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11.17 월요일
맑음
서울 -0˚C
맑음
부산 6˚C
맑음
대구 4˚C
흐림
인천 2˚C
흐림
광주 5˚C
맑음
대전 2˚C
흐림
울산 4˚C
흐림
강릉 1˚C
흐림
제주 10˚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서비스 안정성'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2
건
배경훈 부총리, 네이버·카카오 CEO 소집…"정보보호, CEO가 직접 챙겨라"
[이코노믹데일리] 잇따른 대규모 해킹 사태의 후폭풍이 통신·금융권을 넘어 플랫폼 업계로 향하고 있다. 배경훈 신임 부총리 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네이버, 카카오, 쿠팡, 우아한형제들 등 국내 대표 플랫폼 4사 최고경영자(CEO)들을 긴급 소집했다. 배 부총리는 2일 오전 최수연 네이버 대표, 정신아 카카오 대표, 박대준 쿠팡 대표, 고명석 우아한형제들 플랫폼부문장 등 플랫폼 4사의 CEO 및 CISO들과 연석회의를 열고 보안 실태를 점검했다. 이 자리에서 배 부총리는 최근 KT와 롯데카드 등에서 연이어 발생한 보안 침해사고에 대한 정부의 엄중한 인식을 분명히 했다. 그는 “최근의 사이버 침해사고는 단순한 장애 수준을 넘어 국민의 경제적 피해와 국가 신뢰 저하로 직결되는 매우 엄중한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이는 최근 발생한 사고들이 단순 기술적 결함을 넘어 기업의 안일한 보안 의식과 부실한 관리 체계에서 비롯됐다는 비판적 시각을 반영한 것이다. 정부가 플랫폼 기업 CEO들을 직접 불러 모은 것은 이들에게 ‘보안 참사’의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는 경고 메시지를 보낸 것으로 풀이된다. ◆ “경영진이 직접 점검하고 투자 강화하라” 배 부총리는 이어 각 기업이 제공하는 대국민 서비스가 중단되지 않도록 서비스 안정성 확보에 매진해 줄 것을 당부하며 구체적인 실행을 주문했다. 그는 “오늘 논의가 단순한 당부 차원을 넘어 기업 경영진이 직접 정보보안 현안을 점검하고 투자를 강화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는 지난 9월 23일 통신사 CISO들을 대상으로 열렸던 긴급 보안점검 회의에서 한발 더 나아간 조치다. 당시 정부는 CISO를 넘어 CEO가 직접 책임지는 사안으로 보안을 관리해야 한다고 강조한 바 있다. 이번 CEO 연석회의는 그 후속 조치이자 정부의 정책 의지를 재확인하는 자리인 셈이다. 한편 정부는 잇따른 보안 사고의 근본 원인을 ‘기술’이 아닌 ‘경영’의 문제로 규정하고 CEO의 책임과 역할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정책의 무게중심을 옮기고 있다. 이번 회의를 계기로 플랫폼 업계의 보안 투자와 관리 체계에 실질적인 변화가 일어날지 주목된다.
2025-10-02 15:31:51
네이버, '2024 통합보고서' 발간… '사람을 위한 기술' ESG 전략 전면에
[이코노믹데일리] 네이버가 ESG 경영 노력과 구체적인 성과를 집약한 ‘2024 통합보고서’를 발간했다. 이번 보고서는 네이버의 기술과 비즈니스가 사회와 상생하며 지속가능한 성장을 모색하는 방향성을 뚜렷하게 제시했다. 보고서에는 네이버의 핵심 서비스가 창출하는 ESG 가치 사례가 상세히 담겼다. SME의 자금 회전을 돕는 빠른정산과 사업 확장을 지원하는 커머스 솔루션 마켓이 대표적이다. 또한 안심보장 프로그램을 통해 신뢰도 높은 거래 환경을 조성하고 클로바 케어콜로 독거노인을 돌보는 등 비즈니스를 통한 상생 경영 실천 사례를 비중 있게 다뤘다. 특히 올해는 기존 ESG 프레임워크에 ‘사람을 위한 기술(Technology for People)’ 분야를 신설해 눈길을 끈다. 이는 기술 플랫폼 기업으로서 네이버의 정체성을 반영한 전략이다. AI 기술의 안전한 활용, 디지털 포용성 확대, 이용자 보호 등 기술 기반의 구체적인 ESG 목표와 계획을 제시했다. 서비스 안정성 파트도 처음으로 추가해 재난 상황에서도 흔들림 없는 서비스를 제공하려는 전사적 의지를 강조했다. 미래 세대와 SME를 위한 1조 원 규모의 ‘임팩트 펀드’ 계획안도 공개됐다. 네이버는 2025년부터 6년간 테크, 비즈니스, 커뮤니티 세 분야에 걸쳐 자금을 투자한다. 이를 통해 전 국민 AI 활용 교육, 판매자 성장 지원 프로그램 등 다양한 프로젝트를 추진하며 기술 역량 강화를 이끌 전망이다. 환경 및 지배구조 개선 성과도 뚜렷했다. 지난해 재생에너지 사용 등으로 온실가스 3만 925tCO2eq를 절감했다. 투명한 지배구조 체계와 윤리 경영 노력을 인정받아 공정거래 자율준수 프로그램(CP)에서 AA 등급을 획득하는 결실도 보았다. 네이버는 글로벌 표준에 맞춰 주요 이슈를 관리하고 이해관계자와의 소통을 강화하며 지속가능성을 위한 노력을 이어갈 방침이다.
2025-06-20 09:57:29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단독] 현대홀딩스, 현대네트워크 흡수합병…현정은 체제 지배 구조 단일화
2
LGU+·SKT·한화, UAM 사업 전면 재검토..."상용화 지연 탓"
3
신영증권, 시스템 장애...투자자 피해 속출
4
증시 활황에 빅5 증권사 역대급 실적…내부통제 리스크엔 '경고등'
5
테슬라코리아, 완전자율주행 'FSD' 국내 출시 예고
6
[지다혜의 금은보화] 결제·대출 넘어 생활 속 금융으로…농협은행, '임베디드 금융' 확장 속도
7
부산 진해신항 DL이앤씨 공사 현장서 작업자 사망 호스 파열 충격에 해상 추락
8
'역대 최대 규모' 지스타 2025, 13일 개막…엔씨·넷마블·크래프톤 신작 대전 '초읽기'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금융경제 레드플래그] 포용금융 역설...고신용자가 외면받는 금융시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