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11.14 금요일
맑음
서울 2˚C
맑음
부산 5˚C
맑음
대구 3˚C
맑음
인천 7˚C
맑음
광주 6˚C
맑음
대전 5˚C
맑음
울산 8˚C
맑음
강릉 8˚C
구름
제주 13˚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등급 전망'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3
건
S&P, LG전자 신용등급 '긍정적' 상향…3년 만에 개선 기대 반영
[이코노믹데일리] 국제신용평가기관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가 LG전자의 신용등급 전망을 ‘안정적’에서 ‘긍정적’으로 상향 조정했다. 지난 2022년 10월 이후 3년 만의 등급 전망 개선이다. 21일 S&P는 LG전자의 장기 신용등급을 BBB로 유지하면서 전망을 한 단계 높인 ‘BBB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이는 가전과 전장(VS)사업의 견조한 실적과 인도법인 상장을 통한 대규모 현금 유입, 관계사 LG디스플레이 실적 회복 기대 등을 반영한 결과다. 앞서 무디스(Moody’s)도 지난 2월 LG전자 신용등급 전망을 ‘Baa2 안정적’에서 ‘Baa2 긍정적’으로 조정한 바 있다. 글로벌 주요 신용평가사들이 연달아 긍정적인 평가를 내놓은 셈이다. S&P는 “LG전자는 미국의 관세 인상 등 불확실한 환경 속에서도 주력 사업에서 안정적인 수익성을 유지하고 있다”며 “인도법인 기업공개(IPO)를 통한 1조8000억원 규모의 현금 유입과 LG디스플레이(지분 36.7%)의 턴어라운드가 재무 구조 개선에 힘을 보탤 것”이라고 밝혔다. 사업별로는 생활가전 부문이 경기 둔화에도 안정적인 수익성을 유지하고 있으며 냉난방공조(시스템에어컨) 분야에서는 데이터센터용 냉각솔루션과 고효율 제품이 성장세를 이끌고 있다고 평가했다. 전장사업은 약 100조원 규모의 수주 잔고와 수주 믹스 개선으로 수익성이 뚜렷하게 개선된 점이 긍정적으로 작용했다. S&P는 이 같은 요인들이 향후 1~2년 내 LG전자의 재무 지표를 개선할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특히 인도법인 상장으로 확보된 자금이 부채 감소로 이어질 경우 추가적인 신용도 상향 여력도 생길 수 있다는 분석이다.
2025-10-22 08:53:59
S&P, 미래에셋‧한투증권, 등급 전망 '부정적'→'안정적' 상향
[이코노믹데일리] 글로벌 신용평가사인 S&P가 미래에셋증권과 한국투자증권의 등급 전망을 '부정적'에서 '안정적'으로 상향 조정했다. 이는 불확실한 국내 정치 환경 개선과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익스포저 등이 안정적으로 관리되고 있다는 판단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25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최근 S&P는 미래에셋증권과 한국투자증권의 등급전망을 '부정적'에서 '안정적'으로 상향 조정했다. 두 회사의 장기 신용등급과 단기 신용등급은 각각 'BBB', 'A-2'로 유지했다. S&P가 두 회사의 등급전망을 높인 이유는 수익성 개선으로 부동산 관련 리스크를 충반히 감내할 수 있다고 봤기 때문이다. S&P 보고서를 통해 "증권사들이 지난 몇 년 동안 국내외 부동산 익스포저에 대한 엄격한 심사와 충당금 및 손상차손 인식을 통해 관련 리스크를 관리해 왔음을 고려할 때, 해당 리스크는 감내 가능할 것"이라며 "이에 국내 증권사의 신용등급 평정 출발점인 'BBB-' 기준 등급이 더 이상 하방압력을 받고 있지 않다"고 밝혔다. 국내 증권사의 고위험 부동산 PF 익스포저는 2024년 말 기준 약 3조4000억원으로 총자기자본의 약 4%를 차지한다. 이에 대해 증권사들이 쌓은 충당금은 약 2조8000억원 수준이다. S&P는 "부실 사업장에 대한 정부 주도의 구조조정 및 정리는 관련 리스크 완화로 이어질 것"이라고 봤다. 정부가 2024년부터 엄격한 사업성 평가기준을 기반으로 PF사업장에 대한 종합점검을 진행했고, 사업성이 부족한 프로젝트는 구조조정 또는 청산을 유도하고 있다. 미래에셋증권과 한국투자증권의 부동산 PF 익스포저가 상대적으로 위험도가 낮은 서울과 수도권 지역에 집중된 점도 긍정적이다. 더불어 주요 해외자회사들의 수익 기여도가 높게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미래에셋증권은 미국 등 선진국 자회사에서 청산 결제 서비스 및 상장지수펀드(ETF) 거래와 같은 사업은 안정적인 수익이 거둘 것으로 보고 있다. 인도에서도 작년 현지 증권사 인수에 힘입어 자산관리 및 중개업무 사업이 탄력을 받고 있다고 평가했다. 미래에셋증권의 2025년 1분기 ROAA는 약 0.8%를 기록했으며, 이는 작년 동기 0.5% 대비 개선됐다. 한국투자증권에 대해선 다각화된 매출원과 브로커리지 사업을 통해 우수한 수익성을 이어갈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국투자증권의 2020~2024년 평균총자산이익률(ROAA)은 약 1.3%를 기록했고, S&P가 등급을 부여하는 국내증권사의 평균치인 0.8%를 웃돈다. 또한 100% 자회사인 자산운용사를 보유하고 있어 자산운용 부문에서 경쟁우위를 갖고 있다는 평가다. S&P는 한국투자증권의 발행어음 사업 확대와 관련해서는 "자금조달 및 유동성 압박이 최근 다소 증가했지만, 자기자본의 200% 이내로 제한되는 발행어음 한도에 거의 도달했다"며 "현재 거시적 불확실성을 감안할 때 추가적인 리스크 감수에 나서지는 않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2025-06-25 10:51:37
한신평, 롯데손보 후순위채·신종자본증권 등급 전망 '부정적' 하향
[이코노믹데일리] 한국신용평가가 지난 22일 정기 평가를 통해 롯데손해보험의 후순위사채·신종자본증권의 신용 등급 전망을 '안정적'에서 '부정적'으로 각각 하향 조정했다고 23일 밝혔다. 한신평은 저조한 수익성 지속, 제한적인 자본 비율 관리 여력 등을 등급 전망 변경 이유로 설명했다. 한신평은 보고서에서 "롯데손보의 최근 총자산 수익률(ROA)는 0.77%로 업계 평균을 하회한다"며 "제도 변화에 따라 보험 손익 변동성이 높은 가운데 퇴직 연금 부문의 이자 부담 및 투자 자산 손실 발생 등으로 저조한 수익성이 지속되고 있다"고 짚었다. 한신평 분석에 따르면 지난해 말 롯데손보의 지급 여력(K-ICS) 비율은 선택적 경과 조치 적용 전 기준은 전년 대비 49%p 하락한 125.8%로 업계 평균 대비 낮은 수준이다. 또한 한신평은 "2024 4분기 중 무·저해지 보험 해지율에 대해 예외 모형을 적용했으며 원칙 모형을 적용할 경우 지급여력비율은 경과조치 전 107.1%, 경과조치 후 127.4%까지 하락해 업계 평균을 크게 하회한다"고 덧붙였다. 한신평은 "장기 선도 금리 인하, 최종 관찰 만기 확대, 기본자본지급여력비율 규제 지표 도입 등 제도 강화가 예정된 상황에서 후순위채 상환 연기에 따라 자본 시장 접근성이 저하될 수 있어 자본성 증권 추가 발행을 통한 자본 비율 제고는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며 “현 수준의 열위한 자본 적정성 및 수익 구조가 지속될 경우 신용도 하향 압력이 확대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2025-05-24 18:32:00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단독] 현대홀딩스, 현대네트워크 흡수합병…현정은 체제 지배 구조 단일화
2
[정보운의 강철부대] 정의선·정기선, '현대'를 되찾은 진짜 의미…20여년 만에 다시 이어진 현대家의 피
3
효성家 베트남 사업서 형제간 명암 엇갈려
4
현대건설, 약속이 멈추자 실적도 멈췄다
5
KT 해킹, '펨토셀'이 암호화 뚫었다…문자·통화까지 노출 우려
6
미국서 가격 낮춘 위고비·마운자로, 국내 시장선 현실성 낮아
7
이재용의 '뉴삼성' 시동...정현호 용퇴·TF팀 해체 "대대적 쇄신 예고"
8
LGU+·SKT·한화, UAM 사업 전면 재검토..."상용화 지연 탓"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기자수첩] 정부의 슈링크플레이션 대책, 올해는 달라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