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총 11건
-
-
-
지난달 차 판매 실적 굿…현대차 35만대·기아 27만4437대 판매
현대차 울산공장 아이오닉5 생산라인 [사진=현대자동차] [이코노믹데일리] 현대자동차가 지난달 국내 6만7510대, 해외 28만5828대를 판매해 35만3338대를 판매했다고 2일 밝혔다. 현대차는 지난달 국내 시장에서 지난해 같은달 대비 5.9% 증가한 6만7510대를 판매했다. 차종으로는 세단은 그랜저 6080대, 쏘나타 4702대, 아반떼 7099대 등 총 1만 8491대를 팔았다. RV는 팰리세이드 6662대, 싼타페 6354대, 투싼 5223대, 코나 2722대, 캐스퍼 1455대로 총 2만5728대 판매됐다. 포터는 5372대, 스타리아는 3727대 판매했다. 프리미엄 브랜드 제네시스는 G80 4340대, GV80 2927대, GV70 3093대 등 총 1만1504대가 팔렸다. 지난달 해외 시장에서는 지난해 같은달보다 1.1% 증가한 28만5828대를 판매했다. 현대차 관계자는 "거시적인 경영 환경 변화에도 신차 판매를 적극 추진하며 현지화 전략을 고도화해 체계적으로 대응책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기아도 지난달 좋은 판매 실적을 기록했다. 기아는 지난달 글로벌 시장에서 국내 5만1005대, 해외 22만3113대, 특수 319대로 총 27만4437대를 판매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국내는 7.4% 증가, 해외는 4.6% 증가한 수치다. 승용차는 레이 4262대, K5 3581대, K8 2566대 등 총 1만2415대가 판매됐다. RV는 카니발 7592대, 스포티지 6703대, 셀토스 5101대, EV3 3057대 등 총 3만5152대가 판매됐다. 기아의 지난달 해외 판매는 지난해 같은달 대비 4.6% 증가한 22만3113대를 기록했다. 차종별 해외 실적으로는 스포티지가 4만1034대, 셀토스 2만442대, K3(K4 포함) 1만6666대 등이다. 특수 차량은 국내에서 80대, 해외에서 239대 등 총 319대를 판매했다. 기아 관계자는 "국내와 해외 모두 판매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다"며 "경쟁력 있는 신차로 판매 모멘텀을 이어 나갈 것"이라고 전했다.
2025-05-02 16:11:53
-
-
-
-
-
-
-
호세 대표 현대차 주총서 "불확실성 속 새로운 기회 창출"
[이코노믹데일리] 호세 무뇨스 현대자동차 대표가 지정학적 불확실성 속 새로운 기회 창출을 강조했다. 현대차가 20일 서울 서초구 엘타워에서 주주총회를 진행한 가운데 재무제표 승인의 건, 이사 선임의 건, 감사위원회 위원 선임의 건 등이 논의됐다. 이날 호세 대표는 주주총회 인사말을 통해 주주들에게 현대차의 현재 상황과 향후 계획을 면밀히 설명했다. 그중 가장 먼저 강조한 부분은 권역별 최적화 전략이다. 이를 통해 시장 점유율을 확대하고 수익성을 제고하겠다고 말했다. 트럼프 2기 행정부 관세 정책의 대응 방안으로 미국에서는 조지아주 공장 가동으로 전기차(EV) 판매 확대 계획을 공개했다. 또 혼류 생산 시스템을 구축해 하이브리드(HEV) 모델도 추가 생산할 계획이라 전했다. 아울러 126억 달러를 투자해 파트너사와 신공장 및 2개의 배터리 합작 공장을 건립할 것이라 밝혔다. 유럽시장에서는 전기차 신모델을 출시할 것이며 환경 규제에도 적극 대응할 계획이라 설명했다. 호세 대표는 중국 시장을 도전적인 시장이라 언급하며 "시장 수요에 맞춰 민첩하게 대응하고 있으며 빠른 시일 내 중국을 위한 전기차를 출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제품과 서비스의 경쟁력도 강조했다. 호세 대표는 "고품질, 안전 중심, 친환경 차량을 개발 및 제조하고 있으며, 제품 리더십 유지를 위해 많은 자원을 투자하고 있다"며 "고객이 원하는 기술이 탑재된 뛰어난 제품, 우수한 구매경험을 지속적으로 제공하고 '손님'을 귀하게 대하는 한국의 문화를 우리의 고객 서비스에 접목시켜 차별화된 고객 경험을 제공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새롭게 도입된 고객 서비스로는 미국 시장 내 아마존 오토스를 통한 자동차 거래를 꼽았다. 현대차는 아마존 오토스 내 완전한 엔드투엔드 (end-to-end) 거래를 제공하는 유일한 브랜드이기 때문이다. 신기술을 위한 파트너십 계획도 설명했다. 그는 "당사는 아마존, 웨이모, GM 등과 전략적 파트너십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며 "GM의 경우, 차량 개발, 공동 구매를 포함한 다양한 측면에서 협력하고 있으며, 웨이모의 경우 6세대 완전자율주행 기술인 ‘웨이모 드라이버’를 아이오닉5에 적용하고 이를 자율주행서비스 ‘웨이모 원’에 투입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마지막으로 조직 문화 최적화를 목표로 삼았다. 경쟁이 심화된 환경에서 신속한 대응과 혁신이 핵심 요소라는 점에서다.
2025-03-20 17:01:4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