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08.25 월요일
흐림
서울 29˚C
구름
부산 27˚C
구름
대구 30˚C
흐림
인천 28˚C
맑음
광주 26˚C
맑음
대전 27˚C
맑음
울산 27˚C
맑음
강릉 27˚C
맑음
제주 29˚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삼성 파운드리'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2
건
"파운드리 의구심 날렸다"...삼성전자, 테슬라와 23조원 수주 체결
[이코노믹데일리] 삼성전자가 테슬라의 자율주행 차량과 휴머노이드 로봇에 들어가는 차세대 인공지능(AI) 칩을 생산하는 계약을 맺었다. 이에 업계에서는 삼성전자가 파운드리(반도체 위탁 생산) 사업 정상화 궤도에 오를 것으로 보고 있다. 29일 반도체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테슬라와 22조7648억원 규모의 반도체 수탁생산 공급 계약을 맺었다. 계약 기간은 이번달부터 오는 2033년 12월까지다. AI6은 테슬라의 6세대 자율주행용 칩셋으로 오는2027~2028년쯤부터 출시된다. 일각에서는 삼성전자가 이번 계약을 통해 일각에서 제기하는 파운드리 기술력에 대한 의구심을 해소한 것으로 풀이하고 있다. 반도체업계 관계자는 "삼성 파운드리 기술력이 빅테크 물량을 다시 수주할 만큼 올라왔다"고 말했다. 그동안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은 파운드리(반도체 위탁 생산)을 미래 먹거리로 낙점하고 드라이브를 걸었지만최근 2~3년 대형 고객사 확보에 어려움을 겪어 왔다. 하지만 삼성전자가 28일 테슬라에서 따낸 22조7648억원 규모 인공지능(AI)칩 생산 계약은 이를 뒤집을 계기가 될 전망이다. 2나노미터(㎚) 등 최첨단 공정 기술력에 대한 우려를 잠재우고 대형 고객을 추가 확보할 계기가 돼서다. 이번 계약은 삼성 반도체(DS) 부문이 단일 고객으로부터 수주한 역대 최대 규모다. 삼성전자와 테슬라는 테일러의 2㎚ 파운드리 공정을 활용해 AI6를 생산할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는 "실제 생산 규모는 이보다 몇 배 더 커질 가능성이 높다"고 언급했는데 수주 규모가 더 커질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번 수주를 통해 삼성전자 파운드리 사업도 정상화 궤도에 오를 것으로 예상된다. 앞서 삼성전자 반도체 사업을 담당하는 디바이스솔루션(DS)부문은 시스템LSI, 파운드리 사업 적자 등의 여파로 올 2분기 1조원 미만의 영업이익을 냈다. 업계 관계자는 "이번 수주로 인해 전체 반도체 부문 수익성도 크게 개선될 것"이라고 말했다.
2025-07-29 11:12:54
TSMC 독주 속 삼성 파운드리 위기…"자사 제품도 못 만들어"
[이코노믹데일리] 삼성전자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의 지난해 4분기 매출 점유율이 8.1%까지 하락했다. 대만 TSMC와 점유율 격차는 지난해 3분기 55.6%p에서 59%p까지 확대됐다. 파운드리 시장이 꾸준히 커져온 상황에서 삼성전자의 시장 점유율은 오히려 떨어진 것과 관련해 삼성전자가 신규 고객 확보는커녕 자사 제품도 제조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라는 지적이다. 11일 대만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상위 10개 파운드리 업체의 매출은 전분기보다 10%가량 성장해 384억8000만 달러(약 56조1400억원)에 달했다. 특히 첨단 공정은 인공지능(AI) 서버, 프리미엄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프로세서(AP), 새로운 PC 플랫폼 등의 강력한 수요로 성장했다. 이러한 가운데 삼성전자 파운드리는 2위를 유지했지만 매출과 점유율은 모두 하락했다. 삼성전자의 지난해 4분기 매출은 전분기보다 1.4% 감소한 32억6000만 달러(약 4조7500억원) 수준이었으며, 점유율은 1%p 감소한 8.1%에 머물렀다. 반면 TSMC는 지난해 4분기 매출이 268억5000만 달러(약 39조1700억원)으로 증가했다. 시장 점유율은 직전 분기보다 2.4%p 증가한 67.1%를 기록했다. 트렌드포스는 “인공지능(AI) 서버, 플래그십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새로운 PC 플랫폼의 강력한 수요에 힘입어 TSMC의 웨이퍼 출하량이 증가했다”며 “삼성전자는 신규 첨단 반도체 고객사들의 매출이 기존 주요 고객사의 주문 손실을 완전히 만회하지 못해 매출이 줄었다”고 분석했다. 삼성전자의 파운드리 시장 점유율은 2019년 18.8%를 찍은 이후 꾸준히 하락하고 있다. 특히 2022년 15.8%였던 점유율은 2023년 9.1%로 떨어졌다. 삼성전자가 극심한 수율 부진을 겪으며 기존에 있던 고객들을 잃으면서다. 당시 퀄컴, 엔비디아, 테슬라 등 주요 팹리스 기업들이 TSMC로 이동하면서 삼성전자의 파운드리 점유율은 급락했다. 실제 2019년 파운드리 시장 점유율 50.5%를 차지했던 TSMC는 2022년 58.5%까지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더니 2023년 64.7%로 급등했다. 이는 전년 대비 6.2%p 늘어난 수치로 삼성전자가 잃은 6.7%p 점유율은 가져간 것으로 풀이된다. 향후 TSMC와 삼성전자의 격차는 더 벌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삼성전자가 자사의 수율 문제로 자사의 제품을 제작하지 못할 상황에 처했기 때문이다. 차세대 엑시노스 2500 프로세서 생산을 TSMC의 3나노 공정에 위탁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 관계자는 “삼성전자의 파운드리 사업은 계속 적자를 기록하고 있다”며 “자사 스마트폰에 들어가는 제품도 TSMC에 맡기고 있는 상황에서 미래가 있다고 볼 수 없다”고 말했다.
2025-03-12 16:28:05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AI가 키운 전력 수요…해법은 '에너지 고속도로'
2
대통령 지시에도… 포스코이앤씨 '면허취소'는 법적 근거 없다
3
AI '데이터 고속도로' 4배 넓힌다...국가 백본망 2030년까지 4배 증설
4
아이폰17, 플러스 대신 5.5mm 초슬림 '에어' 나온다
5
국민성장펀드 100조, 산업 대전환 시험대 올라
6
넥슨 '아이콘매치', '리버풀의 심장' 제라드 합류… 선예매 10분 만에 매진
7
식음료업계에 부는 '저저익선' 트렌드…MZ세대 '충성고객' 됐다
8
美, 삼성전자 지분 취득 검토…"보조금 대신 지분" 논의 본격화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기자수첩] 위고비, 치료제지 미용이 아니다...의료계 주객전도 되지 말아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