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총 4건
-
'빼빼로데이', 소비심리 회복 신호탄 되나
[이코노믹데일리] ‘빼빼로데이(11월 11일)’가 올해도 어김없이 유통가의 최대 특수로 작용했다. 경기 둔화 속에서도 기념일 소비심리가 되살아나며, 편의점과 제과업체의 매출이 큰 폭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롯데멤버스가 자체 리서치 플랫폼 ‘라임(Lime)’을 통해 올해 빼빼로데이와 관련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빼빼로데이를 챙기겠다’는 응답자는 전체의 45.1%로, 전년보다 17%포인트 이상 높아졌다. 응답 이유는 ‘기념일을 챙기는 습관’(36.4%), ‘관계 회복과 소통의 계기’(27.5%) 등이었다. 특히 20~30대(20대 54%, 30대 57.5%)의 참여율이 두드러져, MZ세대를 중심으로 기념일 문화가 다시 확산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단순히 과자를 주고받는 데 그치지 않고 꽃다발, 디저트, 상품권 등 복합 선물 문화로 확장된 점도 눈에 띈다. 선물을 다양하게 준비하겠다는 응답 비율은 30.4%로, 전년보다 증가했다. 전문가들은 “관계 회복과 ‘소확행(소소하지만 확실한 행복)’을 추구하는 트렌드가 빼빼로데이 문화와 결합한 결과”라고 분석했다. 12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빼빼로를 제조하는 롯데웰푸드는 올해 관련 제품 매출이 2415억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수출액이 약 900억원으로, 전년 대비 30%가량 늘며 ‘K-스낵’의 글로벌 입지를 확장했다. 롯데웰푸드는 미국, 동남아 등 20여 개국에서 현지형 빼빼로데이 캠페인을 전개 중이다. 편의점 업계의 성적도 고무적이다. 세븐일레븐은 지난 1일~11일 사이 빼빼로데이 관련 매출이 전년 대비 120% 급증, CU 역시 32.4% 증가했다. 캐릭터 협업 및 굿즈형 한정 패키지 상품이 매출을 견인했으며, SNS 인증 이벤트와 연계된 마케팅 효과도 컸다는 분석이다. 업계는 올해를 기점으로 빼빼로데이가 단순한 ‘과자 판매일’이 아닌 문화형 소비 이벤트로 정착했다고 평가한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소비자들은 단순히 제품을 사는 것이 아니라 ‘기념일을 즐기는 경험’을 구매한다”며 “앞으로도 캐릭터, 음악, K-콘텐츠와 결합한 협업 상품이 주류를 이룰 것”이라고 말했다.
2025-11-12 10:12:20
-
"놀면서 앱테크를?"…카카오뱅크 '돈 버는 재미' 시리즈 눈길
※ '금은보화'는 '금융'과 '은행', 드물고 귀한 가치가 있는 '보화'의 머리말을 합성한 것으로, 한 주간 주요 금융·은행권의 따끈따끈한 이슈, 혹은 이제 막 시장에 나온 신상품을 소개하는 코너입니다. 마음이 포근해지는 주말을 맞아 알뜰 생활 정보 챙겨 보세요! <편집자 주> [이코노믹데일리] 카카오뱅크가 생활 속에서 쉽게 즐길 수 있는 미션형 앱테크(애플리케이션+재테크) 기능을 모아 '돈 버는 재미'라는 통합 홈으로 개편했다. 여기에 다양한 분야의 제휴사 혜택까지 제공하며 인기를 끌고 있는 모습이다. 8일 금융권에 따르면 카카오뱅크의 '돈 버는 재미'는 카드 짝맞추기, 색깔 맞추기, 빨리 맞추기, 기억력 테스트 등 일상적인 게임 요소를 활용한 앱테크를 한데 모은 서비스로 고객이 미션을 통해 재밌게 리워드를 얻을 수 있도록 구성한 게 특징이다. 카카오뱅크는 '돈 버는 재미' 출시 이후 현대백화점, 정관장, 농심, 세븐일레븐 등 다양한 업종의 대표 브랜드와 손잡았다. 이용자는 해당 브랜드의 인기 상품을 합리적인 가격에 구매하거나, 일정 조건을 충족할 경우 교환권 등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오는 11일까지 진행하는 '돈 버는 재미 with 세븐일레븐'은 '색깔 맞추기'에 참여해 주어진 미션을 달성하면 세븐일레븐에서 사용 가능한 '빼빼로데이 선물 교환권'을 받을 수 있도록 구성됐다. 참여 방법은 '돈 버는 재미' 내 '색깔 맞추기'를 누적 7회 플레이하면 △테디베어 인형 △롯데 빼빼로(초코·아몬드·초코필드) △크라운 키커바 중 1종에 대한 랜덤 교환권이 50만명에게 선착순으로 제공된다. 카카오뱅크 앱의 '내 쿠폰' 페이지를 통해 쿠폰번호를 세븐일레븐 앱에 등록하면 전국 세븐일레븐 매장에서 해당 상품을 교환할 수 있다. '돈 버는 재미'는 출시 이후 빠른 속도로 이용자를 늘려 현재까지 누적 참여 고객 수 380만명을 돌파했다. 단순한 금융 앱을 넘어 소비·생활과 연결된 '참여형 플랫폼'으로 진화하고 있다는 평가다. 카카오뱅크는 향후 라이프스타일, 뷰티, 외식 등 다양한 분야로 제휴사를 확대해 고객이 일상 속에서 더 많은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카카오뱅크 관계자는 "단순한 금융 서비스를 넘어 고객이 즐겁게 참여할 수 있는 콘텐츠 중심 플랫폼으로 발전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제휴를 통해 실질적인 혜택과 재미를 모두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2025-11-08 07:10:0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