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07.27 일요일
맑음
서울 34˚C
구름
부산 30˚C
구름
대구 32˚C
맑음
인천 32˚C
맑음
광주 32˚C
맑음
대전 33˚C
맑음
울산 31˚C
맑음
강릉 32˚C
흐림
제주 28˚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뉴스는 공짜가 아니다'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1
건
AI 주권의 첫 시험대, '뉴스는 공짜가 아니다' 뉴스저작권의 가치를 묻다
[이코노믹데일리] 정부가 1936억 원의 막대한 예산을 투입해 '한국형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구축이라는 야심 찬 계획에 시동을 걸었지만 프로젝트의 성패를 좌우할 핵심 데이터 공급자인 뉴스 업계와의 가격 책정 문제로 시작부터 난관에 부딪혔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최근 KT, 네이버클라우드, SKT 등 국내 대기업을 포함한 최대 5개의 'AI 정예팀'을 선발해 GPU 자원과 데이터 구매 비용을 지원하는 프로젝트를 공고했다. 2027년까지 세계적 수준의 한국형 AI를 만들겠다는 야심 찬 계획이다. 하지만 AI 모델의 성능을 결정할 고품질의 뉴스 데이터를 확보하는 단계에서 문제가 불거졌다. 한국언론진흥재단은 24일 한국디지털뉴스협회 소속 언론사 저작권 담당자들을 소집해 데이터 공급 방안을 논의했다. 이 자리에서 AI 기업들에 뉴스 데이터의 가격표를 미리 제시할지를 두고 격론이 벌어졌다. 언론계의 고민은 과거의 경험에서 비롯된다. 과거 정부 주도의 '말뭉치' 구축 사업 등에서 언론사들은 공공의 이익이라는 명분 아래 정당한 대가를 받지 못하고 귀중한 뉴스 데이터를 넘겨왔다는 인식이 팽배하다. 뉴욕타임스가 오픈AI를 상대로 천문학적인 소송을 제기하는 등 전 세계적으로 뉴스 저작권의 가치를 재정립하려는 흐름 속에서 또다시 콘텐츠 가치를 헐값에 넘길 수 없다는 위기감이 크다. 이번 논쟁의 핵심은 '뉴스는 더 이상 공짜가 아니다'라는 선언에 있다. 수많은 인력과 비용을 투입해 생산한 고품질의 뉴스 콘텐츠를 AI 기술 개발의 재료로 사용하려면 합당한 대가를 지불해야 한다는 원칙을 바로 세워야 할 시점이라는 것이다. 이는 언론계뿐만 아니라 AI 기업도 더는 외면할 수 없는 시대적 요구다. 결국 정부의 AI 주권 확보 프로젝트의 성패는 핵심 데이터 공급자인 언론계의 전략적 선택에 좌우될 전망이다. 단기적 공급 실적과 장기적인 콘텐츠 가치 사이에서 언론계가 내놓을 해법과 이를 수용하는 정부 및 AI 기업의 태도에 '한국형 AI'의 미래가 달렸다.
2025-07-24 18:24:37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690조 '스타게이트' AI 프로젝트 차질…엔비디아 등 반도체주 급락
2
체코 원전 덕에…올 상반기 해외건설 수주 11년 만에 최고
3
美, 중국 흑연 고율 관세 폭탄...LG엔솔·삼성SDI·SK온 반사이익 신호탄될까
4
국내 AI 기술, 글로벌 무대서 '성과' 입증…LG·업스테이지·네이버 약진
5
크래프톤, '인수 대박'이 '3447억 소송 대란'으로… M&A 후폭풍 맞나
6
건설투자 사상 첫 4년 연속 감소…내년엔 5년 연속 '초유의 침체' 우려
7
이재용 무죄에도 미소 못 짓는 삼성전자...하반기 실적 반등 열쇠는 '신성장 동력 확보'
8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최종 선발전, 네이버·LG·SKT 등 10개팀, 기술·세력 과시 총력전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기자수첩] 카드사 불황의 이면…'규제와 완화' 사이에서 균형을 잃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