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총 3건
-
트럼프 귀환…조선株 웃고 이차전지株 울고
[이코노믹데일리]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 대통령으로 취임하며 두 번째 임기를 시작했다. 취임 첫날 국내 증시에서는 수혜주로 꼽히는 조선주가 선방하고 강세를 피해를 입을 것으로 예상되는 이차전지주가 약세를 보이며 대비됐다. 2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유가증권시장에서 코스피 지수는 전일 대비 2.02p(0.08%) 떨어진 2518.03에 거래를 마쳤다. 이날 우리시간으로 새벽 2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워싱턴 연방의사당에서 취임 선서를 하며 제47대 대통령으로서 공식 임기를 시작했다. 코스피 지수에 2533.23에 출발해 장 초반 2548.15까지 상승했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이 멕시코와 캐나다에 25% 관세를 부과한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내림세로 전환됐다. 코스닥은 1.59p(0.22%) 내린 726.07에 거래를 마쳤다. 조선 업종은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하자마자 줄줄이 강세를 보였다. 유가증권시장에서 △HD현대중공업 32만7000원 △HD한국조선해양 25만1500원 △HD현대미포 141800원 △한화오션 5만5000원 △삼성중공업 1만3860원으로 52주 신고가를 기록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해 대선 승리 이후 윤석열 대통령과 이뤄진 통화에서 한국과의 조선업 협력을 강조해 왔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통 에너지와 화석연료 산업을 강조해오면서 액화천연가스(LNG) 수출이 확대될 것으로 관측되기 때문이다. 또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식에서 신규 관세 부과 조치를 언급하지 않으면서 반도체 종목도 강세를 보였다. 유가증권시장에서 한미반도체가 5.09% 상승한 11만3600원에, SK하이닉스는 전장보다 2.85% 증가한 21만8000원에, 삼성전자는 0.19% 오른 5만3500원에 장을 마무리했다. 반면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 당일 바이든 행정부에서 추진한 전기차 의무화 정책을 폐기하겠다고 공언하면서 이차전지주는 급락했다. 유가증권시장에서 포스코홀딩스가 4.8%, LG에너지솔루션이 4.32%, 삼성SDI 3.9%, 코스닥에서 에코프로비엠이 8.62%, 에코프로 5.87% 하락하며 장을 마무리했다. 시장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의 행정명령과 관세 정책이 앞서 우려했던 만큼 공격적이지 않았다고 평가했다. 황신해 LS증권 연구원은 "트럼프가 이번 취임식에서 반친환경·에너지, 반이민, 국방 정책 스탠스를 정확하게 세웠지만 무역규제나 관세 발언은 하지 않았다"며 "조선과 기계 분양에 대한 기대감이 유지될 수 있고 자동차, 철강, 정보기술(IT) 하드웨어의 회복을 노려볼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박상현 iM증권 연구원은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유화적인 공약 추진 가능성을 시사하면서 '허니문 효과'에 대한 기대감이 강화되는 분위기"라며 "국내 주식시장 역시 미국 증시 반등에 맞춰 추가 상승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관측했다. 한편 이날 원/달러 환율은 주간거래 종가(오후 3시 30분) 기준 전날보다 12.2원 내려간 1439.5원을 기록했다. 주간거래 기준으로 작년 12월 18일(1435.5원) 이후 최저치다.
2025-01-21 17:37:27
-
트럼프, 제47대 美 대통령 취임… '미국 우선주의' 2기 시대 개막
[이코노믹데일리]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20일(현지시간) 제47대 미국 대통령으로 공식 취임하며 4년 만에 백악관으로 복귀, '미국 우선주의'를 내세운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서막을 알렸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정오 워싱턴DC 연방 의사당 중앙홀에서 열린 취임식에서 취임 선서를 하고 "변화의 물결이 나라를 휩쓸고 있다"며 '미국 성공의 새 시대'를 선포했다. 또한 '상식의 혁명'을 촉구하며 불법 이민자 대규모 추방, 고율 관세 부과, 연방 정부 구조조정 등을 천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전날 워싱턴 D.C. '캐피털 원 아레나'에서 열린 대선 승리 축하 집회에서 "우리나라가 직면한 모든 위기를 해결하기 위해 역사적인 속도와 힘으로 행동하겠다"고 선언한 바 있다. 또한 "미국의 쇠락은 막을 내릴 것이며 우리는 미국의 힘과 번영, 품위와 긍지를 영원히 다시 가져오는 새로운 날을 시작할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직후 약 100개의 행정명령에 서명하며 바이든 행정부 정책 뒤집기에 나설 것으로 예상된다. 불법 이민 문제와 관련하여 '국경 폐쇄'를 공언했던 트럼프 대통령은 국경에서의 국가 비상사태 선포, 특정 범죄 조직 테러 단체 지정, 국경 장벽 건설 재개, 국경 지대 미군 배치 등을 포함한 10여 개의 이민 관련 행정명령에 서명할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사상 최대 불법 이민자 추방 작전'을 시카고부터 시작하고 출생시민권 제도 폐지를 위한 행정명령도 예고했다. 더불어 트럼프 대통령은 에너지 정책에도 변화를 예고했다. 석유 시추 등 에너지 개발 허용 정책을 즉시 시행할 것으로 예상된다. 무역 정책과 관련해서는 연방 정부 기관에 미국의 통상 정책과 무역 적자 문제에 대한 평가를 지시할 예정이며 이를 통해 해외 제조업의 미국 내 유치를 적극 추진할 방침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전 "우리는 여러분의 세금과 인플레이션 물가를 낮추고 임금은 올리며 수천 개의 공장을 공장들이 있어야 할 미국으로 다시 가져올 것"이라며 "우리는 관세와 똑똑한 정책을 통해 이를 달성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우리는 미국산을 짓고, 미국산을 사고 미국인을 고용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러한 발언은 트럼프 2기 행정부가 강력한 보호무역주의를 추구할 것임을 시사한다. 트럼프 대통령의 '미국 우선주의' 행보는 국제 안보 및 무역 질서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관세를 앞세운 보호무역주의는 국제 통상 전쟁으로 번져 세계 경제 성장에 악영향을 줄 가능성이 크다. 대외적으로는 파나마 운하 반환, 덴마크 자치령 그린란드와 캐나다의 미국 편입 방침 등을 천명, 파장을 일으키기도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스트롱맨'으로 불리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등과의 조기 회동도 추진하는 모습이다. 반면 동맹국인 북대서양조약기구(NATO)와 한국, 일본 등에는 방위비 분담금 추가 요구가 예상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과거 "부자 나라인 한국이 방위비를 더 부담하지 않을 경우 주한미군을 철수할 수 있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한편 퇴임하는 조 바이든 전 대통령은 마지막 연설에서 "이 나라의 영혼을 되찾기 위한 투쟁이 진행 중"이라며 "희망을 굳게 붙잡아야 한다"고 말했다.
2025-01-21 02:18:3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