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09.12 금요일
맑음
서울 25˚C
흐림
부산 25˚C
흐림
대구 23˚C
맑음
인천 24˚C
흐림
광주 24˚C
흐림
대전 22˚C
비
울산 23˚C
흐림
강릉 24˚C
흐림
제주 26˚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뷰티테크'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2
건
LG생활건강, LG전자 '프라엘' 양수…"뷰티테크 혁신 속도"
[이코노믹데일리] LG생활건강이 LG전자의 프리미엄 뷰티 디바이스 브랜드 ‘LG 프라엘’ 브랜드를 양수하면서 뷰티테크 사업 고도화에 나선다. 디바이스 전용 화장품을 접목한 스킨케어 솔루션을 제공해 경쟁력을 강화하겠단 전략이다. 23일 뷰티업계에 따르면 LG생활건강은 새로운 홈뷰티 디바이스 ‘LG 프라엘 수퍼폼 갈바닉 부스터’를 선보였다. 수퍼폼 갈바닉 부스터는 길이 9.5cm, 무게 47g로 핸드백에 쏙 들어가는 콤팩트한 사이즈가 특징이다. 10만원대의 가격으로 뷰티 디바이스를 처음 사용하는 소비자도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했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LG생활건강은 수퍼폼 갈바닉 부스터에 전류를 활용해서 화장품의 유효 성분을 피부에 침투시키는 ‘갈바닉(galvanic)’ 기술을 도입했다. 미세 출력량인 250마이크로 암페어(μA)를 적용, 콜라겐 생성을 돕는 630나노미터(nm) 파장의 LED를 탑재했다. 수퍼폼 갈바닉 부스터와 함께 디바이스 전용 화장품 ‘글래스라이크’ 스킨케어 3종도 선보였다. 비타민C, 바쿠치올 등 핵심 성분을 음과 양 전하를 띈 이온으로 만들었다. LG생활건강은 향후 프라엘 제품 개발과 출시, 마케팅 활동에 속도를 낸다는 계획이다. LG전자와의 양수 계약에 따라 LG 프라엘의 상표권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채널 등 브랜드 운영에 필요한 제반 사항이 LG생활건강으로 이관됐다. LG생활건강 관계자는 “‘화장품-디바이스-인공지능(AI)’로 이어지는 뷰티 인텔리전스 스킨케어 생태계를 구축하고, 미래 성장 동력인 뷰티테크 사업을 본격 전개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며 “자사의 화장품 전문 연구·개발(R&D) 노하우를 뷰티 디바이스에 접목해서 진일보한 스킨케어 솔루션을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2025-06-23 14:40:26
허선호 미래에셋 부회장 "중국·인도서 新 기회 찾아야"
[이코노믹데일리] 허선호 미래에셋증권이 자산배분 전략 필요성을 강조하며 미국 중심에서 벗어나 중국과 인도를 중심으로 한 새로운 투자 기회를 찾아야 한다고 제시했다. 29일 허선호 미래에셋증권 대표이사 부회장은 서울 종로구 포시즌스호텔에서 열린 '2025 미래에셋 자산배분 포럼'에서 "지난해 말 트럼프 대통령의 복귀와 함께 고율 관세 시대가 열리게 돼, 세계 무역 질서가 재편되고 미국 중심의 투자환경에도 균열이 생기고 있다"고 진단했다. 허 부회장은 "미국 중심에서 벗어나 글로벌 혁신 축의 이동을 반영한 리밸런싱이 필요한 시점"이라며 "그에 대한 해답으로 우리는 새로운 기회를 중국과 인도에서 찾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중국은 자국 중심의 기술 자립을 가속화해 기술 진화를 이루고 있고, 인도는 인구 구조를 바탕으로 소비 시장을 형성하고 있다는 것이 그 이유다. 이어 '대전환기의 자산배분전략: 미국에서 중국, 인도로' 발표를 맡은 박희찬 미래에셋증권 리서치센터장은 "미국 빅테크에 쏠린 자산을 미국 외로 적극 분산해야 하는데 핵심 대안은 기술굴기가 진행 중인 중국"이라며 "강력한 내수 성장 엔진을 보유한 인도도 유망하다"고 설명했다. 또 유망한 섹터 테마로 방산·원전·뷰티테크를 제시했다. 다음으로 이필상 미래에셋자산운용 홍콩법인 전무는 '중국, 글로벌 1등 기업들의 성장' 강연에서 산업별 과점화 현상이 나타난 중국이 글로벌 투자처로서 주목할 시장이라고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정우창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인도로 장기 성장과 함께할 수 있는 미래형 투자처로 꼽았다. 정 연구원은 "인도 대표 지수인 니프티50은 글로벌 금융위기, 코로나19 등 여러 위기 상황에서도 빠르게 회복하며 구조적 성장과 회복 탄력성이 인도 시장의 가장 큰 강점"이라며 "또 인도는 세계 최대 디지털 소비국으로 부상하고 있고 미·중 패권 경쟁 장기화로 글로벌 공급망 반사적 수혜국으로 부각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2025-05-29 17:04:14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AI 자존심 굽힌 애플, '제미나이'로 시리 구한다…핵심 인재는 '이탈'
2
통신 3사 총체적 보안 붕괴… SKT 유심 유출 · KT 결제 해킹 · LGU+ 해킹 의혹
3
[2025 건설포럼] 건설 산업 규제 혁신과 글로벌 경쟁력 확보 해법…10일 국회서 논의
4
[기자수첩] K-제조업이 보낸 SOS…'선언적 구호'냐 '정책 실행'이냐
5
[K-뷰티, 새 지평 열다] ① K-이너뷰티, 세계를 먹고 바르고 연결하다
6
롯데건설 김해 현장서 또 사망사고…5년간 16명 숨졌다
7
[2025 건설포럼] 저성장 시대 직면한 건설업..."기술·제도 혁신이 해법"(종합)
8
KT, 소액결제 피해 확산에 '사이버 침해' 공식 신고…KISA·경찰 현장조사 착수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기자수첩] 인천공항 임대료 갈등, 면세산업 지속 가능성 시험대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