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04.17 목요일
흐림
서울 13˚C
흐림
부산 14˚C
흐림
대구 13˚C
흐림
인천 15˚C
흐림
광주 13˚C
흐림
대전 14˚C
흐림
울산 13˚C
흐림
강릉 15˚C
맑음
제주 21˚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미국 뉴욕 증시'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4
건
트럼프 관세 폭탄에 뉴욕 증시 '패닉'...3대 지수 일제히 하락
뉴욕증권거래소. [사진=AFP·연합뉴스] [이코노믹데일리] 미국 뉴욕 증시가 지난 3일(이하 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발표 여파로 급락하며 마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멕시코와 캐나다산 모든 수입품에 대해 25%의 관세를 4일부터 부과하겠다고 밝혔으며 이로 인해 시장이 크게 흔들렸다. 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에 따르면 미국 뉴욕 증시 3대 지수는 하락세를 보였다. 다우존스3 산업평균지수(다우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48% 하락한 4만3191.24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1.76% 떨어진 5849.72를 기록했으며 나스닥 지수는 2.64% 내린 1만8350.19로 마감했다. 이들 지수는 장 초반 상승 곡선을 그리다가 트럼프 대통령이 이날 오후 "멕시코와 캐나다산 수입품에 대한 25% 관세가 4일에 부과되기 시작할 것"이라고 발표하며 급락했다. 경제 지표 역시 시장에 불안감을 더했다. 이날 미국 공급관리협회(ISM)가 발표한 지난달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는 50.3으로 전월(50.9) 대비 하락했다. S&P 글로벌의 지난달 미국 제조업 PMI는 52.7로 개선됐지만 관세 우려로 인한 무역 혼란 가능성이 지적됐다. 크리스 윌리엄스 S&P글로벌 마켓 인텔리전스 수석 경제 이코노미스트는 "미국 제조업 PMI가 32개월래 최고치에 도달한 것은 제조업 부문 건강이 개선됐음을 시사하지만 단지 겉으로 보이는 현상일 수 있다"고 지적했다. 미국 경제성장률을 실시간으로 추정하는 애틀랜타 연방준비은행의 'GDP 나우(now)' 모델은 미국 1분기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1.5%)보다 낮은 -2.8%로 하향 조정했다. 업종별로는 기술주와 반도체 관련주가 큰 폭으로 하락했다. 특히 엔비디아의 주가가 8.69% 하락해 가장 큰 타격을 받았고 △아마존닷컴 3.42% △테슬라 2.84% △마이크로소프트 2.14% △애플 1.58% 떨어지며 하락세를 보였다. 이와 함께 소재와 임의소비재는 2% 넘게 밀렸고 산업과 통신서비스도 1% 이상 내렸다. 반면 보면필수소비재와 의료건강, 부동산, 유틸리티 등 경기방어주는 상승했다. 프록터앤드갬블(P&G)과 존슨앤드존슨, 코카콜라, 버라이즌(VZ) 등 전통의 필수소비재는 1%대 상승률을 보였다. 한편 금 현물은 이날 오후 2시 4분 기준 온스당 1.1% 상승한 2890.57 달러를 기록했다. 미국 금 선물의 경우엔 1.8% 상승해 2901.1 달러에 마감했다. 10년 만기 미 국채 수익률은 이날 뉴욕증시 마감 무렵 4.16%로 하락했다. 미국 경제 둔화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지난 1월(4.80%) 이후 급격한 내림세를 보였다.
2025-03-04 11:15:21
굳건한 질주 '국장'…관세·공매도 변수
[이코노믹데일리] 올해 들어 국내 증시가 변동성이 높은 글로벌 시장에서 강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특히 미국발 관세 전쟁 우려 속에서도 주요국 대비 견조한 흐름을 유지하고 있는 가운데 관세 정책 시행과 공매도 재개를 앞둔 시점에 어떤 흐름이 나타날지 주목된다. 3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유가증권시장에서 코스피 지수는 올해 들어 5.49%(2400.87→2532.78) 상승했다. 코스피는 올 초 2400.87에 시작한 가운데 지난달 19일 2671.52까지 오르며 2700선에 근접하기도 했다. 코스닥은 9.57%(678.98→743.96) 증가하며 더 큰 상승폭을 보였다. 코스닥도 지난달 19일 올해 들어 가장 최고점인 778.27을 기록하며 800선을 목전에 뒀다. 국내 증시는 글로벌 증시 대비 강세를 보인다. 같은 기간 미국 뉴욕 증시 3대 지수인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다우지수) 2.77%(4만2660.09→4만3840.91)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 0.87%(5903.26→5954.50) △나스닥 -2.87%(1만9404.90→1만8847.28)의 등락률을 보였다. 아시아 주요 국가의 시장도 다소 부진한 모습이다. 각 국별로 △대만 자취엔지수 0.34%(2만2975.71→2만3053.18) △중국 상하이종합지수 -0.81%(3347.94→3320.90) △일본 닛케이225 평균주가 -6.99%(3만9945.42→3만7152.50)로 집계됐다. 이러한 까닭은 미국발 관세 전쟁 여파 탓이다.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는 금일부터 캐나다와 멕시코에 각 25% 관세를 부과하고 중국에는 추가로 10% 관세를 부과한다고 밝혔다. 또 이달 12일부터 철강·알루미늄에 대해 25% 관세를, 오는 4월 2일부터는 관세·비관세 모두 고려하는 상호 관세를 발효하겠다고 예고했다. 국내 증시의 경우 이미 지난해 주가에 리스크가 선반영돼 관세 충격이 이전만큼 크지 않았고 변동성이 제한된 것으로 풀이된다. 다만 최근 코스피가 지난 일주일간 단 한 차례 상승하고 4.59% 떨어지며 상승세가 마무리된 것이 아니냐는 우려도 나온다. 특히 지난달 28일 하락 폭은 3.39%를 보이며 올 들어 가장 컸다. 이날 외국인은 유가증권시장에서 1조5544억원어치 팔아 치웠는데 순매도 규모는 지난 2022년 1월 27일(1조7499억원) 이후 최대치다. 증권가에서는 국내 증시의 강한 흐름이 당분간 이어지는 가운데 이달 말 재개되는 공매도와 트럼프 관세 정책이 향후 흐름을 좌우할 것이란 의견이 나온다. 이재만 하나증권 연구원은 "국내 증시는 이전과는 달리 강해졌단 평가를 받고 있다"며 "달러 강세 진정과 공매도 재개가 결합될 경우 국내 증시 내 외국인 영향력을 커질 것으로 판단한다"고 분석했다. KB증권은 이달 코스피 밴드를 2410~2670으로 제시했다. 이은택 KB증권 연구원은 "이달에는 공매도 재개, 탄핵 결과, 트럼프 관세, 환율 변동성 확대 등 리스크 요인이 많다"며 "다만 올해 중반까지는 한국 증시가 완만한 상대적 강세를 유지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신한투자증권은 코스피 밴드를 2470~2730으로 예측했다. 노동길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상호 관세 부과는 국내 주식 시장에 오히려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는 변수"라고 언급했다. 그는 "반도체, 자동차, 의약품 관세 가능성은 위협적이지만 미국 생산 능력 줄어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무질서한 관세 현실화 가능성은 높지 않다고 판단한다"고 설명했다. 한편 이날부터 국내 최초 대체거래소인 '넥스트레이드'가 출범한다. 대체거래소의 주식거래 시간은 오전 8시부터 오후 8시까지로, 첫 주에는 코스피 5 종목(롯데쇼핑·제일기획·코오롱인더·LG유플러스·S-Oil), 코스닥 5 종목(골프존·동국제약·에스에프에이·와이지엔터테인먼트·컴투스)만 거래 가능하다.
2025-03-04 06:00:00
네이버웹툰, 일본 웹툰 스튜디오 '넘버나인'에 첫 투자…글로벌 시장 공략 박차
[이코노믹데일리] 네이버웹툰의 모기업인 웹툰엔터테인먼트(이하 웹툰엔터)가 일본 웹툰 시장 공략을 가속화하기 위해 현지 웹툰 스튜디오에 첫 투자를 단행했다. 이는 지난해 6월 미국 뉴욕 증시 상장(IPO) 이후 첫 번째 투자 행보로 글로벌 사업 확장에 대한 웹툰엔터의 적극적인 의지를 보여주는 것으로 해석된다. 16일 블룸버그통신은 웹툰엔터의 일본 자회사인 라인 디지털 프론티어가 일본 전자 만화 에이전시이자 웹툰 스튜디오인 ‘넘버나인’의 소수 지분을 인수했다고 보도했다. 다만,구체적인 투자 규모는 공개되지 않았다. ‘넘버나인’은 2016년 전자 만화 중개 서비스로 시작하여 최근에는 웹툰 제작 스튜디오로 사업 영역을 확장한 회사다. 특히 ‘넘버나인’이 제작한 웹툰 ‘신혈의 구세주’와 ‘나만 최강 초월자’는 지난해 라인망가 랭킹 상위 10위 안에 들며 큰 인기를 얻은 바 있으며 현재 네이버웹툰의 글로벌 서비스를 통해 한국어, 영어, 프랑스어 등 다양한 언어로 전 세계 독자들에게 제공되고 있다. 김용수 웹툰엔터 최고전략책임자(CSO)는 블룸버그와의 인터뷰에서 “웹툰엔터가 향후 몇 년간 미국 시장에서 큰 성장을 이룰 것으로 예상되지만 단기적으로는 일본 시장의 성장세가 가장 빠르다”고 진단하며 “이번 투자를 통해 현지 제작 콘텐츠 비중을 확대하려는 노력을 가속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실제로 웹툰엔터의 지난해 3분기 실적 발표에 따르면 일본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5% 성장하며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는 북미를 포함한 기타 지역의 매출 성장률 11.1%, 한국 매출 성장률 1.7%를 훨씬 웃도는 수치다. 리서치 업체 센서타워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웹툰엔터의 일본 애플리케이션인 라인망가는 지난해 8~9월 매출 기준으로 일본 시장 점유율 1위를 차지하기도 했다. 김준구 웹툰엔터테인먼트 및 네이버웹툰 대표는 “일본 창작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한 노력들이 일본 사업의 견고한 성장과 히트작 배출로 이어지고 있다”며 “‘신혈의 구세주’를 글로벌 인기작으로 만든 양사가 파트너십을 확대해 경쟁력 있는 작품들을 전 세계 독자들에게 선보일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번 투자는 웹툰엔터가 네이버웹툰의 성공적인 글로벌 시장 진출을 이끈 창작 생태계를 일본 시장에 더욱 확장하고 이를 통해 글로벌 스토리텔링 콘텐츠 시장에서의 리더십을 더욱 강화하려는 전략의 중요한 부분으로 보인다. 최근 웹툰을 원작으로 하는 드라마와 게임 등의 제작이 활발해지면서 웹툰 지적재산(IP)의 가치가 더욱 높아지고 있는 상황 속에서 이번 투자는 웹툰엔터의 글로벌 콘텐츠 경쟁력 강화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된다.
2025-01-16 10:54:39
키움증권, 유튜브 채널 개편…"국내·해외 라이브 방송 통합"
[이코노믹데일리] 키움증권이 유튜브 채널 '채널K'에서 국내외 시황을 전하는 '키움 브리핑 글로벌'과 '키움 브리핑 코리아'를 통합해 '키움브리핑'으로 개편한다고 7일 밝혔다. 기존 키움 브리핑 글로벌에서는 전날 밤 미국 뉴욕 증시 시황을 설명하고, 키움 브리핑 코리아에서는 장전 국내 투자 정보를 요약해 소개했다. 키움증권은 국내 증시와 글로벌 증시 간 연동성이 커지면서 라이브 방송을 통합했다. 키움브리핑에서는 1부 뉴욕 증시 브리핑을 통해 전일 주요 지수와 종목별 이슈를 점검한다. 2부 애프터마켓 이슈-PICK에서는 해외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내 주요 인물 이슈를 확인하고 주요 업종별 변화나 투자 포인트, 관련 종목 등을 짚는다. 아울러 3부 박명석의 K-PICK에서는 전일 미국 시장과 국내 시장을 연결지어 확인하는 매크로 시장 분석 시간도 진행한다. 키움증권 관계자는 "글로벌 증시와 상호 영향을 받는 국내 증시 투자정보에 대한 감을 익힐 새로운 기회"라며 "시중에 혼재되고 남발하는 정보 환경 속에서 필요한 알짜 정보를 제공하는 투자 플랫폼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2025-01-07 10:29:09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넥슨, '마비노기' 패브릭 브랜드 '키티버니포니' 굿즈에 담아 현실로
2
[안서희 제약바이오] SK플라즈마, 인니 혈액제제 CMO 본격화…첫 혈장 국내 도입 외
3
광명 신안산선 공사현장 붕괴…작업자 2명 연락 두절, 지상도로까지 파손
4
예측불허 관세 정책에도 웃는 LG엔솔·SK온과 적신호 켜진 삼성SDI
5
동원F&B, 상폐 후 동원산업 완전 자회사로…'글로벌 식품 사업군' 출범
6
[속보] 서울 관악구 삼성동 재개발구역서 지반 침하…당국 현장 통제
7
미국 현지 선투자 효과 받나... SK온·LG엔솔 미 현지 협업 기대감 상승
8
삼성디스플레이, 애플 폴더블 OLED 공급한다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데스크칼럼] 키움증권의 전산장애, 신뢰 추락 막으려면 책임 있는 해명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