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총 3건
-
-
현대차 GBC, '도심 숲' 품은 글로벌 랜드마크로… 서울시와 협상 본격화
[이코노믹데일리] 현대자동차그룹이 서울 강남구 삼성동에 건설하는 ‘글로벌 비즈니스 콤플렉스(GBC)’에 축구장 2배 규모의 도심 숲이 조성된다. GBC 개발 계획이 구체화되면서, 현대차그룹과 서울시의 공공기여 재협상도 본격적으로 진행될 전망이다. 20일 현대차그룹은 “GBC 중앙에 시민 개방형 녹지 공간을 조성해 서울의 품격을 높이고, 누구나 머물며 즐길 수 있는 휴식처를 제공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GBC는 강남과 송파 일대를 연결하는 국제교류복합지구의 핵심 시설로, 세계적인 랜드마크로 자리 잡을 전망이다. 현대차그룹이 서울시에 제출한 개발계획에 따르면, GBC는 높이 242m, 54층짜리 타워 3개 동과 전시장·공연장 등 저층부 2개 동으로 구성된다. 단지 중앙에는 1만4000㎡ 규모의 녹지 공간이 조성되며, 서울을 상징하는 은행나무를 단일 수종으로 심어 역사적·문화적 의미를 부여할 계획이다. GBC의 녹지 공간은 코엑스, 강남권 광역복합환승센터(GITC), 탄천, 잠실 MICE(마이스), 한강까지 이어지는 보행 네트워크의 중심축 역할도 수행한다. 현대차그룹은 기존 초고층 단일 타워 계획을 폐기하고, 50층대 타워 여러 동으로 구성해 공간 효율성을 극대화했다. 타워동은 첨단 기술이 집약된 하이테크 업무시설로 활용된다. 자율주행, 로보틱스, 도심항공교통(UAM) 등 현대차그룹의 미래 모빌리티 사업을 실증할 테스트베드로 조성되며, 글로벌 기업과 스타트업이 협업할 수 있는 ‘혁신 클러스터’로 운영된다. 또한, 인공지능(AI), 빅데이터, 사물인터넷(IoT) 등을 활용한 스마트 빌딩 운영 시스템이 도입될 예정이다. 타워 내에는 전망대, 럭셔리 호텔, 오피스텔이 포함되며, 저층부는 시민을 위한 복합문화공간으로 활용된다. GBC의 설계를 맡은 영국 건축가 노먼 포스터는 친환경 건축의 거장으로, 건축계의 노벨상으로 불리는 프리츠커상을 수상한 바 있다. 현대차그룹과 서울시는 이달 중 협상을 본격 개시한다. 기존 계획과 달라진 초고층 타워 배치 등에 따라, 서울시는 관련 조례와 지침을 검토해 추가 협상을 진행할 예정이다. 특히 현대차그룹이 서울시에 내야 할 공공기여(기부채납) 규모는 물가 상승 등을 반영해 2조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서울시는 연내 도시계획 변경을 마무리하고, 내년 착공을 목표로 협상을 진행할 방침이다. 현대차그룹 관계자는 “GBC는 지속가능성과 공공성을 고려한 대한민국의 대표 랜드마크로 자리 잡을 것”이라며 “서울시와 협력해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현대차그룹은 2014년 삼성동 한국전력 용지를 매입하고, 지상 105층(561m) 초고층 타워를 짓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하지만 공사비 상승과 글로벌 경영 환경 변화 등을 고려해 기존 계획을 폐기하고, 54층 규모의 다동형(多棟型) 개발로 방향을 전환했다. GBC 개발이 본격화되면 코엑스 개발, 잠실 스포츠·MICE 복합공간 조성, 영동대로 지하공간 복합개발 등 국제교류복합지구 내 다른 프로젝트와의 시너지 효과도 기대된다. 강남구 삼성동·대치동, 송파구 잠실동 일대를 포함하는 이 개발사업은 총 166만㎡ 규모로 진행된다.
2025-03-20 09:00:00
-
카카오프렌즈, 글로벌 호텔 업계와 손잡고 IP 영토 확장…안다즈 발리·L7 하노이 협업
[이코노믹데일리] 국민 캐릭터 카카오프렌즈가 글로벌 호텔 브랜드와의 잇따른 협업을 통해 지식재산권(IP) 라이선스 사업 영역을 프리미엄 라이프스타일 분야로 확장하고 있다. 카카오는 하얏트 계열 럭셔리 호텔 ‘안다즈 발리’에 이어 롯데호텔앤리조트의 ‘L7 웨스트 레이크 하노이 바이 롯데’와 카카오프렌즈 캐릭터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다고 25일 밝혔다. 이는 카카오프렌즈 IP가 호텔 업계로까지 성공적으로 스펙트럼을 넓혔음을 의미한다. 카카오프렌즈는 올해 1월, 발리 안다즈 호텔에서 ‘카카오프렌즈 인 발리’ 패키지를 처음 선보이며 호텔 협업의 포문을 열었다. ‘발리에 찾아온 카카오프렌즈’를 콘셉트로 한 이 패키지는 고객들에게 특별한 경험을 선사하고 있다. 특히 가든 풀 빌라 객실은 카카오프렌즈 캐릭터 상품과 특별 제작된 어메니티로 꾸며져 투숙객들에게 색다른 즐거움을 제공한다. 안다즈 발리 ‘카카오프렌즈 인 발리’ 패키지는 풍성한 혜택을 포함한다. 리조트 시그니처 레스토랑 ‘빌리지 스퀘어’의 조식과 해피아워 이용 혜택, 어린이 고객을 위한 키즈 클럽 ‘케무 마이’ 이용권, 그리고 일일 50달러 상당의 식음료 크레딧이 제공된다. 뿐만 아니라 리조트 내 레스토랑에서는 ‘스파이시 라이언 버거’, ‘카카오프렌즈 애프터눈 티’ 등 카카오프렌즈 캐릭터를 활용한 특별 메뉴를 맛볼 수 있어 미식 경험까지 더했다. 이 특별 패키지는 올해 12월 31일까지 운영될 예정이다. 카카오프렌즈의 호텔 업계 공략은 여기서 멈추지 않았다. 롯데호텔앤리조트가 운영하는 L7 호텔과의 협업을 통해 베트남 하노이에서도 카카오프렌즈를 만날 수 있게 됐다. ‘L7 웨스트 레이크 하노이’에서는 카카오프렌즈 어메니티와 마카롱이 포함된 객실 패키지를 통해 고객들을 맞이한다. L7 하노이 패키지 이용객은 인피니티 풀, 사우나, 아웃도어 가든, 키즈룸 등 호텔의 다양한 부대시설을 자유롭게 이용하며 휴식과 엔터테인먼트를 동시에 누릴 수 있다. 카카오프렌즈는 이번 글로벌 호텔 브랜드와의 협력을 발판 삼아, IP 라이선스 사업을 더욱 확장해 나갈 계획이다. 기존 디지털, 리빙, 뷰티, 식음료(F&B) 분야를 넘어 프리미엄 라이프스타일 영역으로 사업을 확장하고 국내외 고객과의 접점을 넓히겠다는 전략이다. 카카오는 해외 시장에서도 카카오프렌즈 IP의 영향력을 확대하기 위해 박차를 가하고 있다. 중국에서는 알리바바 그룹의 IP 라이선싱 및 마케팅 플랫폼 ‘알리피시(Alifish)’, 글로벌 스포츠·엔터테인먼트 그룹 ‘IMG(International Management Group)’와 마스터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하고 상하이 위웬루(愚园路)에서 단독 팝업 스토어를 성공적으로 운영했다. 또한 중국 현지 뷰티 및 식음료 기업들과의 협업을 통해 카카오프렌즈 IP를 활용한 다양한 제품을 선보이고 있다. 태국에서는 홈트렌드와의 마스터 라이선스 계약을 통해 현지 1위 마트 체인 ‘로투스(LOTUS'S)’에서 카카오프렌즈 캐릭터 생수와 스낵류를 출시하며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일본 시장에서는 라운지웨어 브랜드 ‘젤라또피케’와 협업하는 등 현지 인기 브랜드와의 협업을 통해 젊은 소비자층에게 카카오프렌즈 IP를 적극적으로 알리고 있다. 카카오 관계자는 “글로벌 호텔 브랜드와의 협업은 카카오프렌즈 IP가 프리미엄 라이프스타일 영역으로 확장되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다양한 분야의 협업을 통해 카카오프렌즈만의 특별하고 다채로운 경험을 제공하고 글로벌 시장에서 브랜드 가치를 더욱 높여나갈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2025-02-25 10:59: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