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05.20 화요일
흐림
서울 26˚C
흐림
부산 25˚C
맑음
대구 33˚C
흐림
인천 25˚C
흐림
광주 26˚C
맑음
대전 29˚C
맑음
울산 29˚C
맑음
강릉 26˚C
흐림
제주 23˚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스마트홈 사업'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2
건
LG유플러스, 1분기 실적 호조...AI·스마트홈 성장세 '뚜렷'
[이코노믹데일리] LG유플러스가 올해 1분기 견조한 실적을 달성하며 연간 목표 달성에 대한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인공지능(AI) 기술 고도화와 스마트홈 사업의 꾸준한 성장이 전체적인 수익성 개선을 이끌었다는 분석이다. LG유플러스는 8일 열린 2025년 1분기 실적 발표 컨퍼런스 콜에서 이 같은 내용을 공개했다. 여명희 LG유플러스 최고재무책임자(CFO)는 "사람 중심의 AI를 지향하며 기술 자체보다는 고객의 안심과 신뢰 확보에 집중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보이스피싱 피해 방지와 통화 내용 유출 우려 해소를 목표로 '익시 가디언'이라는 세 가지 AI 기술을 선보였다"며 "고객의 통화 환경을 더욱 안전하게 만드는 것이 핵심"이라고 설명했다. LG유플러스는 구글과의 B2C AI 서비스 고도화, AWS와의 B2B AI 시장 확대를 위한 전략적 협력을 통해 AI 분야 성과 창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에 힘입어 1분기 연결 기준 서비스 수익은 전년 동기 대비 1.6%, 별도 기준으로는 1.7% 증가했으며 영업이익은 15.6% 늘어난 2554억원을 기록했다. 여 CFO는 "현재 흐름을 고려하면 연간 가이던스 달성이 가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당기순이익 또한 24.6% 증가한 1625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러한 성장세는 스마트홈 부문에서도 두드러졌다. 박찬승 LG유플러스 스마트홈사업그룹장은 "고객의 일상에 편리함과 차별화된 가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스마트홈 사업 부문의 경쟁력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1분기 스마트홈 수익은 전년 동기보다 2.4% 증가한 6306억원을 달성했다. 특히 인터넷 수익이 기가인터넷 가입자 증가에 힘입어 6.9% 성장하며 전체 성장을 이끌었다. IPTV 가입자는 561만 1000명, 인터넷 가입자는 539만 6000명으로 꾸준한 증가세를 보였으며 1기가 이상 인터넷 가입자 비중은 29.1%로 확대됐다. 박 그룹장은 "지난 1월 출시한 프리미엄 안심 보상 요금제는 스미싱·피싱 차단 기능과 피해 보상 혜택을 제공하며 신규 고객 사이에서 높은 선택 비중을 보이고 있다"며 "보안에 대한 우려를 해소하며 사업 성과에도 기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콘텐츠 경쟁력 강화 노력도 주목된다. LG유플러스는 유럽 최대 미디어 기업 '카날플러스'와 제휴, 자회사 스튜디오 카날의 오리지널 콘텐츠를 국내 독점 공급한다. 박 그룹장은 "글로벌 미디어와의 협력을 통해 기존 채널이나 OTT 플랫폼에서 만족시키기 어려운 고객의 요구를 충족시키고 콘텐츠 차별화를 통해 고객 만족도를 지속적으로 높이겠다"고 강조했다. LG유플러스는 AI 기술 고도화와 글로벌 협업, 스마트홈 서비스 경쟁력 강화를 통해 미래 성장 기반을 다지는 한편 지속적인 수익성 개선을 바탕으로 연간 실적 목표 달성에 속도를 낼 방침이다.
2025-05-08 15:04:47
LG유플러스, 1분기 영업익 2554억… 전년比 15.6% '껑충' "AI·B2B 사업 성장 견인"
[이코노믹데일리] LG유플러스가 올해 1분기 연결 기준 매출 3조7481억원, 영업이익 2554억원을 기록하며 견조한 성장세를 이어갔다고 8일 밝혔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각각 4.8%, 15.6% 증가한 수치다. 유무선 가입자 기반 확대와 인공지능(AI) 기술을 접목한 기업 간 거래(B2B) 인프라 사업의 성장, 그리고 수익성이 낮은 일부 사업 조정을 통한 비용 효율화가 실적 개선을 이끌었다. LG유플러스의 1분기 무선 사업 매출은 가입자 순증과 해지율 개선 등에 힘입어 전년 동기 대비 2% 증가한 1조6121억원으로 집계됐다. LG유플러스 자체 가입자와 망을 임대하는 알뜰폰 가입자를 합한 전체 무선 가입 회선 수는 2907만5000개로 전년 동기 대비 10.7% 늘어나며 12분기 연속 두 자릿수 성장세를 이어갔다. 이 중 LG유플러스 가입 회선은 2051만3000개였으며 5세대 이동통신(5G) 단말기 가입자는 819만6000명으로 전체 단말 가입자의 74.8%를 차지했다. 해지율은 1.09%로 전년 대비 0.09%포인트 하락하며 안정적인 모습을 보였다. 알뜰폰(MVNO) 가입 회선은 온라인 ‘알닷케어’ 서비스 출시와 업계 최초 외국인 셀프개통 지원 등 이용자 편의 향상 노력에 힘입어 지난해 1분기 703만4000개에서 21.7% 급증한 856만2000개를 달성했다. 초고속 인터넷과 인터넷TV(IPTV)를 포함한 스마트홈 사업 매출은 6306억원으로 1년 전보다 2.4% 증가했다. 초고속 인터넷 사업 수익은 고가치 요금제 가입자 증가에 따라 전년 동기 대비 6.9% 성장한 2965억원을 기록했으며 가입 회선은 539만6000개로 3.4% 늘었다. 1분기 IPTV 가입 회선은 2.4% 증가한 561만1000개였으나 홈쇼핑 송출 매출과 주문형비디오(VOD) 판매량 감소 영향으로 IPTV 사업 수익 자체는 3301억원으로 1.2% 줄었다. 기업 대상 솔루션, 인터넷 데이터센터(IDC), 기업 회선 등이 포함된 기업 인프라 부문 매출은 4097억원으로 2.1% 증가했다. IDC 사업 수익은 평촌2센터의 안정적 운영과 AI 전용 GPU(그래픽처리장치) 관리 최적화 등으로 전년 대비 2.1% 늘어난 873억원을 기업회선 사업 수익은 3.1% 증가한 2035억원을 기록했다. AI 중심의 디지털 전환(AX)을 추진 중인 솔루션 사업 수익은 1189억원이었다. 마케팅 비용은 올해 초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MWC)’ 참여 등으로 광고선전비가 늘면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6% 증가한 5558억원으로 집계됐다. 1분기 설비투자(CAPEX)는 전년 동기 대비 13.4% 감소한 3331억원을 집행했다. 여명희 LG유플러스 최고재무책임자/최고리스크책임자(CFO/CRO, 전무)는 “전 세계적으로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는 환경 가운데서도 LG유플러스의 2025년 1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이 모두 증가하며 안정적인 성장세를 이어갔다”며 “고객 경험 혁신을 위해 AI 적용 영역을 확장하고 미래 성장동력을 확보해 기업가치와 주주 이익을 제고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2025-05-08 11:30:48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단독] 中 배달 플랫폼 헝그리판다, 한국 배달시장 진출…불법체류자 모집 논란
2
SKT 해킹 파문 확산…악성코드 25종·추가 서버 감염…개인정보 유출 우려↑
3
"7시간 만에 1위" 넷마블 신작 '세나 리버스' 대박 터졌다…흥행 비결은
4
삼성전자, 2조4000억원 들여 데이터센터 HVAC 선점하는 이유
5
가덕도신공항 좌초 위기…현대건설 철수에 후속 대안도 불투명
6
韓 ·美, 통신해킹 공동대응·R&D 협력 강화…美 핵심기관 연쇄 회동
7
[르포] 대한항공, AWS 서밋 서울 2025서 '생성형 AI 콜센터' 시연
8
[꺼지지 않은 불씨 ①] 고려아연·영풍, 갈등의 불씨와 복잡해지는 수싸움... MBK의 합류까지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기자수첩] 할 수도 없고 안 할 수도 없는 투자의 딜레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