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총 3건
-
2025 프로야구 개막 임박, 유통업계 '팬심' 잡기 경쟁 치열
[이코노믹데일리] 2025년 프로야구 개막이 나흘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유통업계가 야구팬들의 뜨거운 열기를 활용해 소비 심리를 끌어올리기 위한 경쟁에 본격적으로 돌입했다. 지난해 프로야구 관중 수가 1000만명을 돌파하며 역대 최고치를 기록한 만큼, 올해 역시 뜨거운 관심이 예상되는 가운데 식품, 유통, 패션은 물론 엔터테인먼트, 모빌리티, 호텔업계까지 발 벗고 나서며 야구 시즌 특수를 노리는 모습이다. 가장 눈에 띄는 움직임은 식품업계와 프로야구단의 협업이다. SPC삼립은 KBO와 손잡고 오는 20일 ‘크보빵’을 출시하며 야구팬들의 입맛을 돋울 예정이다. 9개 구단의 특색을 살린 다양한 맛의 빵과 함께 215종의 ‘띠부씰’ 스티커를 동봉해 수집 욕구를 자극하고 있다. 특히 개막일인 22일에 맞춰 전국적으로 유통될 예정이며, 현재 카카오톡 선물하기를 통해 사전 판매를 진행하며 뜨거운 반응을 얻고 있다. 패션업계 역시 구단과의 공식 스폰서십을 체결하고 유니폼을 새롭게 선보이고 있다. 두산 베어스는 2025년부터 아디다스와 손을 잡고 새로운 유니폼을 공개했으며, NC 다이노스는 리복과 함께 팬들을 맞이한다. 키움 히어로즈는 개막에 맞춰 6년 만에 리뉴얼된 홈·원정 유니폼을 포함한 다양한 MD 상품을 판매하는 팝업스토어를 운영하며 팬들의 구매 욕구를 자극하고 있다. 팝업스토어에서는 '키움 찐팬 자격증' 발급, 선수단 포토월 등 체험형 콘텐츠도 마련해 팬들에게 특별한 경험을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다양한 유통 채널에서도 야구팬들을 위한 마케팅이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다. CGV는 매주 일요일 주요 경기를 생중계하며 야구장을 찾지 못하는 팬들에게 색다른 관람 기회를 제공한다. 정규리그는 물론 올스타전과 포스트시즌까지 생중계할 예정이라 야구팬들의 호응이 예상된다. 이 외에도 모빌리티 플랫폼 쏘카는 KBO와 '2025 신한 SOL뱅크 KBO 리그 공동마케팅 스폰서십'을 체결하고 야구장 방문객들을 위한 이동 편의를 제공할 예정이다. 롯데지주는 KBO의 주요 행사를 롯데호텔 월드에서 개최하는 업무협약을 맺으며 야구팬들을 위한 다양한 볼거리와 즐길 거리를 마련할 계획이다. 전문가들은 “최근 내수 부진이 이어지는 상황에서 프로야구 개막은 유통업계에 활력을 불어넣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라며 “단순히 상품을 판매하는 것을 넘어, 야구팬들에게 특별한 경험과 즐거움을 제공하는 마케팅 전략이 더욱 중요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2025년 프로야구 개막을 앞두고 뜨겁게 달아오르는 유통업계의 경쟁이 과연 침체된 소비 심리를 되살리고 야구 열기를 더욱 고조시킬 수 있을지 주목된다.
2025-03-18 10:49:57
-
-
가을 장사 망친 패션업계…동절기 대목잡기 '사활'
[이코노믹데일리] 예년보다 따뜻한 날씨로 가을 장사를 망친 패션업계가 동절기 대목 잡기에 돌입했다. 겨울 장사는 한 해 장사의 성패를 좌우할 만큼 가장 중요한 시기다. 봄·여름 상품보다 가격대가 높아 같은 물량을 판매해도 순이익이 더 크기 때문이다. 특히 올해 기록적인 한파가 예고되면서 의류 소비 심리도 되살아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에 패션업계는 방한 소재 다양화와 여러 브랜드와의 협업으로 4분기 특수 맞이에 힘쏟고 있다. 최근 빠르게 내려간 기온에 코트, 패딩 등 아우터 상품을 찾는 소비자가 늘고 있다. 지난 10월 황금 연휴 기간 롯데백화점의 패션 상품군 매출은 전주 대비 65% 신장세를 기록했다. 보온성이 뛰어난 아우터 품목이 많은 스포츠·아웃도어 상품군 매출은 70% 증가했다. 신세계백화점의 경우 200만~300만원대 이상 캐나다구스, 노비스, 페트레이, 맥케이지, 듀베티카 등 프리미엄 아우터 브랜드를 중심으로 매출이 41% 증가했다. TV홈쇼핑에서도 방한 의류 매출이 증가하고 있다. 지난 3~13일 CJ온스타일의 가죽·무스탕 의류와 코트·트렌치 매출은 각각 66%, 51% 증가했다. 간절기에 많이 입는 니트와 스웨터, 카디건 매출은 15% 이상 늘었다. 패션업체도 소비자들 수요에 발맞춰 서둘러 겨울 채비에 나섰다. 코오롱FnC 여성 브랜드 럭키슈에뜨는 지난 시즌 대비 아우터 물량을 28% 늘리며 본격 겨울 옷 판매에 돌입했다. 코트의 경우 캐시미어와 울 또는 모를 혼방했으며, 패딩은 구스다운 충전재를 적용해 보온성을 높였다. 론칭 15주년을 맞은 커스텀멜로우는 세계적인 디자이너 헤드 메이너와 협업 컬렉션을 선보였으며, 코오롱스포츠도 웨일즈보너와 협업한 윈드스토퍼 재킷, 플리스 패딩 재킷 등을 선보였다. LF의 리복, 티톤브로스 등 스포츠·아웃도어 브랜드는 헤비 아우터로 겨울 수요 잡기에 나섰다. 헤지스가 지난달 26일 남성 브랜드 바스통과 협업해 선보인 클래식 아우터 컬렉션은 좋은 성과를 거두고 있다. 지난 26일 론칭 이후 10월 1주차 헤지스 아우터 전체 매출은 평소 대비 약 2배 이상 증가했으며, 메인 유통 채널인 더현대서울 헤지스 매장은 협업 컬렉션 론칭 이전 대비 매출이 60% 증가했다. 삼성물산 패션부문의 하이 스트리트웨어 브랜드 구호플러스는 다양한 기장의 코트와 쇼트 패딩, 스웨이드 재킷 등 아우터를 출시했다. 신세계인터내셔날은 어그와 패딩, 트위드 재킷 등 겨울 제품을 한 발 앞서 판매하며 매출 회복에 나섰다. 이탈리아 명품 브랜드 ‘에르노’ 패딩을 8월부터 판매한지 한 달 도 안돼 일부 제품이 품절됐다. 업계 관계자는 “올겨울 역대급 한파가 전망되고 있는 만큼 의류 소비 심리가 되살아날 것으로 전망된다”며 “패션업계 1년 장사는 겨울에 성패가 판가름 나는데 단가가 높은 아우터 매출이 벌써부터 올라오고 있어 거는 기대감이 크다”고 말했다.
2024-10-29 06: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