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10.14 화요일
비
서울 15˚C
비
부산 18˚C
비
대구 17˚C
흐림
인천 15˚C
흐림
광주 21˚C
흐림
대전 21˚C
비
울산 18˚C
비
강릉 16˚C
흐림
제주 23˚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아이폰 17 에어'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2
건
'65세 퇴임설' 팀 쿡…애플 차기 후계 구도 주목
[이코노믹데일리]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CEO)가 곧 65세를 맞이하면서 애플이 후계자 물색에 나선 것으로 전해진다. 11일(현지시간) 블룸버그 등 현지 매체에 따르면 팀 쿡의 후임자로 존 터너스 하드웨어 엔지니어링 담당 수석 부사장이 주목받고 있다. 팀 쿡은 오는 11월 1일로 만 65살로 퇴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공식적인 은퇴나 사임은 언급된 적이 없지만, 애플은 앞으로 있을 승계를 위해 막후에서 준비 작업을 하고 있다. 지난 2011년부터 애플을 이끌어온 팀 쿡은 재임기간 애플페이와 애플TV 등 제품 다각화와 매출 성장을 달성했다. 그러나 생성형 인공지능(AI)과 같은 신기술 개척에는 실패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차기 대표 후보로 거론되는 존 터너스는 올해 만 50살로, 애플 경영진 가운데 가장 젊은 편이다. 애플에서 20년 이상 근무하며 2021년 수석 부사장으로 승진했다. 애플의 첫 슬림폰 모델 ‘아이폰 17 에어’ 발표를 주도했다. 아울러 56세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 수석 부사장인 크레이그 페더리기와 월드와이드 마케팅 수석 부사장인 62세 그렉 조스위악도 가능한 후계자로 거론된다. 2009년부터 애플에 재직한 페더리기는 행사에서 제품을 발표하는 등 홍보에 앞장서며 잘 알려져 있다. 1987년부터 애플과 함께해온 조스위악은 아이패드와 아이폰 출시를 지휘했다.
2025-10-12 17:12:10
애플 아이폰 17, 9월 공개 전망…초슬림 '에어' 모델 추가, '전면 재설계'
[이코노믹데일리] 애플이 오는 9월 공개할 아이폰 17 시리즈가 단순한 성능 개선을 넘어 라인업과 디자인, 핵심 칩셋까지 전면 개편될 전망이다. 기존 ‘플러스’ 모델이 사라지고 초슬림 디자인의 ‘에어’ 모델이 새롭게 추가되며, ‘애플 인텔리전스’ 시대를 위한 하드웨어 기반을 다지는 대대적인 변화가 예고됐다. 13일(현지시간) 블룸버그 등 외신에 따르면 애플은 9월 9일 또는 10일 신제품 공개 행사를 열 가능성이 높다. 이번 시리즈의 가장 큰 변화는 ‘플러스’ 모델을 대체하는 ‘아이폰 17 에어’의 등장이다. 에어 모델은 6.7인치 대화면을 유지하면서도 초박형 디자인을 구현해 일반 모델과 프로 라인업 사이의 새로운 수요층을 공략한다. 후면에는 단일 48MP 와이드 카메라만을 탑재한다. 성능의 핵심인 프로세서는 TSMC 3나노(N3P) 공정 기반의 A19(일반·에어)와 A19 Pro(프로·프로맥스)로 나뉜다. 이는 온디바이스 AI 성능을 전면 강화하기 위한 조치다. 메모리(RAM) 역시 기본 모델 8GB, 에어·프로·프로맥스는 12GB로 상향 탑재돼 ‘애플 인텔리전스’의 본격적인 구동을 준비한다. 프로 라인업의 카메라는 광각, 초광각, 망원 모두 48MP 센서로 통일되며, 디자인 역시 기존 사각형 모듈에서 벗어날 전망이다. 디스플레이 크기도 전반적으로 커진다. 기본형과 프로는 6.3인치, 프로 맥스는 역대 최대인 6.9인치 화면을 갖춘다. 특히 프로 맥스 모델은 애플 역사상 처음으로 5000mAh 용량의 배터리를 탑재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함께 애플은 보급형 시장 전략도 수정해 기존 3년 주기의 SE 라인을 대체하는 ‘e 시리즈’를 매년 출시하며 시장 지배력을 강화할 방침이다.
2025-07-14 11:01:44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美 인텔, 경영 정상화 행보…첨단 18A 공정 가동 발표
2
중국, AI·반도체 관련 '희토류 기술·수출규제' 강화
3
3분기 국내 시총 331조↑...삼성전자·SK하이닉스가 증시 견인
4
글로벌 불확실성 속 금값 랠리…KRX금현물 ETF '주목'
5
[2025국감] 과방위 국감 13일 시작…'역대급' 과방위 국감, '해킹·갑질' 정조준
6
최태원 SK그룹 회장 '이중고'…1조4000억 이혼소송·자사주 소각 의무화
7
'전세대란 재현 조짐'…대출 규제·공급부족에 월세까지 폭등
8
美 이어 EU도 '철강 장벽'…기로에 선 한국 수출 구조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데스크 칼럼] 추석 상차림보다 비싼 '분양가 상차림'... 건설사들의 이중적 행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