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11.05 수요일
맑음
서울 8˚C
맑음
부산 12˚C
맑음
대구 11˚C
맑음
인천 11˚C
맑음
광주 11˚C
흐림
대전 10˚C
흐림
울산 14˚C
흐림
강릉 10˚C
흐림
제주 17˚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배틀그라운드 모바일 인도'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5
건
크래프톤, 창사 이래 첫 3분기 누적 영업익 1조 돌파…'배그 IP·AI·인도' 삼각편대 통했다
[이코노믹데일리] 크래프톤이 '배틀그라운드'라는 단일 IP의 힘을 극대화하며 창사 이래 최초로 3분기 만에 누적 영업이익 1조원을 돌파하는 기염을 토했다. 단순한 라이브 서비스를 넘어 과감한 IP 협업과 'AI First'로의 체질 개선 그리고 '인도'라는 신시장 개척이라는 삼각편대가 완벽한 시너지를 내며 사상 최대 실적을 견인했다는 분석이다. 크래프톤은 4일 2025년 3분기 연결 기준 매출 8706억원, 영업이익 3486억원을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각각 21%, 7.5% 증가한 수치다. 이로써 올해 3분기까지의 누적 영업이익은 1조519억원에 달하며 크래프톤은 '3분기 누적 영업이익 1조 클럽'에 이름을 올린 최초의 국내 게임사가 됐다. 이번 호실적의 중심에는 단연 '배틀그라운드' IP가 있다. PC 플랫폼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9% 성장하며 분기 최대 기록을 경신했다. 이는 '에스파', '지드래곤' 등 정상급 아티스트는 물론 명품 자동차 '부가티'와의 파격적인 협업이 화제성과 트래픽 상승으로 이어진 결과다. 게임을 넘어 하나의 '문화 현상'으로 IP를 확장하려는 전략이 주효한 것이다. 모바일 부문 역시 '배틀그라운드 모바일 인도(BGMI)'가 분기 최대 매출을 기록하며 성장을 이끌었다. 인도 한정 스킨 출시, 서버 확장 등 철저한 현지화 전략이 인도 시장을 완벽하게 장악한 비결로 꼽힌다. 크래프톤은 여기에 만족하지 않고 '인도와 함께하는 성장'을 목표로 누적 3000억원 규모의 투자를 단행, 현지 크리켓 게임사 '노틸러스 모바일'을 인수하는 등 인도 시장을 제2의 내수 시장으로 키워나가고 있다. 미래를 향한 과감한 투자 역시 이번 실적 발표의 중요한 관전 포인트다. 크래프톤은 'AI First' 기업으로의 전환을 위해 약 1000억원을 투자해 GPU 클러스터를 구축하는 등 AI 역량 고도화에 사활을 걸고 있다. SK텔레콤 컨소시엄을 통해 독자적인 파운데이션 모델을 개발하고 있으며 그 첫 결과물인 AI 동료 'PUBG 앨라이'를 내년 상반기 공개하며 게임 AI 기술 리더십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신규 IP 발굴에도 공격적으로 나서고 있다. 크래프톤은 'Big 프랜차이즈 IP' 확보라는 중장기 계획 아래 총 11개의 신규 프로젝트를 가동 중이며 그 첫 주자인 오픈월드 신작 '팰월드 모바일'을 오는 13일 '지스타'에서 최초로 공개한다. 이번 크래프톤의 3분기 실적은 '현재의 성공(배틀그라운드 IP 확장)'에 안주하지 않고 '미래의 성장(AI와 신규 IP)'에 과감히 투자하는 선순환 구조를 성공적으로 구축했음을 보여준다. '원히트 원더'라는 꼬리표를 떼고 지속 가능한 글로벌 엔터테인먼트 기업으로 도약하려는 크래프톤의 다음 행보에 업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2025-11-04 16:56:19
크래프톤, 인도 정보방송부 장관 방문 K-게임 외교 성장·교류 방안 논의
[이코노믹데일리] 인도 중앙정부 장관이 K-게임의 ‘인도 시장 성공 신화’를 쓴 크래프톤 본사를 직접 찾았다. 이는 ‘배틀그라운드 모바일 인도(BGMI)’를 통해 현지 국민 게임사로 자리매김한 크래프톤의 위상을 보여주는 동시에 인도가 K-게임의 핵심 전략 시장임을 재확인하는 상징적인 사건이다. 크래프톤은 지난 24일 무루간 인도 정보방송부 장관이 서울 본사를 방문해 김창한 대표 등 주요 임원진과 환담을 가졌다고 25일 밝혔다. 인도 중앙정부 장관급 인사가 국내 게임사를 단독으로 방문한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단순한 기업 탐방을 넘어 양국 간 게임 산업 발전을 위한 정책적 협력을 모색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이날 환담에서 김창한 대표는 BGMI의 성공 사례와 함께 인도 스타트업 생태계에 누적 2억 달러(약 2800억원) 이상을 투자해 온 크래프톤의 현지 기여 활동을 공유했다. 이에 무루간 장관은 크래프톤의 인도 게임 산업 발전과 스타트업 생태계 투자에 깊은 감사를 표하며 향후 양국 간 교육·기술 교류 및 미디어·엔터테인먼트 산업 전반의 협력 확대에 대한 기대감을 나타냈다. 이번 방문은 ‘인도 맞춤형’ 전략으로 현지 시장을 뚫은 크래프톤의 성공이 단순한 사업적 성과를 넘어 민간 외교의 영역으로까지 확장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한때 인도 정부의 규제로 서비스가 중단되는 위기를 겪기도 했던 크래프톤이 이제는 정부의 핵심 파트너로 인정받게 된 것이다. 김창한 크래프톤 대표는 “인도의 정보방송부 장관과 게임 산업 발전 및 협력 방향을 직접 논의할 수 있어 뜻깊은 자리였다”며 “앞으로 교육 교류, 현지 게임 개발 및 투자를 지속해 인도 게임 생태계 발전에 기여하고 이용자들에게 더 나은 게임 경험을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2025-09-25 17:27:28
크래프톤, 상반기 매출 1.5조, 영업이익 7000억원 '역대 최대'...IP 다각화 전략 성공
[이코노믹데일리] 크래프톤이 ‘PUBG: 배틀그라운드(이하 배틀그라운드)’라는 강력한 캐시카우의 건재함과 신규 IP 발굴 및 인수합병(M&A)이라는 투트랙 전략의 성공에 힘입어 역대 최대 상반기 실적을 경신했다. 이는 크래프톤이 ‘원 히트 원더’라는 꼬리표를 완전히 떼고 지속 가능한 성장을 증명하는 글로벌 게임사로 자리매김했음을 보여주는 명확한 신호다. 크래프톤은 29일 기업설명회(IR)를 통해 2025년 상반기 연결기준 매출 1조5362억원, 영업이익 7033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매출은 11.9%, 영업이익은 9.5% 증가한 수치로 창사 이래 가장 높은 반기 실적이다. 이번 실적의 단단한 기반은 역시 ‘배틀그라운드’ IP였다. PC 부문에서는 캐릭터 업그레이드 시스템 '컨텐더' 도입 등 강력한 라이브 서비스를 통해 이용자들의 지속적인 참여를 이끌어냈고 모바일 부문에서는 성장형 스킨 'X-Suit' 등이 큰 호응을 얻으며 견조한 매출 흐름을 유지했다. 특히 인도 시장을 겨냥한 ‘배틀그라운드 모바일 인도(BGMI)’는 현지 유력 기업들과의 협업을 통한 온·오프라인 브랜드 확장 등 철저한 현지화 전략으로 이용자 저변을 넓히며 해외 시장에서의 성공 공식을 다시 한번 입증했다. 크래프톤은 하반기에도 프랑스 명품 자동차 브랜드 ‘부가티’, 글로벌 아티스트 ‘에스파’ 등과의 협업을 예고하며 ‘배틀그라운드’를 단순한 게임이 아닌 문화적 아이콘으로 확장하겠다는 의지를 분명히 했다. ◆ ‘제2, 제3의 배틀그라운드’를 향한 담대한 투자 이번 실적 발표에서 더욱 주목해야 할 부분은 ‘배틀그라운드’의 울타리를 넘어서려는 크래프톤의 구체적인 행보다. 크래프톤은 탑다운 슈팅 게임 ‘PUBG: 블라인드스팟’과 익스트랙션 슈팅 장르 ‘프로젝트 블랙버짓’ 등 IP 확장 신작을 준비하는 동시에 완전히 새로운 프랜차이즈 IP 발굴에 사활을 걸고 있다. 그 성공적인 첫 사례가 바로 인생 시뮬레이션 게임 ‘인조이(inZOI)’다. ‘인조이’는 한국 패키지 게임 역사상 최단 기간 100만장 판매라는 기록을 세우고 북미·유럽 등 27개국에서 동시 인기 1위를 달성하며 크래프톤이 슈팅 장르 외에서도 성공할 수 있다는 잠재력을 증명했다. 또한 외부 유망 개발사와의 협력을 강화하는 '2nd Party Publishing(2PP)' 체계를 구축하고 총 13개의 신작 파이프라인을 가동하는 등 IP 포트폴리오를 공격적으로 다각화하고 있다. 한편 크래프톤의 중장기 성장 전략은 M&A와 AI 기술 확보에서 정점을 찍는다. 지난 4월 애드테크 기업 넵튠 인수에 이어 일본의 3대 종합광고 회사인 ADK그룹에 전략적 투자를 단행하며 IP 사업의 시너지를 극대화할 발판을 마련했다. 가장 눈에 띄는 행보는 미국의 ‘일레븐스 아워 게임스’ 인수다. 이번 인수를 통해 크래프톤은 핵 앤 슬래시 장르의 대표작 ‘라스트 에포크(Last Epoch)’라는 강력한 IP를 품에 안게 됐다. 이는 크래프톤이 자체 개발뿐만 아니라 검증된 외부 IP를 과감하게 인수해 포트폴리오를 강화하는 글로벌 스튜디오로 진화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AI 분야에서도 SK텔레콤과의 협력을 통해 추론 특화 언어 모델을 공동 개발하는 등 게임 개발 및 서비스 혁신을 위한 원천 기술 확보에 적극적으로 투자하고 있다. 이는 향후 게임 개발 프로세스를 혁신하고 이용자에게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장기적인 포석으로 전망된다.
2025-07-29 16:42:37
크래프톤, 인도서 지오·펩시코와 파트너십…'BGMI' 현지 생태계 확장
[이코노믹데일리] 크래프톤이 인도 최대 통신사 및 글로벌 식음료 기업과 손잡고 현지 시장 공략을 가속화한다. 게임 '배틀그라운드 모바일 인도(BGMI)'를 중심으로 브랜드 생태계를 확장해 게임을 넘어선 문화 아이콘으로 자리매김하겠다는 전략이다. 크래프톤은 약 4억7000만명의 가입자를 보유한 인도 1위 통신사 릴라이언스 지오와 협력해 인도 최초의 게임 전용 요금제 '지오 게이밍 팩'을 출시했다. 월 495루피(약 7800원)에 초고속 5G 데이터와 BGMI 인게임 아이템을 함께 제공하는 상품이다. 이번 협력은 통신 인프라와 게임 콘텐츠를 결합한 현지 최초의 시도로 BGMI의 시장 접근성을 획기적으로 높이는 계기가 될 전망이다. 글로벌 식음료 기업 펩시코 인도 법인과의 협업도 눈길을 끈다. 에너지 음료 '스팅'에 BGMI를 접목한 통합 캠페인을 전개한다. 'Sting X BGMI' 한정판 음료 수억 병을 인도 전역에 유통하고 제품 QR코드를 통해 한정판 인게임 보상을 제공한다. 또한 스팅은 BGMI 게임 내에서 공식 에너지 회복 아이템으로 등장해 이용자들에게 새로운 재미를 선사한다. 이러한 공격적인 현지 파트너십은 BGMI가 단순한 게임을 넘어 인도의 라이프스타일 브랜드로 진화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현지 대표 기업들과의 협업을 통해 이용자 경험을 강화하고 브랜드 영향력을 일상 곳곳으로 확장하는 모습이다. 손현일 크래프톤 인도법인 대표는 “이번 파트너십은 BGMI가 단순한 게임을 넘어 현지 라이프스타일 및 브랜드 생태계 전반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사례”라며 “크래프톤은 앞으로도 인도의 영향력 있는 기업들과 전략적 협업을 확장하여 유저들의 경험을 강화하고 배틀그라운드의 브랜드 생태계를 지속적으로 확장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2025-06-18 19:08:51
크래프톤, "게임 넘어 크리에이티브로"…인도 광고제서 64관왕 휩쓸며 영향력 과시
[이코노믹데일리] 크래프톤이 인도의 대표적인 광고 및 크리에이티브 시상식인 ‘큐리어스 크리에이티브 어워즈(이하 큐리어스)’와 ‘애비 어워즈(이하 애비)’에서 총 64개의 상을 휩쓸며 ‘배틀그라운드 모바일 인도(BGMI)’의 현지 브랜드 영향력을 강력하게 드러냈다. 이번 수상은 크래프톤과 BGMI가 단순한 게임을 넘어 크리에이티브 업계에서도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며 인도 시장 내 입지를 공고히 한 성과로 평가된다. 큐리어스와 애비는 인도 및 남아시아 지역 광고·마케팅·디자인·크리에이티브 산업 분야에서 최고의 창의성과 혁신을 기리는 권위 있는 시상식이다. 지난달 24일 인도 뭄바이에서 열린 큐리어스 시상식에서 크래프톤은 본상 격인 블루 엘리펀트 부문 10개, 베이비 엘리펀트 부문 20개, 그리고 퍼스트 리스트 26건에 이름을 올리는 기염을 토했다. 주요 수상 캠페인은 △Thoda Time Thoda BGMI(짧고 임팩트 있는 콘텐츠로 구성된 제한 시간 게임 모드 캠페인) △Malayalam Ad(인도 케랄라 지역을 타깃으로 한 로컬 감성 광고) △UC Prank(하루 동안 진행된 장난 캠페인으로 유저 참여와 자발적 확산 유도) △Live the Battlegrounds (인도 일상과 고퀄리티 VFX를 결합한 캠페인) △Doomtroopers (커뮤니티 세계관을 담은 24분 분량의 시네마틱 영상) △Seriously Fun (BGMI가 일상 속 유쾌한 동반자임을 표현한 유머 캠페인) 등이다. 특히 ‘Live the Battlegrounds’와 ‘Doomtroopers’ 캠페인은 크래프톤 내부 조직이 직접 기획하고 제작해 외부 대행사 없이도 높은 품질의 크리에이티브를 선보였다는 점에서 주목받았다. 같은 날 인도 고아에서 개최된 애비 시상식에서도 크래프톤의 활약은 이어졌다. 은상 5개, 동상 3개를 수상했으며 총 22개 부문에 후보로 올라 인도 크리에이티브 업계 내 위상을 다시 한번 입증했다. 주요 수상 부문은 △디지털 (15~30초 영상): 동상 △디지털 (30~60초 영상): 은상 △디지털 (60초 이상 영상): 은상 △디지털 영상 부문 종합: 동상 △디지털 크래프트-창의적 영상 활용: 은상 △브랜디드 콘텐츠 & 엔터테인먼트: 동상 △ 1분 미만 음성·시각 콘텐츠(기업, 미디어, 엔터테인먼트 부문): 은상 2개 수상 등 다양했다. 손현일 크래프톤 인도법인 대표는 “이번 수상은 인도를 포함한 글로벌에서 배틀그라운드가 강력한 브랜드로 자리매김한 것을 보여주는 의미 있는 성과” 라고 말했다. 크래프톤의 이번 성과는 인도 시장의 중요성과 함께 현지화된 창의적인 마케팅 전략이 주효했음을 보여주며, 향후 글로벌 시장 확장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2025-06-04 16:00:48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가디스오더' 출시 40일 만의 좌초…카카오게임즈 '퍼블리싱 제국'의 구조적 한계 드러나
2
[단독] 정의선·정기선 손잡다, 현대 특허무효심판 승소
3
60만 닉스·11만전자 부럽지 않은 HJ중공업…1년 새 10배 오른 코스피 '1등 주식'
4
대우건설 원주 재개발 현장서 하청노동자 사망… 노동부, 중대재해법 수사 착수
5
T1 vs KT, 롤드컵 결승서 '통신사 더비'…T1, 3연패·KT, 첫 우승 놓고 '격돌'
6
'해킹 후폭풍' 통신업계 덮쳤다…SKT '수장 교체', KT '교체 수순'
7
거래소, 삼성·한국투자증권 공매도 미공개 내용 유출…"내부통제 구멍" 비판
8
[현대·기아차그룹 美리콜 '100만대 시대' 해부①] 팰리세이드 전부 리콜...싼타페·아이오닉6까지 73만대 돌파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데스크칼럼] 2025 APEC이 산업계에 남긴 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