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04.11 금요일
맑음
서울 21˚C
맑음
부산 20˚C
맑음
대구 22˚C
맑음
인천 18˚C
흐림
광주 22˚C
맑음
대전 23˚C
맑음
울산 20˚C
맑음
강릉 20˚C
맑음
제주 16˚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담수화'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4
건
GS건설, 부산에 연어양식장 준공…"국내 첫 육상 스마트 양식"
[이코노믹데일리] GS건설이 부산에 국내 첫 육상 스마트 연어 양식장을 열었다. GS건설은 부산광역시 기장군에서 '부산 스마트 양식 클러스터' 준공식을 열고 본격적인 연어 육상 양식에 나선다고 20일 밝혔다. 부산 스마트 양식 클러스터는 2019년 정부 주도로 국비와 부산시비를 지원받아 시작됐다. GS건설은 2020년 7월 부산시와 '스마트 양식 클러스터 조성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고, 같은 해 설립한 자회사 에코아쿠아팜을 통해 민간투자자로 사업에 참여했다. 부경대 수산과학연구소 내에 조성된 이 시설에서는 연간 최대 500t 규모의 연어 양식이 가능하며 지난 7월과 11월 두 차례에 걸쳐 입식한 대서양 연어 발안란 생육이 진행 중이다. GS건설은 2년여 간의 양식 기간을 거쳐 오는 2026년 4분기께 양식한 연어를 본격 출하할 계획이다. 부산 스마트 양식 클러스터는 국내 최초로 폐쇄식 순환 여과 방식(RAS)의 수처리 방식을 활용, 해상이 아닌 육상에서 연어를 양식하는 친환경 양식장이다. RAS는 지하수 또는 해수를 끌어와 고도의 수처리 기술을 통해 오염물질을 정화해 연어를 키우고, 이 과정에서 배출되는 양식수도 재처리해 깨끗하게 바다로 내보내는 방식이다. 사육수의 최대 99%까지 재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기존 해상 가두리 양식의 한계로 지적되는 미세플라스틱, 중금속, 바이러스 등의 해양오염으로부터 안전한 청정 연어의 생산이 가능하다. 이번 준공식은 전량 수입에 의존해 온 대서양 연어를 국내에서 생산하게 됐다는 의미도 있다. 차갑고 깨끗한 물에서 서식하는 연어를 국내에서 연중 생육하기 위해서는 고도의 수처리 기술과 함께 수온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기술이 중요한데, GS건설은 자체 보유한 순환 여과 및 담수화 양식시설 처리 특허 기술과 양식장 운영을 위한 첨단 정보통신기술을 적용해 스마트 양식이 가능하게 했다. 이날 준공식에는 허윤홍 GS건설 대표와 해양수산부, 부산광역시 등의 관계자 150여명이 참석했다. 허 대표는 준공식에서 "스마트 양식 기술 저변 확대와 함께 해양 특수 플랜트 분야의 전문성과 경쟁력을 토대로 국내 수산업의 지속가능한 성장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2024-12-20 09:31:13
교통망 확충하고, 관광자원 조성... 시화호 마스터플랜 확정
[이코노믹데일리] 경기 시화호 일대 교통망을 확충해 서울과 접근성을 높이고, 테마파크 등 관광자원을 확충하는 내용을 담은 '시화호 발전 전략 마스터플랜'이 확정됐다. 국토교통부와 환경부는 서울 용산구 삼경교육센터에서 국토-환경 정책협의회 9차 회의를 열어 '시화호 발전 전략 종합계획(2025∼2054)'을 확정했다고 18일 밝혔다. 경기 시흥·안산·화성에 둘러싸인 시화호는 국내 최대 규모의 인공호수로, 정부가 수도권 인구와 산업을 분산하기 위한 반월 특수지역 개발계획을 수립한 뒤 1994년 1월 시화방조제 물막이 공사를 완료하면서 조성됐다. 완공과 함께 오염이 시작돼 '죽음의 호수'라는 오명은 물론 사회적 문제로까지 떠올랐으나, 1999년 담수화를 포기하고 해수를 유입시킨 이후부터 시화호 생태계가 살아나기 시작했다. 정부는 올해 시화호 30주년을 맞아 다음 30년을 준비하는 마스터플랜을 새로 짰다. 시화호 마스터플랜 수립은 2005년 이후 14년 만이다. 마스터플랜의 인구·산업 분야에는 그간 막혀있던 대송지구와 시화호 지역을 연계해 개발하고, 송산그린시티에 '그린 헬스케어 단지'를 조성하는 계획이 담겼다. 교통이 시화호 주변 지역의 고질적인 문제였던 만큼 신안산선 등 광역 대중교통 체계를 확충하고, 방사형·순환형 내부 교통망을 구축하는 내용도 포함됐다. 자연 상태로 보존된 공룡알화석지에 대해 지표조사를 토대로 자연·역사체험공간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마련하고 신세계 주관으로 테마파크 조성도 추진한다. 반월·시화 산업단지 내 영세업체에는 오염물질 배출 저감시설을 지원해 시화호 오염을 막는다. 탄소 배출을 줄이고, 재생 에너지 생산능력을 늘려 시화호 지역을 수도권의 '재생에너지 100% 사용(RE100)' 단지를 실현하는 것도 목표로 잡았다. 김태오 환경부 자연보전국장은 "시화호 지역이 과거 환경오염과 갈등의 오명을 벗고 지속가능한 친환경 도시로 재도약하도록 관계기관과 협력하겠다"며 "시화호 지역이 탄소중립 선도모델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탄소중립도시 조성 지원에도 나서겠다"고 말했다.
2024-12-18 14:29:24
건설사, 해외 건설 수주 300억 달러 넘겼지만... 비상계엄 사태에 올해 목표 달성은 불투명
[이코노믹데일리] 국내 건설사의 해외 수주액이 5년 연속 300억 달러를 돌파했다. 다만 정부가 연초 제시한 올해 해외수주 목표치인 400억 달러를 달성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최근 비상계엄 사태와 탄핵정국으로 인한 대외 신인도 하락, 트럼프의 미국 대통령 당선 등 국내외 정세 급변으로 수주 불확실성이 커졌기 때문이다. 16일 해외건설협회에 따르면 올해 들어 11월까지 국내 건설사들이 해외에서 수주한 공사는 모두 525건으로 수주액은 326억9353만 달러(한화 46조6700억원)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277억3739만 달러)보다 17.9% 오른 수치로, 최근 5년 평균치(약 248억3000만 달러)와 비교해도 31.7%가량 높다. 아울러 지난해 1월부터 12월까지의 수주액 총 합계(333억 달러)도 거의 따라잡았다. 지역별로 보면 국내 건설사들의 해외수주 텃밭인 중동 지역 내 수주액이 166억8522만 달러로 전체의 절반 이상(51%)을 차지했다. 아시아 54억5312만 달러(16.7%), 유럽 50억2014만 달러(15.4%), 북미·태평양 436만388만 달러(13.3%) 등이 뒤를 이었다. 중동지역의 경우 전년 동기(83억8531만 달러) 대비 수주액이 2배 가까이 늘었다. 유럽은 같은 기간(17억7640만 달러) 대비 3배 가까이 늘었다. 반면 북미·태평양 지역은 전년 동기 대비 수주액이 절반 이상(-53.8%) 줄었고, 중남미(-29.4%), 아프리카(-81.6%) 지역도 수주액이 크게 줄었다. 국내 건설사 중에서는 △현대엔지니어링 △현대건설 △GS건설 등이 높은 해외건설 수주 실적을 보였다. 현대엔지니어링은 기존 인도네시아에서 진행 중인 '칼셀탱 2 석탄화력발전' 공사와 관련해 약 6918만 달러 규모의 증액 계약을 체결했다. 현대건설은 사우디 리야드-쿠드미 500kV 고압송전선로 공사(7억2340만 달러 규모), GS건설은 호주 도시철도 공사(3억7152만 달러 규모) 및 포르투갈 해수담수화 사업 계약(1억1655만 달러 규모) 등을 각각 체결했다. 이를 포함해 지난달 국내 건설사 78개사가 전 세계 40개국에서 수주한 사업은 46건으로 수주액은 41억6767만 달러 수준이었다. 하지만 정부가 올해 목표로 세운 400억 달러 달성은 여전히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최근 5년간 연간 해외건설 수주액을 비교해 보면 △2020년 351억 달러 △2021년 306억 달러 △2022년 310억 달러 △2023년 333억 달러 등 대부분 300억 달러 초중반 수준을 유지했는데, 올해를 한 달밖에 남기지 않은 상황에서 이와 크게 차이가 나지는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기 때문이다. 게다가 최근 대외적으로는 도널드 트럼프가 미국 대통령으로 재당선되면서 국제 정세가 급변하고 국내 건설업체의 실적 하락 요소도 확대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특히 건설업계는 지난 3일 발생한 비상계엄 사태 역시 장기적으로 해외수주 활동 위축이라는 결과를 불러올 것으로 보고 있다. 국내 정세에 드리워진 불확실성이 장기화되면 원·달러 환율 및 대외신인도에 영향을 미쳐 수주 경쟁력이 떨어질 수 있다는 게 건설업계의 공통된 설명이다. 실제 윤석열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했을 당시 원화 환율이 일시적으로 급락하기도 했다. 전날 오후 3시 기준 1402원대를 기록했던 환율이 비상계엄 선포 소식에 빠르게 올랐다. 서울 외환시장 야간 거래에서 원·달러 환율은 한때 1440원을 넘어섰다. 이는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고강도 긴축으로 달러가 초강세를 보였던 2022년 10월 이후 2년여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이에 대해 해외건설협회 측은 "해외에서 입찰에 들어갔거나 협상을 진행 중인 건설사들에 계엄 사태와 관련한 발주처 동향이 감지되면 알려달라고 요청하는 등 모니터링을 강화했다"며 "이상 징후가 있으면 정부와 논의해 해결안을 모색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2024-12-17 10:00:00
삼성물산, 카타르서 4조 규모 플랜트 수주
[이코노믹데일리] 삼성물산이 카타르에서 4조원에 달하는 담수복합발전 프로젝트를 수주했다. 삼성물산 건설부문은 카타르 수전력청 카라마(KAHRAMAA)가 발주하고, 일본 스미토모 컨소시엄이 사업자로 선정된 카타르 Facility E 담수복합발전 프로젝트를 수주했다고 26일 밝혔다. EPC(설계·시공·조달) 금액만 28억4000만 달러, 기준 환율(1398.2원)을 적용하면 3조9709억원에 이르는 프로젝트로 삼성물산이 단독으로 수행한다. 이번 프로젝트는 카타르 수도 도하에서 남동쪽으로 약 18㎞ 떨어진 라스 아부 폰타스 지역에 최대 2400메가와트 규모의 전력을 생산하는 복합화력 발전과 하루 평균 50만t의 물을 생산하는 대규모 담수복합발전을 건설하는 사업으로 총 사업비만 37억 달러에 이른다. 오는 29년 프로젝트가 완공되면 카타르 전체 전력량의 약 16%와 담수량의 17%를 담당한다. 삼성물산은 이번 Facility E를 건설하는 지역 인근에 유사한 규모의 담수복합발전과 담수화 플랜트 확장공사를 성공적으로 수행하면서 발주처와 확고한 파트너십과 신뢰 관계를 구축했다. 여기에 인정받은 수행 경험과 노하우, 인프라를 바탕으로 경쟁력 있는 제안을 통해 수주에 성공했다. 삼성물산은 카타르 최대 규모 태양광 발전을 비롯해 2조8000억원 규모의 LNG 공사를 수행하면서 카타르 시장에서 입지를 공고히 하고 있다. 특히 카타르 정부가 증가하는 전력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지속 설비 용량을 확대할 계획으로, 향후 추가 수주에 대한 기대감도 높은 상황이다. 삼성물산 이병수 에너지솔루션사업부장 (부사장)은 "카타르 국가 인프라 사업이다 보니 기존 수행 경험과 이를 통한 확고한 신뢰구축이 프로젝트 수주에 큰 역할을 했다"며 "성공적으로 프로젝트를 마무리해 안정적인 전력과 담수 공급을 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삼성물산은 현재 UAE 푸자이라 F3 복합화력발전을 비롯해 사우디 아라비아에서도 아미랄과 타나집 복합화력 등 다수의 발전플랜트를 수행하고 있다. 최근도 괌 태양광 발전 프로젝트를 수주하는 등 글로벌 발전분야 리딩플레이어로 입지를 다지고 있다.
2024-11-26 15:30:49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배터리는 재활용하는데, 석유화학 제품은 매립지로…엇갈리는 업계 행보
2
국내외 화이트햇 해커·보안 전문가 집결… '닷핵 2025' 컨퍼런스, 성황리 개최
3
국내 4대 그룹, '피지컬 AI'로 간다…로봇 투자 전면전 돌입
4
트럼프 관세 유예에 美 증시 '역사적 반등'…S&P 500 하루 9.5% 급등
5
트럼프발 '관세 태풍'에…울고 웃는 韓 화장품·의류 OEM·ODM 기업들
6
LG화학, 분리막 사업 흔들리나…'철수설' 도는 배경은
7
아이폰17 프로, 전작과 비슷..."소비자 수요 감소할 것"
8
네이버 쇼핑앱, 출시 첫 달 신규 설치 1위… '테무' 제쳤다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데스크칼럼] 공매도 재개 이후 외국인 투자자들의 대거 이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