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04.03 목요일
맑음
서울 15˚C
흐림
부산 14˚C
흐림
대구 13˚C
맑음
인천 12˚C
맑음
광주 15˚C
구름
대전 17˚C
흐림
울산 12˚C
구름
강릉 11˚C
흐림
제주 11˚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미국 대통령 선거'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4
건
우리나라 경제 상황은 어디로 흘러갈까 '점검'
[이코노믹데일리] 한국경제인협회가 내년 1월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에 앞서 우리나라 경제 현황과 대미(對美) 관계를 짚어보는 좌담회를 진행했다. 한경협은 11일 서울 영등포구 KFI타워에서 '미국 신(新)정부 출범, 한국 경제 준비되었는가 - 역대 통상교섭본부장에게 묻는다' 좌담회를 진행했다. 행사에선 미국 대통령 선거 이후의 한미 관계 미래와 미국의 대중국 정책, 인플레이션방지법(IRA), 우리나라 기업의 대응 전략 등에 대해 논의했다. 좌담회에는 여한구 피터슨국제경영연구소 선임연구원과 유명희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교수, 박태호 법무법인 광장 국제통상연구원장, 김종훈 전 국회의원 등 역대 통상교섭본부장 4명이 참석했다. 개회사에 나선 김창범 한경협 부회장은 "트럼프 대통령의 귀환이 우리는 물론 전 세계에 많은 변화를 가져올 것"이라며 "한국 정부와 경제계는 새롭게 구성될 미국의 새로운 행정부와 통상정책 기조, 정책 방향에 대해 냉정한 전망과 정교한 대책을 고민해야 할 때"라고 전했다. 이어 주제 발표에 나선 여 선임연구원은 미 현지에서 화상 연결을 통해 현지 반응을 전했다. 그는 "미국은 지금 폭풍전야 상태이며 여러 가지 반응이 오가고 있다"며 "트럼프 2기 행정부는 무역적자 축소와 제조업 부흥, 미중 패권 경쟁 우위 확보라는 3대 목표 아래 관세와 통상정책을 바탕으로 드라이브를 걸 전망"이라고 분석했다. 참석자들은 트럼프 당선인이 주창한 '보편관세'에 대해선 피해를 최소화해야 한다는데 한 목소리를 냈다. 트럼프 당선인은 공약으로 모든 수입품에 대해 10~20%까지 관세를 물리겠다고 공언했다. 현실화될 경우 우리나라의 대미 수출에도 타격으로 돌아올 전망이다. 유 교수는 "지난 8년간 트럼프와 바이든 정권을 거쳤지만, 관세나 대중국 견제에 대한 미국 무역 정책의 기조가 바뀌진 않았다"며 "미국의 무역수지 적자에 대해 가르치려 하기보단 이를 해소할 수 있는 사안과 방안을 준비해 보편관세에 대비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박 원장은 "미국이 보편관세를 현실화한다면 이는 물가를 올리는 행동이기 때문에 장기화하긴 어려울 것"이라며 "미국의 동향을 잘 관찰하면서 그에 맞춰 대응해 나가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김 전 의원은 "우리나라가 미국에 대해 수출량을 줄이려는 것보단 미국이 경쟁력을 가진 부분에서 우리가 수입을 늘리는 게 중요하다"며 "대표적으론 에너지 부분과 로켓 부분"이라고 언급했다. IRA 폐지와 미국의 환경 에너지 정책에 대한 논의도 이어졌다. 유 교수는 "IRA의 경우 미국 공화당 내에서도 폐지에 반대하는 움직임이 있어 쉽지 않다"며 "다만 폐지 후 공화당의 입맛에 맞는 정책만 골라 재입법하는 가능성도 염두에 둬야 한다"고 내다봤다. 박 원장은 "트럼프가 IRA에 대해 정치적 조치를 취할 환경은 조성된 상태지만, 또 한 가지 미국이 집중하는 부분이 중국에 대한 견제"라며 "우리나라 기업들이 위축되기보단 더 과감히 투자하며 미국과 협력 관계를 넓혀야 한다"고 강조했다.
2024-11-11 17:04:37
'반도체 제국'이 어쩌다···24년 연속 세계 1위 인텔 '굴욕'
[이코노믹데일리] 한때 '반도체 제국'으로 불리며 1992년부터 2016년까지 24년간 반도체업계 세계 1위 자리를 굳건히 지키던 인텔이 최근 안팎으로 굴욕을 경험하고 있다. 인텔은 지난 15일(현지시간) 전 세계 임직원 15%에 해당하는 1만5000명을 대상으로 해고를 통보했다. 올해 상반기에만 26억7000만 달러(약 3조6500억원) 손실을 내며 역대 최악의 실적을 거둔 탓이다. 창사 이래 최대 규모 구조조정 조치이기도 하다. 내부 사정도 좋지 않은데, 외부에선 퀄컴의 '인텔 인수설'이 퍼지고 있다. 블룸버그통신은 같은 날 "오는 11월 미국 대통령 선거 종료에 맞춰 퀄컴이 인수를 추진할 것"이라 보도했다. 퀄컴은 지난해 기준 모바일 기기 애플리케이션프로세서(AP) 시장에서 2위를 차지한 업체다. PC의 절대 강자 인텔이 모바일 강자에게 인수 당하는 굴욕적 상황이 펼쳐질 수 있다. 반도체 제국 인텔의 위기는 시장 흐름에 대한 오판에서 시작됐다. 지난 2006년 스티브 잡스 애플 전 최고경영자(CEO)는 인텔에 아이폰용 AP를 만들어 달라고 요청했으나, 인텔은 당시 모바일 시장의 성장성을 낮게 보고 거절했다. 이후 2011년 모바일 시장이 PC 시장을 추월하며 인텔은 큰 기회를 놓치게 됐다. 이후에도 인텔은 매출 중심 경영을 이어가며 독보적인 기술 경쟁력을 상실했다. 인텔의 실적은 2015년부터 2021년까지 7년 연속 성장했으나, 반도체 공정은 2014년 14나노미터(1㎚= 10억분의 1m)를 끝으로 2020년까지 6년간 사실상 정체됐다. 그 사이 삼성전자, TSMC 등 경쟁사는 공정에서 앞서나가기 시작했다. 인텔은 2021년 매출로 790억 달러(약 107조원)를 벌어들이며 역대 최대 실적을 달성했으나, 지난해엔 매출이 540억 달러(약 74조원)까지 떨어졌다. 불과 2년 사이 250억 달러(약 34조원)나 감소한 것이다. 다만 인텔도 반등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 있다. 이번 대규모 감원도 경영 효율화 조치의 일환으로 풀이된다. 지난 15일엔 중앙처리장치(CPU) 경쟁사인 미국 AMD와 '반도체 설계 표준' 제정을 위한 공동 자문단을 만드는 등 주변 기업과 협력 관계를 구축하고 있다. 또 오는 24일 미국을 시작으로 최신형 CPU인 15세대 '인텔 코어 울트라 프로세서'도 출시할 예정이라 향후 신형 CPU에 대한 시장의 반응과 인텔의 행보가 주목된다.
2024-10-17 20:40:04
부진에 시름하는 배터리업계···업황 '반등 신호' 솔솔
[이코노믹데일리] 침체를 겪고 있는 배터리 업계에서 전기차 캐즘(수요 정체)이 바닥을 찍었다는 관측과 함께 이르면 내년 초부터 반등을 시작할 수도 있다는 기대감이 모이고 있다. 오는 28일 LG에너지솔루션의 올해 3분기 실적 설명회를 시작으로 삼성SDI와 SK온이 각각 30일, 다음달 4일 3분기 실적 발표를 진행할 예정이다. 시장은 실적 발표를 앞두고 배터리 3사가 3분기 부진한 실적을 냈을 것이란 관측을 내놨다. 지난 8일 3분기 잠정 실적을 공개한 LG에너지솔루션은 지난해 대비 매출 16.4%, 영업이익 38.7% 감소라는 성적표를 받았다. KB증권은 지난 7일 삼성SDI가 3분기에 지난해 대비 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25.4%, 74.0% 감소할 것으로 봤다. SK온도 전 분기에 이어 적자를 이어갈 거라는 전망이 나왔다. 불황이 길어지고 있지만 배터리 업계에선 오히려 반등을 위한 신호가 보인다고 진단했다. 특히 리튬, 니켈 등 배터리 원자재 가격이 내려가며 전기차 수요가 늘어날 것이란 계산이다. 한국자원정보서비스에 따르면 리튬 가격은 지난 2022년 ㎏당 579위안(약 11만560원)으로 최고치를 찍은 후 지난해 말부터 현재까지 70~80위안(약 1만3370원~1만5280원)에 거래 중이다. 최고치 대비 87.9% 낮아진 수치다. 니켈도 2022년 고점 대비 60%가량 내려온 가격에서 움직이고 있다. 중저가형 신형 전기차 출시 계획도 기대감을 올리는 요인이다. 현대자동차 캐스퍼 전기차 버전과 기아 EV5 등 중저가형 전기차 라인이 올해 안으로 미국에서 출시될 예정이며, 제너럴모터스(GM)와 스텔란티스 등 세계적 자동차 업체들도 중저가 전기차 라인을 확대할 계획이다. 중저가형 전기차가 3만 달러(약 4000만원) 내외라는 점을 감안할 때, 박리다매를 통한 매출 확대에 도움이 될 걸로 보인다. 오는 11월 미국 대통령 선거 이후에도 전기차에 부정적 정책이 나올 가능성은 제한적일 거라는 예측도 있다. 우선 카멀라 해리스 민주당 후보는 기존 조 바이든 대통령의 친환경 정책을 이어갈 확률이 높다. 반대 진영에 있는 도널드 트럼프 공화당 후보가 전기차 보조금 폐지를 언급하기도 했지만, 트럼프 후보는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의 후원을 받고 있다. 미국 최대 전기차 업체 대표의 지원을 받는 만큼, 전기차 시장에 피해를 줄 수 있는 정책이 실현될 가능성은 높지 않다는 분석이다. 국내 배터리 3사 중에선 LG에너지솔루션이 가장 빨리 반등 신호를 보내고 있다. 지난 15일 미국 자동차 업체 포드와 109기가와트시(GWh) 규모의 배터리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알렸다. 금액으로 치면 약 13조원에 이를 걸로 추정된다. 지난 8일 메르세데스-벤츠와 50.5GWh 규모의 배터리 공급 계약을 맺은 지 일주일 만에 나온 추가 계약이다. 삼성SDI와 SK온은 경영효율화에 집중하며 내실을 다지고 있다. 삼성SDI는 지난달 10일 비주력 사업 중 하나인 디스플레이 편광판 사업을 중국에 매각했으며, SK온은 지난달 26일부터 창사 후 첫 희망퇴직에 들어가며 구조조정에 착수한 상태다. 배터리업계 관계자는 "최근 증권사 보고서를 살펴보면 배터리 업황에 대한 부정적 시각보단 긍정적 시각이 많아졌다"며 "장기적 추세에선 실적 회복세가 이어질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2024-10-16 19:49:00
중동서 튄 불똥에 국제유가 '10% 폭등'···국내 기름값도 '움찔'
[이코노믹데일리] 이스라엘-이란 전쟁의 여파로 국제유가가 나흘 사이에 10% 급등했다. 향후 분쟁의 정도에 따라 국내 휘발유·경유 가격 상승 폭이 결정될 걸로 보인다. 한국석유공사 페트로넷에 따르면 두바이유 가격은 지난 1일(현지시간) 배럴(약 159ℓ) 당 70.76달러에서 4일 77.89달러로 나흘간 7.13달러(10.1%) 올랐다. 같은 기간 유럽 브렌트유 가격은 배럴 당 72.56달러에서 78.05달러로 4.49달러(6.2%), 미국 서부텍사스경질유(WTI) 가격은 배럴 당 69.83달러에서 74.38달러로 4.55달러(6.5%) 증가했다. 국제유가가 급등세를 탄 건 지난 1일 이란이 이스라엘을 향해 탄도 미사일 180여발을 발사하고 이스라엘이 이에 대한 대규모 보복을 시사한 이후다. 이스라엘은 앞서 지난 28일 친이란 무장 정파 헤즈볼라의 지도부를 타격하기 위해 레바논 수도 베이루트에 대규모 공습을 진행한 바 있다. 양측이 피의 보복을 이어가자 중동 원유 공급망에 대한 불안감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지난 6일 뉴욕타임스 등 주요 외신에서 "이스라엘이 이란의 공격에 대해 정유 시설과 핵시설 등을 공격해 보복할 수 있다"는 분석을 내놓으며 시장 불안감이 높아졌다. 국내 기름값은 이르면 오는 15일부터 국제유가 상승세의 영향을 받을 전망이다. 중동에서 수출한 원유가 싱가포르 석유제품 도매 시장을 거쳐 국내 주유소에 납품되기까지 보름(15일)가량 걸리기 때문이다. 국내 휘발유 가격은 지난 7월 4주차에 ℓ당 1713원으로 연중 최고치를 기록한 후 지난 10월 1주차 때 ℓ당 1587원까지 내려온 상태다. 만약 15일부터 국제유가 상승폭과 같은 10.1%가 오른다고 가정하면 ℓ당 가격은 1745원으로 연중 최고치를 경신하게 된다. 관건은 앞으로 전쟁이 확대될지 여부다. 시장에선 이란의 원유 생산 시설이 타격받는 것도 걱정이지만, 호르무즈 해협 봉쇄를 최악의 경우로 보고 있다. 호르무즈 해협은 이란과 아랍에미리트 사이를 가르는 해협으로 전 세계 해상 원유의 35%, 국내 중동산 원유 도입 물량의 99%가 지나가는 길목이다. 비야르네 쉴드롭 스웨덴 은행 SEB 수석 상품 애널리스트는 지난 4일 미국 CNBC 방송에 출연해 "이스라엘이 실제 이란 석유 시설을 폭격하면 유가는 배럴 당 200달러까지 급등할 수 있다"며 국제유가 폭등을 전망하기도 했다. 다만 외교 전문가들 사이에선 이란이 확전을 원치 않아 국제유가 폭등이 현실화하진 않을 것이란 관측이 우세하다. 장지향 아산정책연구원 중동센터장은 "이스라엘 네타냐후 총리가 오는 11월 미국 대통령 선거 전까지 결과물을 내고자 이란을 보복할 순 있지만, 국제사회 복귀를 원하는 이란이 이스라엘과 강대강 대치로 맞받아 쳐줄진 의문"이라며 "상호 간 상징적 보복을 하는 선에서 마무리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2024-10-07 18:48:38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챗GPT '지브리풍' 그림 열풍, 저작권·차별 논란 확산
2
배달앱 두잇, '토스뱅크 성공 주역' 김지웅 CSO 영입
3
"만우절 이벤트 대방출"…웃음+할인 쏟아낸다
4
풀 밸류체인으로 한국 시장 공략하는 BYD…결론은 소비자 '선택'에 달렸다
5
탄산음료에서 시작했던 '저당 트렌드' 식품업계 전반으로 빠르게 확산
6
현대차그룹, 210억 달러 美 투자에 숨은 전략…'수소 생태계' 선점 노린다
7
[안서희의 제약바이오] 온코닉테라퓨틱스, 자큐보 중국 기술이전 마일스톤 150만 달러 청구 외
8
"끝나지 않는 배민과 쿠팡이츠의 전쟁"…권역 확대에 포장 수수료 무료까지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기자수첩] 손바닥으로 하늘 가리는 G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