"이라며 자신감을 내비쳤다. 또한 NHN의 협업툴 ‘두레이’가 금융위원회의 혁신금융서비스로 지정, 금융기관 내부망 SaaS 서비스 제공을 앞두고 있어 금융 시장 공략을 통한 추가적인 성장 동력 확보에도 기대를 모으고 있다.
2025-02-14 10:05:49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