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총 201건
-
-
-
-
-
-
-
-
-
-
-
-
-
'2025 서울카페쇼', 커피 산업 트렌드 이끄는 주요 브랜드 대거 참여
[이코노믹데일리] 세계 최대 규모의 커피 산업 전문 전시회인 ‘제24회 서울카페쇼’가 오는 19일부터 22일까지 서울 코엑스 전관에서 열린다. 올해 전시회에는 네이버페이, LG전자, 씨알케이(CRK), 흥국F&B, 페이앤스토어 등 커피 산업을 대표하는 국내외 주요 브랜드가 대거 참가해 업계 트렌드를 선도할 전망이다. 서울카페쇼는 매년 10만명 이상의 관람객이 찾는 아시아 최대 커피 산업 전시회로, 올해는 ‘지속가능한 커피 산업의 미래’를 주제로 열린다. 6일 서울카페쇼에 따르면 공식 스폰서로 참여하는 네이버페이(N Pay)는 결제 단말기 시스템을 지원해 전시장 내 결제 편의성을 높였으며, LG전자는 카페쇼 ESG 캠페인의 일환으로 공식 텀블러 세척기를 후원해 친환경 실천에 나선다. 특히 C홀의 ‘커피앨리(Coffee Alley)’에서는 스페셜티 커피 브랜드들이 참여해 수준 높은 커피 문화를 체험할 수 있다. 호주 유명 카페에서 70% 이상이 사용하는 식물성 대체 유제품 브랜드 ‘더 얼터네이티브 데어리(The Alternative Dairy)’와 향미 손실을 최소화하는 고급 필터 브랜드 ‘파라곤 필터(Paragon Filter)’가 협업한다. 또한 씨알케이(CRK), 흥국F&B, 페이앤스토어 등 카페 산업 전반을 아우르는 기업들이 참여해 협업과 상생의 가능성을 모색한다. 냉장·냉동 설비 분야의 선두주자 씨알케이는 쇼케이스, 업소용 냉장고, 제빙기 등 카페 운영 효율화를 위한 설비를 전시하며, 흥국F&B는 커피·디저트 시장용 시럽, 베이스, 과일 농축액 등을 선보인다. 특히 북미 시장에서 각광받는 ‘홀랜더 초콜릿(Hollander Chocolate)’은 프리미엄 초콜릿 음료 라인을 공개해 카페 메뉴 트렌드의 다양화를 제시한다. 이번 전시에서는 혁신성과 디자인, 지속가능성을 갖춘 브랜드를 선정하는 ‘카페쇼 엑설런스 어워드(Cafe Show Excellence Awards)’도 함께 열린다. 선정된 제품은 코엑스 로비 중앙에 마련된 ‘체리스초이스 60선’과 함께 전시돼 관람객들이 직접 확인할 수 있다. 서울카페쇼는 전시관을 카페 산업의 전 과정을 아우르는 구조로 구성했다. A홀에서는 장비·설비, 원부재료, 베이커리 등 창업과 운영을 위한 솔루션을, B홀에서는 차(Tea), 음료, 인테리어, 매장 설비 등 운영 관련 아이템을, C홀에서는 생두, 로스터기, 그라인더, 커피머신 등 제조 중심 전시를, D홀에서는 세계 프리미엄 브랜드와 하이엔드 머신이 모인 ‘프리미엄 브랜드 큐레이션 존’을 선보인다. 서울카페쇼 관계자는 “올해 행사는 단순히 커피 산업에 국한되지 않고, F&B와 라이프스타일 전반으로 확장되는 트렌드를 보여줄 것”이라며 “국내외 브랜드들이 제시하는 커피 산업의 새로운 가능성을 직접 체험해 보길 바란다”고 밝혔다. 서울카페쇼 공식 홈페이지와 네이버에서 예매할 수 있으며 현장 티켓 구매도 가능하다.
2025-11-06 08:29:10
-
네이버, '단25'서 AI 전략 총망라…최수연 대표, 'AI 에이전트' 청사진 직접 밝힌다
[이코노믹데일리] 사상 첫 분기 매출 3조원 돌파라는 '역대급 실적'을 달성한 네이버가 인공지능(AI) 시대를 향한 본격적인 항해에 나선다. 네이버는 6일과 7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연례 기술·전략 콘퍼런스 '단25(DAN25)'에서 최수연 대표를 필두로 한 핵심 경영진이 총출동해 'AI 에이전트'와 '피지컬 AI'를 양대 축으로 하는 미래 전략을 총망라해 공개한다. 특히 내년부터 AI 칩에만 1조 원 이상을 쏟아붓겠다는 '통 큰' 투자 계획을 밝힌 만큼 이번 행사에서 그 구체적인 청사진과 실체가 드러날지에 업계의 모든 시선이 집중되고 있다. 콘퍼런스의 포문은 최수연 대표가 직접 연다. 최 대표는 첫 번째 기조연설을 통해 AI 시대에 맞춰 진화하는 네이버의 'AI 에이전트' 전략을 발표한다. 이는 단순히 검색이나 쇼핑 같은 개별 서비스를 넘어 이용자의 일상과 비즈니스, 산업, 공공 영역까지 아우르는 '통합 AI 에이전트'의 비전을 제시할 것으로 보인다. 최 대표는 전날 실적발표 컨퍼런스콜에서 "내년 봄 쇼핑 AI 에이전트 출시를 시작으로 생성형 검색 경험을 전면적으로 제공하는 AI 탭, 통합 AI 에이전트까지 순차적으로 선보일 계획"이라며 "수익화에 긍정적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혀 이번 발표가 단순한 기술 과시가 아닌 구체적인 사업 전략과 맞닿아 있음을 시사했다. 이어 김범준 최고운영책임자(COO),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 등 핵심 경영진이 연이어 무대에 올라 각 사업 부문별 AI 고도화 전략을 상세히 공유한다. 특히 김유원 대표는 지난달 "한국의 산업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버티컬 AI 에이전트를 준비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어 현대차, HD현대, 한화 등 주요 파트나서들과 협력 중인 산업 특화 AI의 구체적인 모습이 공개될지 주목된다. 올해 '단25'의 백미는 단연 '피지컬 AI'가 될 전망이다. 네이버는 최근 엔비디아와 손잡고 산업용 피지컬 AI 플랫폼 공동 개발을 선언한 바 있다. 이번 행사에서는 그 첫 결과물로 MIT, 카이스트와 공동 개발한 휴머노이드 로봇이 공개될 가능성이 높게 점쳐진다. 이는 네이버의 AI 기술이 온라인을 넘어 로봇과 자율주행 등 현실 세계로 확장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장면이 될 것이다. 네이버는 전시 공간인 '그라운드' 프로그램을 통해 AI 기술을 직접 체험할 수 있는 기회도 마련한다. AI 기반의 네이버플러스 스토어, 지도, 파파고 등 자사 서비스는 물론 삼성전자, 현대차그룹, 스포티파이 등 파트너사들의 기술도 함께 전시될 예정이다. AI로 현재의 수익성을 증명하고 미래의 성장판을 열겠다는 네이버의 야심이 '단25'를 통해 베일을 벗는다. 'AI 에이전트'와 '피지컬 AI'라는 두 개의 날개를 단 네이버가 글로벌 빅테크들과의 경쟁에서 어떤 차별화된 모습을 보여줄지 그 결과에 따라 국내 IT 산업의 미래 지형도 또한 크게 달라질 전망이다.
2025-11-06 07:52: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