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04.07 월요일
맑음
서울 20˚C
맑음
부산 18˚C
맑음
대구 23˚C
맑음
인천 17˚C
흐림
광주 19˚C
맑음
대전 20˚C
맑음
울산 20˚C
흐림
강릉 18˚C
맑음
제주 20˚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네트워크 트래픽'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3
건
KT 클라우드, 클라우드 안정성 향상 위한 특허 20건 출원
[이코노믹데일리] KT 클라우드(대표이사 최지웅)는 클라우드 서비스의 안정성과 데이터센터(DC) 자동화 기술 강화를 위해 관련 특허 20건을 출원했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출원은 KT 클라우드의 기술 경쟁력 확보와 더불어 서비스 안정성을 한층 강화하는 차원에서 이루어진 것이다. KT 클라우드는 올해 새로운 기술본부를 신설하고 DC 장애 복구 자동화 기술인 ‘패스 파인더(Path Finder)’와 액침냉각 기술 검증(PoC)을 진행하며 D2C(직접 칩 냉각) 방식 도입 검토를 추진해왔다. 이러한 기술 개발은 KT 클라우드의 기술 전문성과 효율성을 높이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출원된 주요 특허에는 △서비스 메시(Service Mesh) 기반의 네트워크 트래픽 관리 프로그램 △냉각수 펌프 Auto mode 원격제어 기술 등이 포함됐다. 서비스 메시 기술을 활용한 네트워크 트래픽 관리 프로그램은 대규모 트래픽 환경에서 서비스 안정성을 높이며 장애 발생 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IT 보안 정책 기반의 제어 기능과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해 클라우드 서비스 운영의 효율성을 제고한다. ‘냉각수 펌프 Auto mode 원격제어’는 데이터센터에서 냉각수 펌프의 과부하를 방지하는 제어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은 정전 후 전력 회복 시 발생할 수 있는 오버플로우 문제를 예방하며 데이터센터 운영의 안전성을 보장한다. KT 클라우드는 내년에도 클라우드 서비스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선행 기술 개발을 지속하고 관련 특허를 출원하는 한편 전문 기술 인력 확보에도 힘쓸 예정이다. 최지웅 KT 클라우드 대표는 “KT 클라우드는 데이터센터 운용 역량과 클라우드 경쟁력 강화를 위해 다양한 기술을 적극적으로 검토하고 적용해왔다”며 “이를 통해 국내 최고 수준의 기술 역량과 서비스 안정성을 갖춘 탑티어 테크 컴퍼니로 도약할 것”이라고 밝혔다.
2024-12-18 11:00:02
SK브로드밴드, 한수원에 차세대 전용회선 서비스 제공
[이코노믹데일리] SK브로드밴드는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에 차세대 전용회선 서비스를 처음으로 제공했다고 11일 밝혔다. 이번 서비스는 IP-MPLS(Internet Protocol-Multi Protocol Label Switching) 기술을 적용해 기업 고객의 네트워크 트래픽 관리와 보안성을 획기적으로 강화했다. SK브로드밴드는 지난 10월부터 기업 고객 전용 전국 단위 전송망에 IP-MPLS 방식을 도입했다. 이 기술은 빠르고 안전한 데이터 전송을 보장하면서 다양한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통합할 수 있는 확장성을 갖춘 것이 특징이다. 또한 다중 경로 백업을 지원해 서비스의 안정성을 크게 향상시켰다. 특히 이번 전용회선 서비스는 노키아의 보안암호기술을 활용해 데이터 전송 중 해킹 위험을 최소화했다. 이를 통해 양자컴퓨터를 이용한 고위험 사이버 공격에도 안정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데이터 보호 기술을 확보했다. 한수원은 SK브로드밴드의 차세대 전용회선 서비스를 적용받은 첫 기업이다. 국가 주요 자원을 관리하는 공기업 특성상 높은 보안성과 안정성을 요구하는데 이번 기술 도입으로 이러한 요구를 충족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김구영 SK브로드밴드 Enterprise Sales CP 담당은 "이번 전국망 구축은 중요한 국가 자원을 관리하는 공기업의 보안과 안정성을 한층 높이는 계기가 됐다"며 "앞으로도 첨단 기술을 통해 급변하는 사이버보안 환경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2024-12-11 09:06:37
LG유플러스, 자동화로 통신망 관리 강화…통신품질 높였다
[이코노믹데일리] LG유플러스가 통신 품질 향상을 위해 서울 강서구 마곡사옥에 통합관제센터를 구축하고 로봇프로세스자동화(RPA) 기반의 네트워크 운용 기술을 도입해 통신망 관리 효율성을 크게 개선했다. 이 센터는 대규모 이벤트인 불꽃축제나 핼로윈 데이와 같은 상황에서도 신속한 네트워크 대응을 가능하게 하며 통신망 장애를 15분 내에 파악해 조치하는 체계를 구축했다. LG유플러스는 올해 3월 마곡 통합관제센터를 오픈해 기존 상암, 안양, 마곡에 분산돼 있던 통신 관제센터와 전문 인력을 한 곳에 모아 일원화된 관리 체계를 마련했다. 이 센터는 1410㎡의 규모에 649인치 초대형 월보드가 설치돼 있어 전국 통신망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특히 RPA 기술을 적용해 네트워크 트래픽 관리와 장애 대응을 자동화하면서 통신 품질 유지에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강봉수 LG유플러스 품질혁신센터장은 "통합관제센터는 단순한 품질 관리를 넘어 고객가치 혁신의 거점"이라며 "이를 통해 불꽃축제, 핼러윈 데이 같은 대규모 이벤트에도 맞춤형 대응이 가능해졌다"고 말했다. 핼러윈 데이에는 이태원, 홍대 등에 이동 기지국을 설치하고 RPA가 실시간으로 트래픽을 감지해 통신 장비에 과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한다. 기존에는 인력이 수백 개의 셀 데이터를 수동으로 관리해야 했으나 이제는 100개 이상의 RPA가 이 작업을 대신하며 효율성을 크게 높였다. 또한 LG유플러스는 통합관제센터 운영을 통해 재난관리 국제표준인 ISO22301 인증을 획득하며 통신망 관리 체계의 신뢰성을 한층 더 강화했다. RPA는 자연재해, 통신 장애 상황에서 신속한 복구 작업을 돕는 역할도 수행하며 장애 장비를 원격으로 리셋하거나 필요 시 현장 출동을 통해 문제를 해결한다. 이처럼 LG유플러스는 네트워크 품질과 안정성을 유지하는 데 있어 한층 더 높은 기술적 역량을 발휘하고 있다. 한편 통합관제센터 구축으로 네트워크 관리 체계의 일원화가 가능해진 만큼, LG유플러스는 통신 품질을 유지하며 고객 만족도를 높이는 데 주력할 방침이다.
2024-10-29 18:42:28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태영건설, 순이익 431억원 기록... PF 구조조정은 여전히 부담
2
인천대공원 벚꽃축제 취소… 공원 관람은 가능
3
키움증권, 개장 직후 MTS 거래 지연…이틀째 시스템 장애
4
LG화학, 수익성 악화로 배터리 분리막 사업 구조조정 돌입 전망
5
네이버 쇼핑앱, 출시 첫 달 신규 설치 1위… '테무' 제쳤다
6
헌재, 오늘 윤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헌정 두 번째 파면 여부 결론
7
배터리는 재활용하는데, 석유화학 제품은 매립지로… 엇갈리는 업계 행보
8
트럼프發 관세 폭탄에도 끄떡없는 K-엔터·콘텐츠株…'무풍지대' 위력 과시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데스크칼럼] 공매도 재개 이후 외국인 투자자들의 대거 이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