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04.08 화요일
맑음
서울 13˚C
맑음
부산 15˚C
맑음
대구 14˚C
맑음
인천 8˚C
흐림
광주 9˚C
구름
대전 11˚C
구름
울산 11˚C
맑음
강릉 11˚C
흐림
제주 13˚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양회'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2
건
中, 작년 정부지출 목표 미달…공공지출 증가율 1% 미만
[이코노믹데일리] 내수·부동산시장 침체 속에 정부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는 중국이 지난해 재정 지출 목표를 달성하지 못했다고 블룸버그통신이 25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중국 재정부에 따르면 작년 중국 정부의 총 지출액은 38조6000억 위안(약 7617조7000억원)으로 3월 양회(전국인민대표대회와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를 통해 책정한 예산보다 5% 적었다. 블룸버그는 "민간 투자와 소비 수요가 부진하기 때문에 공공 지출 확대는 중국 경제 회복의 핵심"이라며 "하지만 지방 정부들은 줄어든 토지(사용권) 판매 수입과 부채 리스크를 억제하려는 중앙 정부의 대출 규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짚었다. 실제 지난해 중국 중앙·지방정부는 인프라 투자부터 공무원 봉급까지 아우르는 주요 지출을 통틀어 2023년 대비 1% 미만의 증가율을 기록했다. 신규 주택 건설이 수년째 감소하면서 토지 수요가 줄고 어려움을 겪는 기업들의 세금을 감면해주던 지방 정부는 토지 수입 감소로 재정 지출 역량이 줄어든 영향이다. 블룸버그는 중국 데이터를 바탕으로 작년 재정 수입이 28조2000억 위안(약 5565조3000억원)으로 10조4000억 위안(약 2052조4000억원·중국 GDP의 7.7%) 적자가 났다고 추산했다.
2025-01-26 18:02:51
성신양회·포스코이앤씨·동산콘크리트, 친환경 인공어초 기술 개발
[이코노믹데일리] 성신양회와 포스코이앤씨, 동산콘크리트산업이 친환경 인공어초 상용화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번에 개발된 탄소저감형 인공어초는 자원의 재순환과 탄소저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 해양생물의 서식에 최적화된 정밀한 구조물을 제작해 기존의 인공어초 제작 방식에서 한 단계 진보한 기술을 선보였다. 성신양회 포스코이앤씨는 기존 제품 대비 시멘트의 슬래그 치환율을 최대 70%로 높여 자재부문의 탄소배출 저감에 기여할 수 있는 3D 프린팅용 3종 슬래그 시멘트(PosMent-Max)를 선보였다. 동산콘크리트산업은 3D 프린팅 기술로 정밀한 맞춤형 인공어초 구조물을 제작할 수 있는 방안을 구현했다. 3D 프린팅을 통하여 다양한 해양 생물 서식에 최적화된 복잡하고 정교한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맞춤형 인공어초 제작이 가능하고, 기존 방식에 비해 에너지를 절감하면서도 제작 시간과 비용을 절감하여 경제적인 장점을 확보했을 뿐만 아니라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여 자원 순환을 극대화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이 기술을 통해 해양 생태계 복원뿐만 아니라 육상 생태 복원과 하천 개선 등 다양한 프로젝트에서 맞춤형 구조물을 제작할 수 있는 기술적 가능성을 열었다는 평가다. 연구개발 관계자는 "순환 자원의 재활용 기술은 탄소중립 친환경 사회로 전환하는데 필수적인 기술로, 지속 가능한 소재 기술을 통해 사회적 만족도를 높여갈 것"이라며 "이번에 도입한 3D 프린팅 인공어초 제조 기술이 에너지 비용절감과 비정형 구조물의 창의적 설계 구현이 가능해 미래 건설 환경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2025-01-23 13:30:00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배터리는 재활용하는데, 석유화학 제품은 매립지로…엇갈리는 업계 행보
2
태영건설, 순이익 431억원 기록... PF 구조조정은 여전히 부담
3
국내 4대 그룹, '피지컬 AI'로 간다…로봇 투자 전면전 돌입
4
LG화학, 수익성 악화로 배터리 분리막 사업 구조조정 돌입 전망
5
네이버 쇼핑앱, 출시 첫 달 신규 설치 1위… '테무' 제쳤다
6
키움증권, 개장 직후 MTS 거래 지연…이틀째 시스템 장애
7
트럼프발 '관세 태풍'에…울고 웃는 韓 화장품·의류 OEM·ODM 기업들
8
마비노기 모바일, 차트 역주행 성공… '협력·생활형 콘텐츠' 통했다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데스크칼럼] 공매도 재개 이후 외국인 투자자들의 대거 이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