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코노믹데일리] 한화가(家) 삼남 김동선 부사장이 이끄는 한화호텔앤드리조트(한화호텔)가 ‘식음(F&B)·레저’ 투 트랙으로 외형 확대에 승부수를 띄웠다. 지난 5월 종합식품기업 ‘아워홈’ 인수를 마무리한 지 3개월 만에 럭셔리 리조트 ‘파라스파라 서울’의 경영권을 확보하며 본업 포트폴리오를 보강하는 데 성공했다.
두 인수 모두 김동선 한화갤러리아·한화호텔앤드리조트 미래비전총괄 부사장이 주도한 것으로 알려졌다. 초대형 인수합병(M&A)으로 공격 경영에 탄력이 붙었지만, 재무 리스크가 적지 않은 만큼 ‘성장·재무 건전성’을 얼마나 빠르게 회복하느냐가 김 부사장의 경영 능력을 입증할 전망이다.
한화호텔앤드리조트는 지난 13일 삼정기업 계열사 정상북한산리조트로부터 ‘파라스파라 서울’ 지분 100%를 유상증자 금액을 포함한 300억원에 확보했다.
단 해당 법인의 기존 부채 3902억원도 승계하기로 하면서 이에 따른 총 인수금액은 약 4200억원 수준으로 추산된다. 이날 지분 양도가 마무리되면서 정상북한산리조트는 한화호텔앤드리조트의 자회사로 정식 편입됐다.
파라스파라 서울은 2021년 8월 개장한 프리미엄 5성급 리조트다. 서울 강북구 우이동에 위치해 북한산 조망이 우수한 것이 특징으로 총 344개의 객실을 보유했다.
한화호텔앤드리조트는 이번 인수로 서울에서 5성급 호텔과 리조트를 모두 보유한 기업이 됐다. 한화호텔앤드리조트는 전국에 리조트·숙박시설 12곳을 운영 중이다. 수도권 내 5성급 리조트가 없었으나 파라스파라 서울을 인수하면서 사업 포트폴리오를 강화했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IMARC 그룹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국내 럭셔리 호텔·리조트 시장 규모는 약 2조원 중반 수준으로 추정된다. 오는 2033년까지는 5조원대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한화호텔앤드리조트는 파라스파라 서울을 하이엔드 신규 브랜드인 ‘안토’로 재편해 시장 공략에 나설 계획이다.
한화호텔앤드리조트 관계자는 “안토는 도심 접근성이 뛰어나면서도 자연을 제대로 만끽할 수 있는 최고급 휴식공간”이라며 “최근 프리미엄 리조트를 찾는 고객들이 눈에 띄게 늘고 있는 만큼 다양한 고객들이 안토를 찾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김 부사장은 레저 및 식음 부문에서의 시너지 강화에 방점을 두고 있다. 한화호텔앤드리조트는 지난 5월에 종합식품기업 아워홈을 약 8700억원에 인수하며 단체급식 시장에도 뛰어들었다.
아워홈의 지난해 영업이익은 887억원으로 전년(943억원)보다 다소 줄었지만 2조2440억원 가량의 매출을 거둬 창사 이래 처음으로 2조원을 넘어선 상태다. 아워홈은 최근 수년 째 매출·영업이익 모두 성장세를 거듭해오고 있다.
한화호텔앤드리조트는 호텔·리조트 식음료 운영에 식자재 유통망 및 물류 시스템을 활용해 원가 절감과 운영 효율성 향상을 높일 계획이다.
다만 김 부사장이 연달아 인수합병에 나서며 재무 부담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있다.
한화호텔앤드리조트의 올해 연결기준 상반기 영업손실은 2억1000만원으로 전년 동기(62억원) 대비 적자 폭이 크게 줄었으나, 상반기 누적 기준 당기순손실은 약 213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9% 증가했다.
문제는 영업활동 현금 흐름이 전년 대비 크게 악화하며 적자로 돌아섰다는 점이다. 한화호텔앤드리조트의 투자 활동 지출은 약 6200억원으로 전년 대비 48배 이상 확대됐다. 아워홈 지분 인수 등에 기인한 것으로 파악된다.
차입금 증가 및 자본확충 등을 통해 약 7400억원이 유입됐는데 이를 통해 단기 현금 보유량은 늘었지만 차입 부담 가능성이 높아진 상황이다.
다만 한국신용평가는 7월 보고서에서 한화호텔앤드리조트의 유동성 대응 능력을 ‘양호’하다고 평가했다. 풍부한 영업현금흐름과 보유한 호텔·부동산 자산, 그룹 내 지원 가능성 등을 근거로 들면서도, 대규모 투자·인수로 인한 재무지표 변동성 확대는 리스크 요인으로 지목했다.
한화호텔앤드리조트 관계자는 “파라스파라 계약이 마무리되면서 올해 3분기 당기순이익이 2000억원 가량 증가하는 동시에 총 자산도 약 5조4000억원 수준으로 크게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며 “기존 차입금도 금융기관 협의를 통해 대폭 낮출 예정”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