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총 13건
-
-
현대차 20대 직원수 늘고… SK하이닉스 20대 채용 줄였다
[이코노믹데일리] 국내 주요 대기업의 연령대별 인력 구성이 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대자동차, 포스코 등의 경우 최근 20대 직원은 늘었지만, 50대는 줄고 있는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반면 SK하이닉스, HD현대중공업, 대한항공 등은 20대보다 경험이 풍부한 50대 직원 비중이 늘어났다. 기업분석전문업체 한국CXO연구소는 17일 이 같은 내용의 ‘2021~2023년 주요 대기업 연령대별 인력 구성 변동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대상은 고용 규모가 1만명이 넘는 주요 16대 기업이다. 조사는 각 기업의 지속가능경영보고서에 명시된 연령대별 인력 현황 등을 참고했다. 20대 직원을 늘린 대표적인 기업은 현대차다. 지난해 글로벌 고용 규모는 12만3721명인데, 이 중 20대는 2만6979명(21.8%)으로 2021년 2만3689명(19.3%)보다 3000명 이상 늘었다. 반면 50대 인력은 2021년 29.6%에서 2023년 27.4%로 줄었다. 이번 조사에서 포스코, LG전자, 삼성SDS, 기아 역시 20대 인력 비중이 최근 꾸준히 상승한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포스코 구성 인력 연령은 전반적으로 젊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20대가 2021년에 16%(2921명) 수준에서 2023년 18%(3241명)로 높아졌고 지난해 처음으로 3040세대(41.5%)가 50대(40.4%) 직원을 앞질렀다. SK하이닉스는 정반대 흐름을 보였다. SK하이닉스의 50대 인력 비중은 2021년 4.7%(1815명)에서 2023년 7.3%(2921명)로 늘었다. 50대 직원 수만 놓고 보면 1800명대에서 3000명을 바라보는 수준으로 늘었다. 2022년까지 20대 신규 인력 2500~3000명을 채용해 오던 SK하이닉스는 지난해 채용 규모를 200명대로 줄인 바 있다. SK하이닉스와 같은 패턴을 보인 기업에는 HD현대중공업, 대한항공, 삼성디스플레이, LG유플러스 등이 있었다. 이 중 HD현대중공업의 최근 3년간 50대 장년층 인력 비중은 2021년 26.9%(3447명)에서 2023년 28.9%(3828명)로 매년 증가한 것으로 파악됐다. 같은 기간 대한항공 50대 인력도 2021년 25.7%(4993명)에서 28.5%(5541명)로 늘었다.
2024-10-17 15:39:11
-
-
뒤로 걷는 탄소발자국…역행하는 기업들
[이코노믹데일리] 기후위기부터 출산·양육, 준법 감시까지···. 정치권의 선거 구호가 아니다. 기업의 지속가능경영보고서에 담긴 내용들이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역할이 중요해진 시대에 환경·사회·지배구조(ESG) 보고서를 분석, 실천 여부를 점검해봤다. 편집자주 올여름 기록적인 폭염으로 현실화된 기후 위기를 경험하면서 정부와 국회도 바빠졌다. 정부는 지속가능성 공시 의무화를 앞두고 추진 시기 등에 대해 이행 당사자인 기업 의견을 수렴하고 있고 국회는 2026년부터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관련 정보를 사업보고서에 공개하는 것을 의무화하는 자본시장법 개정안을 발의했다. 기업은 이미 행동에 나섰다. 지난해 기준 한국거래소에 ESG 경영 정보를 자율 공시한 기업 수는 161개사로, 전년 131개사 대비 23% 증가했다. 매년 내놓는 지속가능경영보고서에도 기업들은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여가는 중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이코노믹데일리가 23일 주요 대기업의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분석해 보니 일부 기업들은 탄소 발자국을 줄이겠다는 약속과 달리 여전히 많은 양의 탄소를 배출하거나 계획을 바꾸고 있었다. ◆ 포스코, 탄소 배출 1위 기업의 '눈가리고 아웅'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에 의하면 지난해 주요 대기업 중 탄소 배출량 압도적 1위 기업은 철강 업체인 포스코다. 스코프1·2에 해당하는 온실가스 배출량은 지난해 총 8067만 이산화탄소상당량톤(tCO₂eq)이었다. 지난 2021년 국내 총 탄소 배출량 6억7660만tCO₂eq의 11.9%로 국내 최대 기업인 삼성전자(1329만tCO₂eq)보다 6배가량 더 큰 수치다. 참고로 온실가스 배출량 단위인 tCO₂eq는 지구 온난화 영향이 이산화탄소 1t에 상당하는 양을 말한다. 스코프1·2는 직·간접적으로 배출한 탄소로 포스코의 경우 제철소에서 나오면 스코프1, 제철소에 전력을 공급한 발전소에서 나오면 스코프2다. 업황 특성에 따라 포스코는 화석연료인 코크스를 사용하는 데다 전기로에 쓰이는 전력이 막대하다. 포스코는 2050년까지 단계적으로 탄소 배출량을 줄여갈 예정이라고 밝혔지만 배출량은 늘고 있다. 심지어 집계 대상인 사업장을 줄이고도 전체 배출량을 줄이는 데 실패한 점은 주목할만 하다. 포스코의 탄소 배출량 추이를 보면 7850만tCO₂eq이던 2021년에 비해 2022년엔 7018만tCO₂eq로 10.6% 줄였다. 탄소 감축에 성공한 듯 보이지만, 실상은 달랐다. 2022년 포스코그룹의 지배구조 개편 과정에서 몇몇 사업장이 분할됐고 같은 해 태풍 힌남노로 경북 포항시 냉천이 범람하며 포항 제철소가 마비된 영향이 컸다. 특히 지난해 보고서는 제3자에게 해외 사업장의 탄소 배출량 검증을 받지 않으면서 국내외 세부 사업장에 대한 정보가 빠졌다. 검증 강도가 약해진 만큼 탄소 배출 감축을 위한 진정성 있는 노력이 이뤄졌는지도 어려워 보인다. ◆ 삼성-SK, '반도체 전쟁' 승리 위해 포기한 환경 반도체 업계는 반도체 패권 경쟁에 집중하면서 탄소중립 달성도 요원해지고 있다. 최근 인공지능(AI) 발전으로 반도체 생산 물량이 늘고 전력 수요가 급증하면서 이들 기업들이 액화천연가스(LNG)처럼 화석연료 발전원을 늘리고 있어서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각각 360조원, 122조원을 들여 경기 용인시에 2030년까지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를 구축하기로 하면서 최소 10개의 초대형 반도체 공장이 들어설 예정이다. 여기서 소요되는 전력 사용량만 총 16기가와트(GW)로 예상하고 있다. 2022년 수도권 전체의 전력 사용량 최대치 39GW의 절반 수준이다. 2030년 수도권 전체 전력 사용량이 55GW로 늘어도 29%가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에서 소비된다. 이에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달 8일 용인 클러스터에 1GW급 LNG 발전소 건설을 허가해 2032년까지 1GW급 LNG 발전소 3곳이 들어선다. 향후 전남부터 서해안에 걸친 초고압 전력망 증설 여부에 따라 발전소가 추가될 수도 있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에게 LNG 발전소 설립은 사실상 탄소중립 달성 불가능을 선언한 셈이다. SK하이닉스가 탄소 배출량을 올해 619만tCO₂eq에서 2030년 755만tCO₂eq로 136만tCO₂eq(22.0%) 늘어날 거라 예상한 이유이기도 하다. 목표치로 측정된 값인 만큼 실제 배출량은 더 커질 수도 있다. 반면 대만의 대표적인 반도체 기업인 TSMC는 이와 다른 행보를 보였다. TSMC는 2020년 해상풍력 발전사로부터 약 1GW 규모 재생에너지 전력을 20년치 장기 구매한 후 올해 반도체 공장 7개를 증설하기로 했다. 공장 건설 전 재생에너지 발전원부터 확보해 둔 것이다. ◆LG엔 스코프3 '블랙홀'이 있다 스코프3 적용을 앞두고 LG그룹의 고민거리는 LG화학이다. 스코프1·2와 달리 스코프3는 기업이 직·간접적으로 개입할 수 있는 영역을 넘어 제품 생산 전반에서 발생하는 탄소 배출량을 말한다. 제품 생산을 위해 구매한 재화·서비스부터 임직원의 통근 과정에서 나온 탄소, 판매된 제품이 폐기되며 발생하는 탄소까지 포함된다. LG화학은 LG전자와 LG디스플레이에 고기능성 플라스틱,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소재 등 각종 원재료를 공급하고 있다. 이 때문에 LG전자와 LG디스플레이에선 스코프3를 계산할 때 LG화학의 탄소 배출량도 포함해야 한다. LG화학은 지난해 955만tCO₂eq의 탄소를 배출해 석유화학 업체 중 가장 많은 배출량을 보였다. 원유를 여러 소재로 분해하는 과정에서 탄소 배출량이 많을뿐더러 화석연료 발전소에서 에너지를 끌어왔기 때문이다. 이런 영향으로 LG전자의 경우 지난해 스코프1·2의 탄소 배출량은 87만tCO₂eq였지만, 스코프3는 7022만tCO₂eq에 달했다. 이중 제품의 사용 과정에서 나오는 탄소가 6120만tCO₂eq로 가장 많았고 납품받은 제품과 서비스가 280만tCO₂eq를 배출했다. LG디스플레이도 스코프3 배출량 91만tCO₂eq 중 제품과 서비스가 45만tCO₂eq로 절반 가량을 차지했다. ◆ "탄소중립 달성 못 하면 경쟁력에 치명적" 환경 전문가들은 기업이 탄소 배출량 감소에 소극적으로 대응하는 이유로 제품 경쟁력 감소를 우려하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비영리 환경단체 기후솔루션의 임장혁 연구원은 "글로벌 빅테크들이 대부분 2030~2040년을 탄소 중립 목표로 잡고 있다"며 "우리 기업이 미리 재생에너지를 준비해 두지 않으면 마이크로소프트나 구글, 아마존 같은 기업의 탄소중립 요구에 제대로 대응할 수 있을지 의문"이라고 설명했다. 일례로 애플은 2020년 "향후 10년 이내에 제품 공급망 전반에서 탄소중립을 달성하겠다"며 2021년엔 관련 기업들의 스코프3 배출량 공시 의무화를 촉구한다는 성명을 발표한 바 있다. 애플에 디스플레이 패널을 공급하는 삼성디스플레이, LG디스플레이 등 국내 기업이 스코프3 기준에 맞춰 공급망과 생산 공정을 관리해야 한다는 뜻이다. 국내 공급망을 관리는 측면에서 정부가 중소기업을 지원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서보원 녹색CEO(최고경영자) 아카데미 교수는 "중소기업은 이자도 내기 어려운 기업이 많아 ESG는 신경도 쓰지 못한다"며 "대기업의 1차 납품업체 몇 곳을 제외하면 탄소 배출량에 신경을 쓰지 못해 정부와 기업이 힘을 모아 관리 체계를 구축하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다만 전자업계 관계자는 "탄소 배출량 감축의 중요성은 다들 인지하고 있지만 현실적인 어려움이 있다"며 "스코프 3의 경우 배출량 기준이 광범위해 현장에선 대비하고 싶어도 탄소 측정 범위를 잡는데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고 답했다.
2024-09-24 07:00:00
-
-
삼성, 하반기 신입사원 공채 실시…전자·SDI 등 19개사
[이코노믹데일리] 삼성이 오는 4일부터 하반기 신입사원 공개채용에 나선다고 3일 밝혔다. 삼성전자, 삼성디스플레이, 삼성전기, 삼성SDI, 삼성SDS, 삼성바이오로직스, 삼성바이오에피스, 삼성물산, 삼성중공업, 삼성E&A, 삼성생명, 삼성화재, 삼성카드, 삼성증권, 삼성서울병원, 호텔신라, 제일기획, 에스원, 삼성웰스토리 등 삼성 관계사 19곳이 하반기 공채를 실시한다. 입사를 희망하는 지원자들은 11일까지 삼성 채용 홈페이지 삼성커리어스를 통해 입사를 희망하는 회사에 지원서를 접수할 수 있다. 하반기 공채는 지원서 접수 이후 온라인 삼성직무적성검사(10월), 면접(11월), 채용 건강 검진 순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소프트웨어 개발 직군의 경우 주어진 문제를 직접 코딩해 해결하는 실기 방식의 소프트웨어 역량 테스트를 실시하고 디자인 직군은 디자인 포트폴리오 심사를 거쳐 선발한다. 한편 삼성은 우수 인재를 확보하고 청년들에게 공정한 취업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국내 주요 대기업 중 유일하게 신입 공채 제도를 유지하고 있다. 1957년 국내 기업 최초로 공채 제도를 도입한 이래 지난 70여 년간 '인재제일(人材第一)' 경영철학에 따라 능력 중심의 인사를 구현하기 위해 인사제도 혁신을 지속적으로 추진해왔다. 1993년 국내 최초로 대졸 여성 신입사원 공채 제도를 신설한 데 이어 1995년에는 입사 자격요건에서 학력을 제외하는 등 관행적 차별을 철폐하며 국내 채용 제도의 파격적 혁신을 이끌어 왔다. 삼성은 우수한 인재를 공정하게 선발하고 직원들의 잠재력을 최대한으로 끌어올리기 위해 채용 및 인사제도 혁신을 지속할 방침이다.
2024-09-03 17:26:24
-
접고 구부리고 돌돌 말고…삼성·LGD, OLED 신기술 대공개
[이코노믹데일리]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가 다양한 폼팩터(형태)의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혁신 기술을 대거 공개했다. 14일부터 사흘간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리는 'K-디스플레이 2024'에서다. 삼성은 인공지능(AI)에 최적화된 OLED를, LG는 투명·차량용 OLED를 통해 중국을 제치고 시장 선두로 올라서겠다는 자신감을 내비쳤다. 삼성디스플레이 부스에서는 로봇 퍼포먼스(Extreme Robo-Challenge)가 단연 눈길을 끌었다. 이 로봇은 삼성디스플레이 패널이 탑재된 폴더블폰을 물에 빠뜨리거나 화면을 수세미로 긁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디스플레이의 내구성을 자랑했다. 부스 한쪽에는 삼성전자 정보기술(IT) 제품들도 전시됐다. 관람객들은 2분할된 화면에서 드로잉과 AI 이미지를 생성하고 3분할된 화면에서 사진 촬영, SNS 편집 등 폴더블·슬라이더블 OLED에서 AI가 일상화되는 미래를 경험할 수 있다. AI 시대를 앞당길 폴더블 디스플레이도 눈에 띈다. 360도로 접을 수 있는 플립형 폴더블 '플렉스 인앤아웃'을 비롯해 안팎으로 두 번 접히는 '플렉스S', 폴더블과 슬라이더블 두 가지 기술을 결합한 '플렉스 하이브리드' 등 다양한 멀티 폴더블 OLED 기술이 관람객을 맞이한다. 미래 연구소 콘셉트의 '라운드 랩'도 관람객 이목을 집중시켰다. 삼성디스플레이가 세계 최초로 개발한 원형 OLED를 적용한 여러 콘셉트 제품들을 소개하며 AI 기술로 연결된 전자 기기들이 언제, 어디서든 정보를 주고 받는 미래 생활상을 엿볼 수 있도록 했다. 이 가운데 1.5형 원형 OLED가 적용된 스마트 키, 스마트 헤드폰과 6.2형 플렉시블 OLED가 적용된 스마트 워치 밴드, 7.6형 플렉시블 OLED가 적용된 스마트 스피커 등은 국내에서 처음으로 대중에 공개됐다. 삼성디스플레이 관계자는 "아직 상용화되진 않았지만 고객사들에게 기술력을 보여주기 위한 목적으로 내놨다"고 설명했다. LG디스플레이 부스에서는 명품관 콘셉트의 투명 OLED 전시관이 인기를 끌었다. 투명도 45%, 77인치의 4K 투명 OLED가 비치됐다. LG디스플레이의 투명 OLED는 화소 스스로 빛을 내는 OLED의 장점을 극대화한 기술이다. 기존 유리창을 대신할 만큼 투명도가 높고 얇은 게 특징이다. 자율주행 콘셉트카가 설치된 차량용 OLED 전시존도 주목 받았다. 콘셉트카에는 '초대형 필러투필러 저온다결정실리콘(LTPS) 액정표시장치(LCD)'와 '차량용 18인치 슬라이더블 OLED' 등 소프트웨어 중심 차량(SDV)에 최적화된 기술이 탑재됐다. 대시보드를 가득 채우는 LCD 화면은 'SPM(Switchable Privacy Mode)' 기술을 적용해 필요에 따라 조수석 앞 화면이 운전석에서는 보이지 않도록 했다. 슬라이더블 OLED는 평소 말린 상태로 뒷좌석 천장에 숨겨져 있다가 사용자가 원할 때면 아래로 펼쳐져 차량 안에서도 큰 화면으로 영화 감상, 뉴스 시청, 화상회의 등을 할 수 있다. LG디스플레이 관계자는 "LCD는 TV 같은 대형 사업은 축소하고 있지만 여전히 주력 사업"이라며 "특히 OLED 화면은 LCD보다 좀 더 어둡고 SPM 기술을 구현할 수 없어 차량용으로는 LCD가 OLED보다 안전할 수 있다"고 말했다.
2024-08-14 16:54:09
-
-
-
크래프톤, 게임스컴 2024 전야제에서 신작 공개
[이코노믹데일리] 크래프톤은 독일 쾰른에서 개최되는 세계 최대 게임쇼 ‘게임스컴 2024’에서 신작 ‘다크앤다커 모바일(DARK AND DARKER MOBILE)’과 ‘inZOI(이하 인조이)’를 선보인다고 30일 밝혔다. 이번 행사는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과 함께 전 세계 이용자들에게 새로운 소식을 전할 예정이다. 특히, 8월 20일 게임스컴 2024의 전야제인 ‘오프닝 나이트 라이브(Opening Night Live)’에서 두 게임의 신규 트레일러 영상과 최신 정보를 공개할 계획이다. 인조이는 부스에서 글로벌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첫 시연을 진행한다. 참가자들은 직접 꾸민 아바타 이미지를 '사원증' 형태의 굿즈로 받을 수 있으며, 이를 SNS에 해시태그와 함께 업로드하고 인조이 공식 디스코드 채널에 가입하면 추가 굿즈를 받을 수 있다. 매일 다양한 경품이 걸린 퀴즈쇼도 진행될 예정이다. 또한, 인조이는 삼성디스플레이와 협업해 △원형 디스플레이(Round OLED) △두 번 접는 디스플레이(Flex S, Flex G) △화면이 넓어지는 디스플레이(Flex Slidable, Rollable Flex) 등 총 13종의 차세대 혁신 제품을 게임 내에서 선보인다. 이러한 제품들은 게임스컴 부스에서도 전시된다. 다크앤다커 모바일은 던전과 같은 몰입감을 주는 부스를 구성해 글로벌 이용자들에게 첫 오프라인 게임 시연을 제공한다. 시연 참가자는 설문조사를 완료하거나 매일 열리는 퀴즈쇼에 참가해 ‘위자드’ 모자와 다크앤다커 모바일 스티커 등의 굿즈를 받을 수 있다. 포토존에서는 다양한 클래스의 코스프레 이벤트도 매일 개최된다. 다크앤다커 모바일은 8월 1일부터 11일까지 한국, 미국, 일본, 튀르키예 등 주요 국가에서 글로벌 테스트를 진행하며, 올해 안에 글로벌 시장에 출시할 예정이다. 배틀그라운드 부스를 방문한 관람객들은 사격 체험 이벤트에 참여해 굿즈를 받을 수 있으며, 스팀(Steam)에서 플레이한 시간을 인증하면 추가 인게임 보상을 받을 수 있다. 배틀그라운드 코스프레 이벤트도 부스에서 매일 열린다. 8월 24일에는 배틀그라운드 팬들을 위한 행사인 ‘펍지 핫드랍 쾰른 2024(PUBG: HOT DROP Cologne 2024)’가 진행되며, 팬들은 펍지 파트너 등 특별 게스트를 만날 수 있다. 한편 크래프톤은 쾰른메쎄 전시장의 BTC관(Hall 7.1 B-21/C-20 & B-31/C-30)과 BTB 관에 부스를 설치해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을 제공할 예정이다.
2024-07-30 14:42:47
-
삼성, 한-베 수교보다 오랜 인연··· 투자는 계속된다
[이코노믹데일리] 삼성과 베트남의 인연은 한국-베트남 수교보다 앞선 1989년 시작됐다. 삼성물산이 하노이에 사무소를 설치하면서 무역 프로젝트 발굴에 나섰고 1995년 삼성전자가 남부 호치밍시 투득지역에 TV 생산 공장과 판매 법인을 설립했다. 베트남 투자가 본격화된 건 2005년 하노이에서 열린 회담부터다. 당시 이건희 회장과 판 반 카이 수상은 긴밀한 동반자 관계를 구축하기로 했다. 회담의 첫 성과는 3년 뒤 베트남 북부 지역에 세워진 박닝성 휴대전화 생산 공장이다. 삼성전자가 박닝성 엔퐁 공단 투자의향서를 보내자 베트남 정부는 7개 부처와 함께 삼성 전담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공장이 최단 기간 건설되도록 도왔다. 이후 박닝성, 타이응우엔성, 호치민, 하노이 등에 삼성전자, 삼성SDI, 삼성전기, 삼성디스플레이, 삼성SDS 등 전자 계열사의 6개 생산법인, 1개 판매법인 , 1개 연구개발(R&D) 센터가 설치됐다. 현재 베트남은 삼성그룹 전자계열사의 생산 기지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중저가 휴대전화부터 풀더블폰 등 하이엔드 휴대전화를 생산하고 있다. 냉장고, 텔레비전 등 가전제품과 통신장비, 디스플레이, 배터리, 카메라 모듈 등 주요 부품 생산 공장도 운영 중이다. 삼성도 베트남 경제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2022년말 기준 삼성그룹 전자계열사의 베트남 총 투자액은 200억 달러(약 27조7880억원)를 넘었고 직원도 10만명 이상이나 된다. 2011년부터는 매년 두 번씩 신입사원을 선발해 간부급으로 성장시키며 삼성이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했다'는 평을 듣기도 했다. 삼성의 베트남 투자는 지금도 계속되고 있다. 하노이의 THT 신도시 지구에 세운 연면적 7만 9511㎡의 삼성베트남 R&D센터는 베트남에서 글로벌 기업이 R&D를 위해 대규모 사옥을 지은 첫 사례다. 삼성은 베트남 미래 세대를 위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도 잊지 않았다. '삼성 솔브 포 투모로우'는 학생들의 창의적인 문제 해결 능력을 키우는 프로그램이다. 베트남에서는 2019년부터 시작해 약 14만9130명의 학생과 교사가 참가했다. 이밖에 고등학생, 대학생에게 정보기술, 소프트웨어 교육을 제공하는 삼성 인노베이션 캠버스(SIC)를 진행하고 베트남 직업훈련총국과 협조해 세계기능올림픽 참가 선수에게 특별 훈련도 진행하고 있다. 삼성사업장이나 협력사가 세워진 지역엔 삼성희망학교도 생겼다. 이 학교는 2013년부터 저소득층 가구 자녀들의 방과 후 교육을 지원하기 위해 시작됐다.
2024-07-01 07:00:0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