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05.24 토요일
흐림
서울 17˚C
흐림
부산 14˚C
흐림
대구 13˚C
흐림
인천 18˚C
흐림
광주 16˚C
흐림
대전 15˚C
흐림
울산 12˚C
비
강릉 12˚C
흐림
제주 15˚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순수전기차'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5
건
中제외 글로벌 전기차, 폭스바겐이 테슬라 꺾고 1위…비결은 '가격 경쟁력'
[이코노믹데일리] 중국을 제외한 글로벌 전기차 판매대수에서 폭스바겐이 테슬라를 꺾고 1위를 차지했다. 전문가들은 폭스바겐이 전기차 보조금 혜택 등 가격 측면에서 강점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내다봤다. 13일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3월까지 중국을 제외하고 전 세계에서 신규 등록된 순수전기차(BEV),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PHEV)는 162만4000대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19.7% 증가했다. 이 가운데 폭스바겐 그룹이 지난해 동기 대비 72.8% 늘어난 27만6000대를 판매하며 테슬라를 제치고 글로벌 전기차 시장 1위 자리에 올랐다. 폭스바겐의 주력 모델인 ID.3, ID.4, ID.7 등이 실적을 견인했다. 특히 해당 모델들은 유럽 전기차 판매 상위 10위권에 모두 이름을 올리며 브랜드 입지를 다졌다. 폭스바겐이 이처럼 호실적을 이뤄낼 수 있었던 이유는 보조금 정책 등 가격 경쟁력이 있어서다. 특히 ID.4의 경우 준준형 스포츠 유틸리티차(SUV)로 현재 국내에 출시하고 있는 수입 전기차 가운데 보조금 전액 지급 대상이다. ID.4의 실구매가는 4660만원 정도며 수입 전기차 중 최대 수준인 422만원 국고 보조금을 받을 수 있다. 폭스바겐코리아가 자체적으로 1000만원 규모의 할인 혜택을 추가로 제공했으며 일부 지역에서는 3000만원대 후반에도 구입할 수 있다. 이처럼 주요 모델의 가격을 대폭 낮춰 소비자 접근성을 높인 데다가 각국 정부의 전기차 보조금과 맞물려 실질 구매 부담을 줄인 것이 호재로 작용했다. 여기에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등 차량 내장 기술과 전반적인 주행 성능이 크게 개선된 점도 소비자들의 선택을 이끌었다. 2025년식 ID.4에는 향상된 드라이브 시스템이 탑재됐는데 최고 출력 286마력, 최대토크 55.6kg.m, 1회 충전시 424.km 주행 가능 등 강한 출력을 발휘하고 있는 것이다. 반면 테슬라는 1분기 20만2000대를 판매하며 전년 대비 20.6% 감소했다. 모델3와 모델Y의 판매 부진이 극심해서다. 특히 유럽 시장에서 테슬라는 1분기 판매가 급감하며 폭스바겐에 1위 자리를 내줬다. SNE리서치는 "테슬라는 일론 머스크 최고경영자(CEO)에 대한 논란, 경쟁 심화 등 복합적 요인이 작용한 탓"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일론 머스크는 정부효율부(DOGE) 수장을 맡아 공무원을 대거 해고하는 등 거친 행보를 보인 바 있다. 이에 안티-머스크 시위가 온·오프라인에서 확산되기도 했다. 이밖에 현대차그룹은 1분기 13만7000대를 판매하며 전년 대비 11.7% 성장했다. 북미 시장에서 아이오닉5는 8600대가 판매되기도 했다. 이호근 대덕대 자동차학과 교수는 "기업에서는 전기차 세금 혜택 등 간접적인 지원 혜택을 주는 것을 종합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에 폭스바겐 관계자는 "현재 폭스바겐코리아에서 자체적으로 제공하는 1000만원 규모의 할인 혜택을 추가로 제공하고 있는데 언제까지 일지는 확실치는 않으나 당분간 계속 시행할 것"이라고 전했다.
2025-05-13 18:07:04
BYD, 아토3 지난달 543대 판매..."안정성·공간 활용도 굿"
BYD 아토 3[사진=BYD코리아] [이코노믹데일리] BYD코리아가 지난달 14일부터 30일까지 총 543대의 BYD 아토 3를 고객에게 인도했다. 8일 BYD코리아에 따르면 BYD 아토 3는 지난 달 2일 전기차 국고보조금 산정이 완료된 뒤 본격적인 고객 인도 절차에 들어갔다. 차량 출고 전 검사(PDI), 각 딜러사 물량 배정, 구매 고객의 지방자치단체별 보조금 신청 등 과정을 거쳐 일평균 약 31대가 신규 등록했다. BYD 아토 3는 소형 전기 스포츠 유틸리티차(SUV)로 블레이드 배터리와 순수전기차 전용 플랫폼 e-플랫폼 3.0이 적용돼 안전성과 공간 활용도가 높은 것이 특징이다. 3D 서라운드 뷰 모니터, 파노라믹 선루프, V2L, 12.8인치 회전형 디스플레이, 인텔리전트 크루즈 컨트롤 등 다양한 편의사양이 기본으로 제공돼 주목을 받았다. BYD 아토 3 권장 소비자 가격은 △BYD 아토 3 3150만원 △BYD 아토 3 플러스 3330만원이며 전기차 보조금 적용 시 일부 지자체에서는 2000만원 후반대에 구매할 수 있다. 이와 함께 BYD코리아는 올해 연말까지 서비스센터를 25곳 이상으로 늘려 고객이 안심하고 차량을 이용할 수 있는 최적의 서비스 환경을 제공할 계획이다. 조인철 BYD코리아 승용 부문 대표는 "e-모빌리티 라이프를 고객이 직접 경험할 수 있게 돼 보람을 느낀다"며 "국내 시장 내 전기차 대중화와 소비자 편의 증진을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2025-05-08 14:04:47
헷갈리는 친환경차 종류, 한번에 알려드립니다
KG모빌리티 친환경차[사진=KG모빌리티] [이코노믹데일리] ※김지영의 카(CAR)멜레온 코너는 다양한 몸의 색깔을 띠는 카멜레온처럼 차(車)와 관련해 독자들이 궁금해할만한 다양한 소식을 모두 알려드리겠습니다. 자동차와 관련한 궁금증을 해소하고 가세요! <편집자주> 최근 국내 친환경차 시장은 지난해 전체 자동차 판매의 40%를 차지하며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지난 1월 발간된 산업통상자원부의 '한 눈에 보는 2024년 자동차 산업 동향' 리포트에 따르면 국내 친환경차 판매는 지난 2023년보다 18.2% 증가한 65만대를 기록하며 신규 판매 차량 10대 중 4대는 친환경차인 것으로 드러났다. 그 중 특히 지난해 하이브리드차 판매가 2023년 대비 32% 증가해 친환경차 중 76%를 차지했다. 전체 국내 판매 차량 중 30%를 차지한 것이다. 친환경차의 종류에는 총 4가지가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하이브리드(HEV)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PHEV) △순수전기차(BEV) △연료전지 자동차(FCEV)로 구성돼 있다. 우선 하이브리드는 내연기관과 모터를 통해 작동하는데 휘발유·디젤 엔진과 전기모터를 동시에 사용한다. 외부 충전 없이 엔진 발전기와 회생제동으로 배터리를 충전하는 방식이며 배출가스가 있다. 플러그인 하이브리드는 HEV보다 큰 배터리를 탑재해 외부 충전이 가능하고 전기만으로 주행할 수 있다. PHEV는 전기 모터만 사용해 배출 가스가 없는 것이 특징이다. 순수전기차는 대용량 배터리와 전기모터로 무공해 주행이 가능하지만 충전 시간과 주행거리 한계가 존재한다. 또한 지난 22일 대구광역시 달서구 두류동의 한 아파트 지하 주차장에서 충전 중이던 전기차에 불이 나는 등 전기차 안전에 대한 불안이 커지자 최근 소비자들 사이에서 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 정체) 현상이 일고 있기도 하다. 연료전지 자동차는 수소를 전기를 생산해 전기 모터를 구동하며 주행 중 배출가스가 전혀 없다. 하지만 수소충전소는 지난해 기준 386기에 불과해 전기차 충전소(39만대) 대비 극심히 부족하다는 문제가 있지만 초기 구축 비용이 높다는 장벽이 있다.
2025-04-26 06:00:00
하이브리드 신차 판매 승승장구…"전기차 캐즘으로 당분간 수요 유지"
현대차 싼타페[사진=연합뉴스] [이코노믹데일리] 국내 자동차 시장에서 하이브리드(HEV)가 최근 강세를 보이며 꾸준히 판매 기록을 세우며 전기차 판매량을 앞지르고 있다. 현대자동차의 싼타페 하이브리드, 기아 쏘렌토 하이브리드 등에서 국내 수요가 지속되고 있어서다. 전문가들은 전기차 캐즘으로 인한 하이브리드 인기는 당분간 지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23일 이호근 대덕대 자동차학과 교수는 "화재 위험성 등 전기차 안정성 문제가 대두돼 캐즘(일시적 수요 정체)이 일어나고 있다"며 "전기차의 안정성이 확보되고 가격이 일반 내연기관 대비 큰 차이가 없을 정도로 내려가지 않는다면 하이브리드 인기는 계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23일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KAMA)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에서 수입차를 포함한 하이브리드차 판매량은 39만4613대로 전체 시장의 26.5%를 차지했다. 이는 지난해 대비 24% 넘게 증가한 수치다. 국내 하이브리드 차량 판매량은 전체 친환경차 판매량 중 거대한 파이를 차지하고 있다. 지난 1월 한국자동차산업협동조합(KAICA)이 발표한 '2024년 자동차 산업 평가 및 2025년 전망'에 따르면 국내 친환경차 판매량은 지난해 1~11월 누적기준 전년대비 17.7% 증가한 59만8000대를 기록했다. 국내 친환경차 시장은 HEV,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PHEV), 순수전기차(BEV), 연료전지 자동차(FCEV) 등이다. 국내 소비자들은 HEV 모델 선호해 HEV(PHEV 포함) 증가율은 28.8%로 전체 친환경차 판매의 76.2%를 차지한 것이다. 지난 2월 딜로이트의 '글로벌 자동차 소비자 조사' 리포트에 따르면 한국 소비자의 하이브리드 선호도는 31%로 일본(35%)에 이어 2위를 차지했다. 반면 전기차는 화재안전 우려, 충전 불편 등 전기차 포비아(전기차에 대한 공포감) 현상뿐만 아니라 보조금 지원이 감소하고 충전요금이 인상되는 등 이유로 인해 지난해 대비 7.3% 감소한 13만9000대가 판매됐다. KAICA 관계자는 "국내 전기차 시장은 보조금이 축소되고 충전이 불편한 데다가 화재 발생 불안감 등으로 2년 연속 역성장을 기록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로써 현대차그룹의 하이브리드 차량 판매 역시 호조세를 보이고 있다. 우선 현대차 싼타페는 지난해 7만7161대가 판매됐으며 그중 70%가 하이브리드 차량이다. 지난 1월 카이즈유 데이터 연구소의 '2024년 결산 자동차등록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기아 쏘렌토는 9만5040대가 판매됐으며 해당 기간 누적 판매량 중 하이브리드 모델 비율은 71%에 달한다. 현대차그룹은 2025년을 기점으로 하이브리드 라인업을 확대한다. 23일 현대차에 따르면 2025년형 SUV 코나를 출시해 1.6 하이브리드 모델을 판매하기 시작했다. 이번 신차는 고객들의 선호 사양을 실속 있게 구성한 신규 H-픽 운영과 트림별 기본 편의사양을 강화한 것이 특징이다. 기아 역시 지난해 9월 2025 쏘렌토 하이브리드를 출시했으며 1.6 가솔린 터보 하이브리드 파워트레인을 탑재했다. 시그니처, 그래비티 등 트림을 제공하며 첨단 안전과 편의 사양을 강화했다. 이호근 대덕대 자동차학과 교수는 "현대차, 기아 신차들 모두 고객 니즈에 맞게 개발해 큰 품질 이슈가 없어 다양한 차종의 하이브리드를 출시한다면 지속적으로 판매가 잘 될 것으로 본다"고 전했다.
2025-04-23 18:22:25
대세는 하이브리드…BMW도 '뉴 550e xDrive' 출시
[이코노믹데일리] BMW 코리아가 폭발적인 성능과 우수한 친환경성을 겸비한 5시리즈의 고성능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 모델 '뉴 550e xDrive'를 국내에 공식 출시했다고 23일 밝혔다. BMW 뉴 550e xDrive는 5시리즈 중 유일하게 직렬 6기통 3.0ℓ 가솔린 엔진이 탑재된 모델로 내연기관차의 생생한 감성과 순수전기차의 탁월한 친환경성을 겸비한 고성능 프리미엄 PHEV 세단이다. 특히 강력한 파워트레인과 개선된 섀시를 기반으로 뛰어난 운동 성능을 선사하는 것이 특징이라는 게 BMW의 설명이다. 뉴 550e xDrive는 최고출력 313마력을 내는 BMW 트윈파워 터보 가솔린 엔진 및 197마력의 BMW 5세대 eDrive 전기모터가 조합돼 시스템 최고출력 489마력을 발휘한다. 시스템 최대토크도 71.4㎏·m에 달해 정지 상태에서 시속 100㎞까지 가속하는 시간이 4.3초에 불과하며 안전 최고속도는 시속 250㎞에서 제한된다. 뉴 550e xDrive는 친환경성도 우수하다. 고전압 배터리를 탑재해 1회 충전 시 62㎞를 주행할 수 있으며 전기모드로 시속 140㎞까지 가속 가능해 일상에서는 순수전기차로 운행할 수 있다. 복합 연비는 ℓ당 14.3㎞이다. 아울러 내연기관 모델과 동일한 60ℓ의 연료탱크 및 520ℓ의 트렁크 공간을 확보해 공간 활용성을 강화했으며 기존에 비해 2배 개선된 7.4㎾의 배터리 충전 속도를 지원해 충전 편의성도 향상됐다.
2024-12-23 13:24:22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단독] 英 배달 플랫폼 헝그리판다, 한국 배달시장 진출…불법체류자 모집 논란
2
SKT 해킹 파문 확산…악성코드 25종·추가 서버 감염…개인정보 유출 우려↑
3
[꺼지지 않은 불씨 ①] 고려아연·영풍, 갈등의 불씨와 복잡해지는 수싸움... MBK의 합류까지
4
홈쇼핑 4개 사 1분기 성적표 '엇갈림'…영업익, 현대 24%↑·GS 10%↓
5
LG화학·LG엔솔, 배터리 리사이클 투자 '쓴맛'…배터리 재활용 업체 라이-사이클 파산
6
SKT 해킹 후폭풍, 정치권 강타…野 "정부 책임론" vs 與 "국가적 사이버테러 가능성"
7
[송도, 약속된 도시의 역설] ⑤ GTX-B 착공…송도는 다시 오를 수 있을까
8
두산에너빌리티, 1.3조 설비 투자... 가스터빈·SMR 수주 대비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기자수첩] 할 수도 없고 안 할 수도 없는 투자의 딜레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