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07.20 일요일
흐림
서울 30˚C
흐림
부산 30˚C
흐림
대구 31˚C
맑음
인천 29˚C
구름
광주 29˚C
흐림
대전 30˚C
흐림
울산 29˚C
맑음
강릉 31˚C
흐림
제주 30˚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아세안 3'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2
건
이창용 한은 총재 "환율 하단 판단 일러…변동성 대응 중요"
[이코노믹데일리]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최근 변동성이 높아진 환율이 하단에 이르렀다고 판단하기 이르다며 변동성 대응이 중요하다는 입장을 내놨다. 6일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이탈리아 밀라노 한 호텔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환율이 (내려올 만큼 다) 내려온 것인지 아직 판단하기 이르다. 변동성 대응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총재는 "어느 순간 확 바뀌면 환율이 다시 오를 것으로 변동이 끝난 건 아니라고 생각한다"며 "한은이 환율에 신경을 안 쓴다는 인상을 주는 순간 시장이 한 방향으로 쏠릴 수 있다"고 우려했다. 특정 환율 수준을 근거로 통화정책을 결정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시사한 것이다. 앞서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달 원/달러 환율 평균 변동 폭은 9.7원, 변동률(전일 대비·주간 거래 기준)은 0.67%로 집계됐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긴축 속도 조절 기대감이 커져 환율 변동성이 심화했던 지난 2022년 11월 이후 가장 높은 수치로, 전월 대비 2배 이상 커졌다. 향후 통화정책 흐름에 대해 이 총재는 "기준금리를 내린다는 것을 의심하지 말라"며 "여러 지표를 볼 때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내려야 할 가능성이 크고 기준 금리를 낮출 이유가 많다"고 설명했다. 다만 금리인하 횟수는 성장률 전망에 달려있다고 전했다. 특히 이번 연휴에 소비가 얼마나 확대됐는지와 정치 불확실성 속에 투자가 얼마나 빨리 감소하는지도 관심사라고 언급했다. 또 제21대 대통령 선거 5일 전(29일) 열리는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 통화정책방향 결정회의와 관련해 "선거를 고려하지 말고, 데이터만 보고 결정하자고 금통위원들과 얘기했다"고 말했다. 국내외 상황에 대해 이 총재는 "미국이 상호 관세를 발표한 지난달 초와 비교해 불확실성이 줄었다고 보지 않는다"며 "우리나라는 다른 나라와 달리 대외 불확실성만큼이나 대내 불확실성이 큰 상황"이라고 평가했다. 한편 이 총재는 지난 4일부터 이탈리아 밀라노서 개최되는 '아세안+3(한·중·일)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 회의'에 참석 중이다. 추가로 오는 10~12일 스위스 바젤에서 진행되는 국제결제은행(BIS) 총재 회의에도 참석할 예정이다.
2025-05-06 16:03:45
한국, 아세안+3 비상 쌀 비축제 통해 1만톤 쌀 지원 완료
[이코노믹데일리] 농림축산식품부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는 2024년 아세안+3 비상 쌀 비축제(APTERR)에 따라 쌀 1만톤(t) 식량원조를 완료했다고 밝혔다. 11일 aT에 따르면 지난 8일 부산항에서 라오스로 향하는 1500t의 쌀을 마지막으로 총 1만t의 쌀이 아세안+3 국가들에 지원됐다. APTERR는 ‘Asean Plus Three Emergency Rice Reserve’의 약자로, 아세안 10개국과 한국, 중국, 일본이 식량 부족, 재난 등 비상사태에 대비해 쌀을 비축하고 비상시 지원하는 제도다. 한국은 2017년부터 현재까지 총 3만3500t의 쌀을 지원하며 APTERR 회원국 중 최대 공여국으로서 아시아 지역의 식량 안보에 기여해왔다. 특히 지난해에는 태풍, 홍수 등으로 식량난을 겪는 필리핀, 미얀마, 라오스에 역대 최대 규모인 1만t의 쌀을 지원했다. 문인철 aT 수급이사는 “기후 변화로 인한 식량 위기는 전 세계적인 문제이며, APTERR을 통해 한국 쌀을 지원하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이라며 "앞으로도 식량 부족 국가에 대한 지원을 지속하겠다"고 전했다.
2025-02-11 19:18:12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LCK '마지막 희망' 젠지, EWC 롤 결승서 T1 무너뜨린 AL에 복수하나
2
실적 성장세에도 中 수주량 절반인 K-조선, 돌파구는 친환경 전략
3
갤럭시 Z7 예판 돌입, 단통법 폐지 맞물려 통신사 '보조금 대란' 예고
4
사우디 '오일머니', T1 유니폼 입다…e스포츠-관광 첫 대규모 초대형 스폰서십
5
모듈러부터 UAM까지… GS건설, 미래 건설 패러다임 뒤흔든다
6
[기자수첩] 비보존제약, 성과도 소통 방식도 '일방통행'?
7
잠실 르엘, 조합 내홍에 '공사 중단' 경고…롯데건설 "분양 지연 땐 책임 묻겠다"
8
SKT 사태가 부른 '보안 군비경쟁'…KT, 1조원 맞불에도 '이제와서' 비판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기자수첩] 비보존제약, 성과도 소통 방식도 '일방통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