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10.06 월요일
흐림
서울 21˚C
흐림
부산 21˚C
비
대구 20˚C
흐림
인천 21˚C
흐림
광주 21˚C
흐림
대전 21˚C
비
울산 20˚C
흐림
강릉 20˚C
흐림
제주 23˚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신한EZ손해보험'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2
건
강병관, 신한EZ손보 1년 더 맡았지만 적자 유지...하반기 경영 개선 '시험대'
[이코노믹데일리] 강병관 신한EZ손해보험 대표이사가 임기를 1년 연장해 경영 안정화에 나섰지만 올해 상반기 적자 규모가 전년 대비 2배 이상 확대되며 경영 개선이 시급한 상황이다. 25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신한EZ손보의 올해 상반기 손익 및 수익성 지표가 악화했다. 신한EZ손보의 올해 상반기 당기순손실은 –157억원으로 전년 동기(-60억원) 대비 2배 이상 적자가 확대됐다. 이는 보험손익 및 투자손익에서 적자가 늘어난 영향이다. 올해 상반기 보험 손익은 –114억원으로 전년 동기(-75억원) 대비 39억원 감소했다. 상품 다양화를 통해 보험 수익을 266억원에서 515억원까지 늘렸지만 보험 서비스 비용, 재보험 비용도 함께 증가하면서 적자 규모가 커졌다. 투자손익도 지난해 상반기에는 15억원 흑자를 기록했으나 지난해 개발한 차세대 전산 시스템의 무형자산 상각을 진행하면서 –43원으로 적자 전환했다. 해당 상각은 5년 동안 진행될 예정이다. 수익성 지표도 전반적으로 악화됐다. 올해 상반기 영업이익률은 -21.57%로 전년 동기(-20.44%) 대비 1.13%p 하락했으며 총자산수익률(ROA)은 -9.44%로 4.9%p, 자기자본수익률(ROE)은 -20.51%로 10.97%p 각각 떨어졌다. 건전성 지표인 지급여력(K-ICS) 비율도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2분기 K-ICS 비율은 309.95%로 1분기(340.4%) 대비 30.45%p 하락했다. 지난 3월 신한금융지주가 1000억원 유상증자로 자본을 투입해 비율을 두 배 이상 끌어올렸지만 영업 확대에 따른 지급여력기준금액 증가와 무형자산 상각으로 다시 줄어든 상황이다. 올해 신한EZ손보의 실적 악화는 수익성이 약한 단기·소액 중심 상품 포트폴리오 구조의 영향으로 풀이된다. 신한EZ손보는 지난 2022년 디지털보험사로 출범해 여행자보험·미니보험 등의 상품을 주력으로 판매했다. 디지털보험사는 주로 비대면 채널을 통해 운영되기 때문에 비교적 규모가 작고 약관 이해가 쉬운 단기성 상품을 제공한다. 타 디지털 보험사인 △카카오페이손해보험 △하나손해보험 △캐롯손해보험 등도 올해 적자를 기록했다. 이에 신한EZ손보는 장기보험 포트폴리오, 법인보험대리점(GA) 채널 확대를 통해 경쟁력 강화를 추진한다. 내년 상반기까지 고객 수요가 높은 장기보험 상품군 확보와 함께 GA 제휴사를 추가할 계획이다. 신한EZ손보 관계자는 "상반기 실적은 계획된 수준으로 현재 GA 영업 및 장기보험 매출이 미미하나 방향성은 잡힌 상황"이라며 "장기 수익성 관점에서 관련 상품 및 GA와 제휴를 늘려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2025-09-25 06:10:00
올해 1분기 디지털 손보사 적자 확대...디지털 보험사 카카오만 남나
[이코노믹데일리] 올해 1분기 비대면 상품을 주력으로 판매하는 디지털 손해보험사(하나·신한EZ·캐롯·카카오페이)들의 적자가 확대됐다. 디지털 보험사의 근본적인 수익성 과제는 해결하지 못한 가운데 캐롯손해보험의 흡수 합병으로 인해 채널 규제를 받는 디지털 보험사는 카카오페이손해보험만 남게 될 예정이다. 12일 손해보험협회에 따르면 비대면 영업 채널을 주력으로 상품을 판매하는 디지털 손보사의 올해 1분기 실적이 악화했다. 올해 1분기 디지털 손보사의 순손실은 397억1500만원으로 전년 동기(303억3900만원) 대비 30.9% 증가했다. 가장 큰 적자를 낸 보험사는 캐롯손보로 올해 142억2700만원의 적자를 냈지만 전년 동기(153억3600만원)보다는 7.23% 감소했다. 신한EZ·하나손보는 적자가 대폭 늘었다. 신한EZ손보는 올해 1분기 46억300만원의 적자를 기록해 전년 동기(9억4100만원) 대비 5배 가까이 실적이 하락했고 같은 기간 하나손보는 전년 동기(24억8500만원)보다 2배 가까이 늘어난 71억7000만원의 적자를 봤다. 특히 지난해 실적을 회복했던 하나손보는 올해 들어 다시 적자가 증가했다. 카카오페이손보도 올해 1분기 137억1500만원의 적자를 기록해 전년 동기(115억7700만원) 대비 7.23% 적자가 늘었다. 이런 디지털 보험사의 지속적인 적자는 비대면 상품을 주력으로 판매하는 사업 구조의 영향으로 풀이된다. 비대면 채널을 통한 보험 판매는 주로 단기성 여행자 보험·자동차 보험을 취급하기 때문에 수익성이 낮다. 반면 수익성이 높은 장기보험·보장성 보험은 규모가 크고 약관이 복잡해 대면 채널 판매가 유리하다. 이에 디지털 손보사들은 수익성 회복을 위해 대면 영업, 장기보험 상품 확대 전략을 추진 중이다. 하나·신한EZ손보는 대면 영업과 장기보험 상품을 확대했다. 하나손보의 올해 1분기 전속 설계사 수는 400명으로 전년 동기(277명)보다 123명 늘었으며 같은 기간 신한EZ손보도 578명에서 965명까지 설계사를 늘렸다. 장기보험 수입 보험료도 하나손보는 109억100만원, 신한EZ손보는 2억6300만원 증가했다. 하나·신한EZ손보는 종합손해보험사로 인가를 받았지만 비대면 채널 판매를 주력으로 삼고 디지털 보험사를 표방하는 기업으로 대면 채널 확대에 제한이 없다. 반면 캐롯·카카오페이손보는 설립 당시 통신판매전문보험회사로 인가를 받아 수입 보험료의 90%를 비대면 채널로 모집해야 하며 이를 어길 시 비율을 충족할 때까지 대면 모집이 불가능하다. 또한 지난 4일 한화손해보험이 이사회를 통해 캐롯손보의 흡수 합병을 의결하면서 합병이 예정된 오는 9월 이후부터 채널 규제를 받는 디지털 손보사는 카카오페이손보만 남게 된다. 이에 전문가들은 디지털 보험사의 수익성 악화는 판매 채널 규제로 인한 상품 다양성 제약이 원인으로 채널 이슈 뿐만 아니라 인슈어테크, 임베디드 보험의 확대 등 복합적인 개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손재희 보험연구원 연구위원은 "디지털 보험은 판매 채널 규제로 인한 구조적인 문제로 수익성을 회복하기 힘든 상황"이라며 "성장을 위해서는 채널 규제와 같은 정책 뿐만 아니라 인슈어테크 지원을 통한 사업 모델 확대, 임베디드 보험 등 복합적인 고민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2025-06-12 06:14:00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2
카톡 업데이트 총괄 홍민택 CPO, 사내 공지로 '진화' 나서
3
[국정자원 화재] 조달청, '하도급지킴이' 서비스 재개…66조원대금 지급 정상화
4
SK그룹-오픈AI, '메모리·AI 데이터센터' 초대형 합작…'K-AI' 동맹 결성
5
추석 연휴에도 해외 주식 '24시간 거래'…국내 증시 5일간 휴장
6
[단독] ETRI, 윤석열 정부 출범 후 징계 급증...방승찬 원장 취임 후 17건
7
[편집국장 칼럼] '국빈 일정' 사전 노출이 남긴 것
8
美 나스닥 상장 기대에…비상장 두나무 3년 만에 주가 '폭등'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기자수첩] 국감에 설 예정인 건설사 CEO들, 책임 공방을 넘어설 수 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