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11.17 월요일
맑음
서울 4˚C
맑음
부산 12˚C
맑음
대구 10˚C
맑음
인천 3˚C
맑음
광주 8˚C
흐림
대전 5˚C
맑음
울산 11˚C
흐림
강릉 7˚C
흐림
제주 13˚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백세주'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2
건
국순당, 백세주 빚는 전용쌀 '설갱미' 2025년 햅쌀 수매 나서
[이코노믹데일리] 국순당(대표 배중호)은 국내 최초 양조전용쌀인 ‘설갱미’의 2025년산 햅쌀 수매에 나섰다고 11일 밝혔다. 설갱미는 일반 벼보다 수확 시기가 늦고, 미세한 구멍이 많아 양조 가공성이 뛰어나며 단백질 함량이 낮아 술맛이 부드럽고 깔끔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설갱미는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이 1991년부터 육성해 2001년 품종 등록한 쌀로, 원래는 식용 목적이었지만 향과 조직 특성 덕분에 양조용으로 주목받았다. 국순당은 2002년부터 농촌진흥청과 함께 전통주 품질 향상을 위한 공동 연구를 진행해, 2007년 설갱미로 빚은 백세주 개발을 완료했다. 이후 2008년부터 본격적으로 설갱미를 사용해 백세주를 양조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누적 수매량은 약 1만4000톤에 달한다. 올해 수매된 설갱미는 강원도 횡성 지역 농가와 ‘약속재배’ 방식으로 재배된 쌀이다. 국순당은 “특수미는 판로가 불확실하면 농가가 재배를 꺼리기 때문에, 회사가 직접 농가와 재배 계약을 체결해 안정적인 수익을 보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약속재배 모델은 농가에는 안정적 소득원을, 기업에는 품질 높은 원료를 제공하는 상생 사례로 평가받는다. 국순당은 이 공로로 ‘제1회 상생협력 경연대회’ 우수사례 장관상을 수상한 바 있다. 이 관계자는 “설갱미를 산업화하는 과정에서 기술적 난관과 농가 설득 등 쉽지 않은 과정이 있었지만, ‘좋은 술은 좋은 원료에서 나온다’는 신념으로 국내 양조용 쌀 시장을 개척해왔다”며 “올해도 수고해주신 재배 농가에 감사드리며, 앞으로도 농촌과 함께 성장하는 기업이 되겠다”고 말했다.
2025-11-11 09:45:33
"추석선물로 전통주 어떠세요" 국순당, '백세주 선물세트' 등 선봬
[이코노믹데일리] 국순당은 추석을 맞아 우리나라 대표 약주인 백세주를 다양한 음용 상황에 맞게 도자기 잔, 온더락 잔, 유리 잔 등 전용잔과 함께 구성한 다채로운 ‘백세주 선물세트’를 선보인다고 26일 밝혔다. 이외에도 10년 숙성 증류소주 '려 2013 本’ 세트, 사라진 우리술을 복원한 ‘법고창신 세트’, 차례상에 꼭 필요한 차례주 예담 등 ‘국순당 선물세트’를 출시한다. 대표 선물세트로 ‘백세주 VIP 선물세트’는 백세주의 전통과 가치를 모던하면서도 한국적인 멋을 담아 표현한 품격 있는 고급 도자기 전용잔과 함께 구성돼 있다. ‘백세주 온더락 잔 선물세트’는 백세주 고유의 병 모양과 특유의 질감을 구현한 백세주의 헤리티지를 담은 온더락 잔이 들어 있으며 ‘백세주 도자기 잔 선물세트’는 하얀 도자기 잔에 블랙계열의 수묵화 기법의 ‘百’을 인쇄해 품격을 갖춘 도자기잔이 들어있다. 이외에도 전용 유리잔과 함께 구성한 ‘백세주 선물세트’도 준비했다. ‘국순당 법고창신 선물세트’는 △조선시대 선비들이 각별히 즐기던 송절주 △고려시대부터 즐기던 명주인 자주 △고려시대 왕족이 즐기던 떠먹는 최고급 막걸리 이화주 △조선시대 명주인 사시통음주 △술의 빛깔이 맑고 깨끗한 조선시대 명주인 청감주 등이 각각 어울리는 도자기 잔과 함께 구성됐다. 한정 수량을 출시하는 10년 숙성 증류소주인 '려 2013 本’ 세트도 있다. 한국 전통 자개 공예인 나전칠기를 모티브로 검은 말을 자개 문양으로 섬세하게 표현한 디자인으로 한정된 수량으로 선보인다. 최고급 증류주인 '백세고百歲膏‘도 일정 수량 선보인다. 옛 문헌에 소개된 향미가 향상된 좋은 술을 만드는 제법으로 빚은 쌀증류소주원액과 5년 숙성한 백세주술지게미증류원액을 그대로 브랜딩했다. 차례주 ‘예담’은 일본식 청주와는 달리 국내산 쌀로 전통 예법에 맞게 빚은 순수 발효 약주이다.
2025-09-26 10:43:38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단독] 현대홀딩스, 현대네트워크 흡수합병…현정은 체제 지배 구조 단일화
2
LGU+·SKT·한화, UAM 사업 전면 재검토..."상용화 지연 탓"
3
미국서 가격 낮춘 위고비·마운자로, 국내 시장선 현실성 낮아
4
증시 활황에 빅5 증권사 역대급 실적…내부통제 리스크엔 '경고등'
5
테슬라코리아, 완전자율주행 'FSD' 국내 출시 예고
6
코스맥스·한국콜마, 엇갈린 3분기…연말 실적 분수령
7
'역대 최대 규모' 지스타 2025, 13일 개막…엔씨·넷마블·크래프톤 신작 대전 '초읽기'
8
[지다혜의 금은보화] 결제·대출 넘어 생활 속 금융으로…농협은행, '임베디드 금융' 확장 속도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기원상의 정론직필] 사법 신뢰 회복, 원칙으로 돌아갈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