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총 4건
-
-
케이뱅크, 증권신고서 제출…최대 기업가치 5조 도전
[이코노믹데일리] 케이뱅크는 금융위원회에 유가증권시장(KOSPI) 상장을 위한 증권신고서를 제출하고 본격적인 공모 절차에 돌입했다고 13일 밝혔다. 케이뱅크는 금융권 최초의 100% 비대면 아파트담보대출을 출시한 것을 비롯해 신용대출, 전세대출, 개인사업자 대출 등 다양한 혁신적인 비대면 여신 상품을 취급하고 있다. 수신 상품은 예·적금을 비롯해 한도 제한 없는 파킹통장 '플러스박스', 자동 목돈 모으기 '챌린지박스' 등을 운영하고 있다. 또 제휴를 통해 상장주식부터 공모주, 가상자산, 금, 채권, 미술품 조각 투자까지 다양한 자산에 대한 투자 기회를 제공한다. 아울러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등 Tech를 활용한 신분증 인식 기술 고도화, 보이스피싱 예방 등 금융권 혁신을 주도하고 있다. 케이뱅크는 2021년 225억원, 2022년 836억원, 2023년 128억원의 당기순이익을 기록했고, 올해는 상반기까지 854억원의 당기순이익을 거두면서 상장 전임에도 성장성과 수익성을 모두 시현했다. 케이뱅크의 총 공모주식 수는 8200만주이며, 주당 공모 희망가 범위는 9500원에서 1만2000원이다. 최대 공모 금액은 9840억원이다. 케이뱅크는 미국, 일본 등의 인터넷은행을 비교 회사로 선정해 합리적인 공모가 산정에 주력했다. 한국의 카카오뱅크 뿐만 아니라 일본의 인터넷은행 SBI Sumishin Net Bank, 미국 인터넷은행(The Bancorp Bank)을 자회사로 보유한 Bancorp를 공모가 산정을 위한 비교 회사로 선정했다. 세 곳 모두 모바일로 영업하며 제휴사에 은행 서비스나 인프라를 제공하는 서비스형 뱅킹(BaaS)으로 고객과 영업 기반을 확대하고 있다. 공모를 통해 확보한 자금으로 혁신 금융과 상생 금융 실천에도 더 힘쓸 방침이다. 구체적으로 △소상공인(SME) 대출 확대 △Tech 리더십 강화 △혁신투자 플랫폼 등에 투자를 확대한다. 먼저 SME 대출 시장 진출을 위해 SME 대출 심사 모형 고도화와 SME 고객 관련 애플리케이션(앱) 개발 등에 나선다. Tech 리더십 강화를 위해 AI 기반의 서비스 혁신, 오픈 API 플랫폼 고도화, 앱 편의 개선, 개발 환경 선진화 등에 대한 투자도 진행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공모자금을 이용해 외환과 가상자산, 원자재, 명품, 미술품 조각 투자 등으로 투자처를 확대해 전통 투자 상품과 혁신적 대체 상품을 아우르는 투자 플랫폼으로 진화에도 나선다. 투자 서비스 및 컨텐츠 개발, AI 기반 개인화 투자 서비스, 투자 관련 제휴사 확대 등에 공모자금을 활용할 예정이다. 아울러 중·저신용대출 공급도 확대한다. 케이뱅크는 국내 및 해외 기관투자자 대상 수요예측을 다음 달 10~16일 실시해 공모가를 확정한 후 21~22일 이틀 동안 공모 청약을 진행할 예정이다. 상장 예정일은 같은 달 30일이다. 케이뱅크의 대표주관사는 NH투자증권과 KB증권, 뱅크오브아메리카(BofA)며, 인수단으로 신한투자증권과 키움증권이 합류한다. 케이뱅크 관계자는 "공모자금을 자본적정성 확보, SME 시장 진출 확대, Tech리더십 강화, 혁신투자플랫폼 구축 등에 투자해 혁신금융과 상생금융 실천에 더 힘쓸 계획"이라며 "철저한 준비로 올바른 기업가치를 인정받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2024-09-13 18:11:04
-
-
SK, 반도체·석유 한파 탓 사회적 가치 창출 성과 '주춤'
[이코노믹데일리] SK그룹이 지난해 창출한 사회적 가치가 1년 전보다 15% 감소한 16조8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주력 사업인 반도체와 석유 업황 악화로 실적이 줄어들면서 비재무적 지표인 사회적 가치에도 반영됐다. SK그룹은 22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사회적 가치 창출 성과를 발표했다. 사회적 가치는 매출, 영업이익 등 회계 장부로 표시된 경제적 가치 이외에 기업 활동이 사회 각 영역에 미친 효과를 화폐 단위로 나타낸 개념이다. SK그룹은 지난 2019년부터 국내 대기업집단 중에서는 처음으로 전년도 사회적 가치를 산출해 매년 발표하고 있다. 측정 분야별로 살펴보면 △경제 간접 기여 성과(고용, 배당, 납세) 16조6000억원 △환경 성과(친환경 제품·서비스, 생산 공정 중 환경 영향) -2조7000억원 △사회 성과(삶의 질을 개선하는 제품·서비스, 노동, 동반성장, 사회공헌) 2조9000억원 등이다. 금액이 음수(-)면 기업 활동으로 인해 만들어낸 가치보다 사회적 비용이 더 크다는 의미다. 경제 간접 기여 성과는 전년(2022년)과 비교해 약 17% 줄었다. 글로벌 경기 침체로 관계사가 낸 세금과 주주에게 지급한 배당이 줄어든 결과다. 각각 반도체와 석유 사업을 하는 SK하이닉스와 SK이노베이션 영업이익 감소 영향이 컸다. SK그룹은 "사업 본연의 성과를 강화해 지표가 개선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환경 성과는 전년(-2조8000억원)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SK그룹은 마이너스 성과가 늘지 않도록 관계사별로 수소, 신재생에너지 활용을 추진하고 이산화탄소 포집·저장 기술을 고도화하는 등 제품 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를 감축한다는 방침이다. 사회 성과는 '사회 관련 제품과 서비스' 부문에서 2018년(1700억원)의 9배로 늘어난 1조5000억원이 창출되며 성장세가 두드러졌다. SK텔레콤이 개발한 보이스피싱 예방 서비스(3575억원), SK바이오팜의 뇌전증 치료제 '엑스코프리'(3051억원)가 큰 비중을 차지했다. SK그룹은 세계적인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공시 의무화 추세에 맞춰 글로벌 기업에 통용할 수 있는 사회적 가치 측정 기준을 개발하고 있다. 글로벌 ESG 공시 표준 개발을 위한 기업 연합체(VBA)에 부회장사로 참여 중인 SK는 사회적 가치 측정 체계를 더욱 정교화한다는 계획이다.
2024-05-22 18:03: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