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04.20 일요일
맑음
서울 22˚C
흐림
부산 16˚C
흐림
대구 15˚C
맑음
인천 19˚C
흐림
광주 21˚C
맑음
대전 23˚C
흐림
울산 15˚C
흐림
강릉 19˚C
흐림
제주 18˚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모기지'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2
건
코픽스 하락에 금리 '뚝'…銀, 유주택자 주담대 '술술'
[이코노믹데일리] 은행 변동금리 결정 기준이 되는 코픽스(COFIX·자금조달비용지수)가 넉 달 연속 하락했다. 이에 따라 코픽스를 반영하는 주택담보대출(주담대)을 포함한 변동형 상품의 금리도 내려가면서 은행들은 규제를 강화했던 유주택자 주담대를 완화하는 분위기다. 21일 은행연합회 공시에 따르면 지난달 신규 취급액 기준 코픽스는 3.08%로 지난해 12월(3.22%)보다 0.14%p 떨어졌다. 앞서 신규 코픽스는 지난해 9월 3.40%, 10월 3.37%, 11월 3.35%를 기록하며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인하한 이후부터 우하향을 그렸다. 이 가운데 우리은행은 이날부터 유주택자의 서울 등 수도권 주택 구입 목적 주담대 취급을 재개했다. 우리은행은 지난해 9월 가계부채 관리 차원으로 유주택자의 수도권 주담대·전세대출 취급 중단에 나선 바 있다. 우리은행은 새해 들어 대출 제한 조치를 완화하면서 유주택자에 대한 전세대출 취급은 먼저 재개해 왔다. 주담대의 모기지신용보험(MCI)·모기지신용보증(MCG) 가입 제한도 해제해 대출한도도 확대했다. 모기지 보험은 주담대와 동시에 가입하는 보험으로, 가입 시 대출한도가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우리은행의 대출 완화 움직임에 따라 타 은행들도 동참할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KB국민은행은 1주택 보유자, 신한·NH농협은행은 2주택 이상부터 주담대를 중단한 상태다. 하나은행만 주담대 제한이 없다. 은행권 관계자는 "가계대출 증가세가 안정된 추이를 보이고 있다"면서도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함께 다주택자 대상 주담대 제한 완화도 고려하는 중"이라고 말했다. 실제 지난해 폭증했던 가계대출은 지난달 10개월 만에 감소세로 돌아섰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달 전 금융권의 가계대출은 전월 대비 9000억원 줄었다. 지난해 8월 9조7000억원 증가하면서 최고치를 찍은 뒤 같은 해 △9월 5조4000억원 △10월 6조5000억원 △11월 5조원 △12월 2조원으로 차츰 증가 폭이 축소됐다. 금융당국은 올해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3단계가 시행되면 당분간 가계부채 안정화 흐름이 지속될 것으로 관측한다. 이복현 금감원장은 지난 19일 은행장들과의 간담회에서 기자들에게 "지난해 10월부터 시작된 금리 인하 흐름이 올해 1분기엔 어느 정도 효과가 발생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2025-02-21 16:35:37
주택거래 '뚝'... 악성 미분양은 '상승'
정부의 전방위적 대출 조이기로 자금 마련이 어려워지며 전국에서 주택 거래량이 눈에 띄게 줄고 있다. 반면 ‘악성 미분양’으로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은 꾸준한 증가 흐름을 보였다. 31일 국토교통부 ‘11월 주택통계’ 자료를 보면 지난달 전국 주택 거래량(신고일 기준)은 4만9114건으로 전월 대비 13.2% 감소했다. 올 상반기 4∼5만 건 수준에 머물던 주택거래량은 금리 인하 기대감과 정책 모기지 확대 영향으로 7월 6만8000건까지 늘었다. 그러나 하반기부터 대출 규제가 강화되며 다시 내리막길을 걷고 있다. 수도권 주택거래량은 2만1777건으로 전월 대비 12.9% 줄었고 지방은 2만7337건으로 13.4% 줄었다. 서울은 6803건을 기록, 한 달 전(7164건)보다 5.0% 하락했다. 서울 주택 거래 중 아파트 거래는 3773건으로 9월보다 5.7% 감소했다. 1∼11월 전국 주택 누계 거래량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15.4% 증가한 59만6655건이다. 지난달 주택 전·월세 거래량(신고일 기준)은 총 19만1172건으로 전월과 전년 동기 대비 9.5%씩 감소했다. 전세 거래량(7만9892건)은 전월 대비 12.6%, 전년 동월 대비 17.4% 만큼 각각 줄었다. 11월 말 기준 전국 미분양 주택은 6만5146가구다. 특히 준공 후 미분양 물량은 1만8644가구로 전월(1만8307가구) 대비 1.8%(337가구) 뛰며 15개월 연속 증가세를 보였다. 2020년 7월(1만8560가구) 이후 4년 4개월 만의 최대치다.
2024-12-31 07:54:01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넥슨, '마비노기' 패브릭 브랜드 '키티버니포니' 굿즈에 담아 현실로
2
예측불허 관세 정책에도 웃는 LG엔솔·SK온과 적신호 켜진 삼성SDI
3
은마 재건축 본궤도…49층·5962가구 '역세권 인센티브' 적용
4
[단독] 3년 연속 적자에도 이사 보수 한도 7천억원…쓰리빌리언 '보수 잔치' 논란
5
삼성전자 반려로봇 '볼리' 출시 임박…소비자 수요 많을까
6
동원F&B, 상폐 후 동원산업 완전 자회사로…'글로벌 식품 사업군' 출범
7
EU의 주요 ESG 규제 간소화 위한 입법안 통과
8
LG디스플레이, OLED 패널 양산 돌입…수익 개선 가능할까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데스크칼럼] "사람보다 AI가 낫다?"…개발자 넘어 전 직군 위협, 인력시장 구조 흔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