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총 3건
-
-
'잘 키운 사내 벤처'로 미래 활로 찾는 식품·패션기업
[이코노믹데일리] 식품·패션업계가 사내벤처 육성에 공을 들이고 있다. 직원들의 아이디어를 반영하는 방식으로 사업적 비용 절감이 가능하고 구체적인 성과도 확인되면서다. 식품 기업의 경우 식품 사업에만 국한하지 않고 사내벤처를 통해 방향성을 넓혀 신사업에 뛰어들고 있다. 패션 기업은 젊은 직원들의 아이디어와 디자인을 반영한 자체 브랜드로 국내외 경쟁력 강화에 빛을 발하고 있다. 22일 업계에 따르면 식품기업 중 농심과 CJ제일제당은 사내벤처·스타트업 육성에 열정적이다. 지난 2018년부터 신사업 ‘엔스타트’ 제도를 시작한 농심은 지금까지 운영된 7개 팀 중 3개 팀(스마트팜·건강기능식품·자사몰)을 사내 정식 부서로 편성해 사업을 이어가고 있다. 이 중 스마트팜은 2022년 말 오만을 시작으로 UAE, 사우디아라비아 등 중동지역을 중심으로 글로벌 시장 진출에 나섰다. 스마트팜은 비닐하우스, 유리온실, 축사 등에 ICT 기술을 접목해 원격·자동으로 작물과 가축의 생육환경을 조절하는 농장을 말한다. 제한된 자원으로 최대한의 생산량을 얻을 수 있어 지속가능한 농업 방식으로 주목받고 있다. 2020년 출시한 건강기능식품 브랜드 ‘라이필’은 지난해까지 누적 매출액 1200억원을 달성하기도 했다. 이 외에도 사내 스타트업으로 반려동물 영양제 ‘반려다움’, 막걸리 양조장 조은술세정과 협업해 개발한 ‘꿀꽈배기맛주’ 등을 선보인 바 있다. CJ제일제당은 사내벤처 조직이 단백질 스낵, 식물성 아이스크림 등 제품 개발에 활발히 나서고 있다. 2022년에는 식품 사내벤처 프로그램 ‘이노백(INNO 100)’으로 깨진 조각쌀로 만든 업사이클링 스낵 ‘바삭칩’을 출시했고, 미국·말레이시아·홍콩 현지 유통채널 및 호주 코스트코까지 판로를 넓히고 있다. 최근 개발한 고단백 스낵 ‘O-right(오-라잇) 템페칩’은 태국 현지 최대 온라인 유통채널 쇼피·라자다, 대형마트 빌라마켓·디어터미에서 판매하고 있다. 이후 미국과 말레이시아, 홍콩 유통채널에 입점하면서 글로벌 시장으로 판매처를 넓혔다. CJ제일제당의 대표적인 식물성 브랜드 ‘얼티브’도 MZ세대 직원의 아이디어로 만들어진 브랜드다. 현재 단백질 음료, 아이스크림 등으로 라인업을 넓히고 있다. 그 중 ‘얼티브 프로틴’은 작년까지 누적 매출액이 195억원을 돌파했다. 누적 판매량은 673만개에 달한다. 패션 기업들도 MZ세대가 주축이 돼 만든 신생 브랜드를 앞세워 분위기 반전에 나서고 있다. 과거 글로벌 브랜드의 판권를 획득해 국내에서 판매를 전개했다면, 이제는 직원이 직접 기획부터 제작까지 총괄하는 벤처 브랜드에 투자하며 고객층 확대에 나섰다. 수입 라이선스 브랜드와 달리 마진율이 높아 수익성 증대에도 일석이조다. LF가 2019년 사내 벤처프로그램을 통해 선보인 스트릿 캐주얼 브랜드 ‘던스트’가 대표적이다. 던스트는 론칭 1년 만에 무신사, 29CM, W컨셉 등 패션 편집숍 및 온라인몰을 중심으로 유통망을 전개하며 중국, 일본, 미국, 프랑스 등 해외 패션시장에 잇따라 진출했다. 시장 반응도 좋다. 던스트의 매출은 2021년 130억원에서 2022년 265억원, 2023년 385억원 등 2년 만에 3배 가까이로 늘었다. 던스트는 안정적인 수익 기반을 인정받아 출범 2년 만인 2021년 LF의 자회사이자 독립법인인 ‘씨티닷츠’로 출범했다. 코오롱FnC도 직원이 아이디어를 낸 브랜드로 젊은 소비자들의 호응을 얻었다. 해당 브랜드는 ‘아카이브 앱크’다. 아카이브 앱크는 양가죽 소재 브랜드로 온라인 편집숍에 입점한 디자이너 신발 브랜드의 수제화 가격대와 유사한 10~20만 원대의 가격으로 상품이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이 때문에 젊은 소비자들에게 인기가 많은 것으로 알려졌다. 아카이브 앱크 누적 매출은 지난해 9월까지 전년 동기 대비 120% 증가하며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작년부터는 일본과 태국 시장에 진출하며 해외 시장으로 보폭을 확대하고 있다.
2025-01-23 06:00:00
-
"중고가 좋아" 중고의류가 새로운 멋스러움경제성으로 주목받는 인도네시아
[이코노믹데일리]젊은 세대의 소비방식 변화가 이슬람 문화권인 인도네시아에서 가성비를 중시하는 변화를 불러와 리커머스, 중고거래가 핫한 트렌드로 부상하고 있다. 지속 가능한 지구 환경에도 바람직한 열풍이 불고 있는 것이다.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인도네시아 자카르타무역관은 최근 인도네시아 젊은층이 ‘중고 제품’을 재정의하기 시작해 인도네시아에서는 중고 제품을 사용하는 것을 ‘쓰리프팅(Thrifting·절약하기)’이라고 통칭하고 있으며 자카르타, 족자카르타 등 자바섬 전역과 발리, 리아우섬 등 인구가 밀집해 있는 전 지역에서 ‘중고’, ‘중고샵’ 등 키워드로 많은 구글 검색이 이루어지고 있다고 전했다. KOTRA 해외시장뉴스에 지난달 23일 ‘쓰리프팅(thrifting)이 뜬다, 중고거래 증가하는 인도네시아’란 제목으로 전한 자카르타무역관 소식에 따르면 중고 제품 구매수요는 코로나 팬데믹과 함께 크게 성장했으며, 가성비를 따지는 젊은 세대의 소비 방식의 변화 또한 그 배경으로 분석되고 있다. 기존에 보유하고 있거나 이미 사용한 제품을 다시 판매하는 것을 의미하는 리커머스 시장은 코로나 팬데믹을 계기로 전 세계적으로 크게 성장했으며, 인도네시아인 또한 저렴한 가격으로 질 좋은 제품을 얻기 위한 중고 제품 구매에 동참하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인도네시아 최대 온라인 마켓플레이스인 이커머스 플랫폼으로 알려진 토코피디아(Tokopedia)나 부카라팍(Bukalapak), 쇼피(Shopee) 등 주요 이커머스 플랫폼에서도 중고 물품 옵션을 제공하고 있다. 구매하고자 하는 물품을 검색한 뒤 필터에 ‘Bekas(중고)’라고 설정하면 판매 중인 중고 물품들을 손쉽게 검색할 수 있다. 2022년 실시된 굿스타트(Goodstat)의 설문조사에서 ‘인도네시아에서 중고 제품을 구매해 본 적이 있다’고 답한 인원이 전체의 49.7%에 달해 거의 절반에 가까운 응답자가 중고 제품을 접해본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중고 제품 구매를 해본 적 없지만 할 의향이 있다’고 답한 응답자가 34.3%였으며 ‘구매 계획이 없다’고 답한 응답자는 16%에 불과했다. 글로벌 시장 조사기관인 스테티스타(Statista)에서는 중고 제품 중 의류 통계를 찾아볼 수 있다. 인도네시아인들의 중고의류 구매 이유 중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가격이다. 약 55%의 사람들이 새 제품보다 저렴하기에 중고의류를 구매한다고 답했으며, 브랜드 의류를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다는 이유가 41%로 그 뒤를 이었다. 그 외에도 예상치 못한 좋은 제품을 만나는 즐거움, 보다 다양한 제품을 접할 수 있다는 점 등을 중고의류 소비의 주된 이유로 꼽았다. 최근 인도네시아에는 중고거래를 위한 다양한 플랫폼들이 자리 잡고 있다. 동남아 전역에 널리 퍼져있는 중고거래 플랫폼인 캐러셀(Carousel)과 OLX Indonesia가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그 밖에도 커뮤니티를 기반으로 한 카스쿠스(KASKUS), 중고차에 특화된 몰라딘(Moladin) 등 품목에 따라 다양한 플랫폼들이 활용되고 있다. 아울러 인스타그램, 틱톡을 통한 개별 거래도 많다. 다만 수입 중고의류는 '힘을 쓸 수 없는 곳'이 인도네시아다. 인도네시아 정부는 자국산업에 영향을 준다고 판단할 때 해당 품목에 대한 수입규제를 시행하고 있는데, 가장 대표적인 품목이 중고의류다. 인도네시아 정부는 앞으로도 해당 규정의 엄격한 집행을 이어갈 예정이라고 공표했으며 그 일환으로 항만 등에서 중고의류를 대대적으로 단속·적발하고 있다.
2024-10-08 06: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