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총 5건
-
-
-
삼성전자 가전 제품의 핵심...DX부문 한 눈에 '쏙' 알아보기
삼성전자가 중국 최대 가전 전시회 'AWE2025'에 참가해 '비스포크 AI 패밀리허브' 냉장고 등 다양한 비스포크 AI가전을 전시한다. [사진=삼성전자] [이코노믹데일리] ※김지영의 '電'代未聞 코너에서는 그동안 헷갈리셨을만한, 또는 한주간 이슈가 됐던 '전'자에 '대'한 '미'더운 소식을 '문'제 없이 알려드리겠습니다. 전자 관련 궁금증을 해소하고 가세요! <편집자주> 삼성전자의 핵심 사업 중 하나는 DX(디바이스 경험) 부문이다. DX 부문은 모바일경험(MX)사업부, 영상디스플레이(VD)사업부, 생활가전(DA)사업부 등으로 구성돼 있다. MX 사업부에서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웨어러블 기기를 생산하며 VD 사업부에서는 TV와 모니터를, DA 사업부에서는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등 가전 제품을 생산한다. DX 부문은 지난 2021년 조직 개편을 통해 출범했으며 기존의 CE(소비자 가전)와 IM(IT·모바일 커뮤니케이션) 부문을 통합한 것이다. 삼성전자에 따르면 지난해 DX 부문은 매출 174조8877억원으로 전년 대비 3% 증가했다고 공시했다. 다만 4분기 매출은 40조5000억원으로 지난 분기 대비 10% 감소했는데 스마트폰 신모델 출시 효과 감소 때문인 것으로 파악됐다. 하지만 지난해 DX 부문 매출액은 삼성전자 전체 매출 중 58.1%를 차지했는데 절반 이상의 비중을 지닌 만큼 삼성전자의 주요 사업으로 분류된다. 실제로 지난해 각 제품별 매출은 TV·모니터는 30조9316억원, 스마트폰은 114조4249억원을 차지했다. 올해 삼성전자 DX 부문은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한 개인 맞춤형 가전 제품 개발을 통해 매출 증대를 꾀하고 있다. 박순철 삼성전자 최고재무책임자(CFO)는 지난해 4분기 실적발표 후 진행된 컨퍼런스 콜에서 "DX 부문은 갤럭시S25 및 기타 프리미엄 AI 제품군 판매 확대를 통해 실적 개선을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지난 1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세계 최대 가전 전시회 'CES 2025'에 참가한 삼성전자는 더 프레임 프로 TV, S95F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TV, 갤럭시 북 5 프로 360, AI 반려 로봇 볼리 등을 선보인 바 있다. 삼성전자는 지난 19일 경기도 수원시 수원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제56기 정기 주주총회에서 "스마트폰, TV 등 모든 제품군에 AI 기반 서비스를 강화할 방침"이라며 "삼성전자 자체 온디바이스 AI 기술을 개발하고 글로벌 빅테크와의 협력할 것”이라고 언급하기도 했다.
2025-03-22 07:45:00
-
-
가전부터 배터리까지··· 국내 기업들, 'CES 2025' 혁신상 휩쓸어
[이코노믹데일리] 내년 1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전자 전시회 CES 2025를 앞두고 국내 기업들이 제품과 기술력을 인정받아 가전부터 반도체, 배터리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상을 수상했다. CES 혁신상 수상 제품과 기술은 14일(현지시간) 미국소비자기술협회(CTA)가 발표했다. CTA는 매년 초 CES 개막에 앞서 출품목 가운데 가장 혁신적인 제품과 서비스를 선정해 혁신상을 준다. 삼성전자는 최고 혁신상 4개를 포함해 총 29개의 혁신상을 받았다고 15일 전했다. 영상디스플레이 16개, 생활가전 4개, 모바일 5개, 반도체 3개, 하만 1개 등이다. 영상디스플레이 부문에서는 업계에서 가장 혁신적인 제품이나 기술에 수여하는 최고 혁신상 3개를 받았고 2025년형 TV, 모니터 등 신제품과 서비스도 13개나 수상했다. 생활가전 부문에서는 냉장고에 보관된 식재료를 스마트하게 관리하는 'AI 비전 인사이드' 기능을 포함한 2025년형 가전 신제품과 서비스 등이 4개의 혁신상을 받았다. 'AI 비전 인사이드'는 냉장고에 넣고 빼는 식재료를 자동으로 인식하고 설정된 보관 기한이 임박했을 때 알림을 줘 효율적으로 식재료를 관리할 수 있는 기능이다. 모바일 부문에서는 프리미엄 사운드와 적응형 소음 제어 최적화가 적용된 '갤럭시 버즈3 프로'가 최고 혁신상의 영광을 안았고 '갤럭시 AI', '갤럭시 Z 폴드6', '갤럭시 탭 S10' 시리즈, '갤럭시 워치7' 역시 4개의 혁신상을 수상했다. 반도체 부문에서는 'LPDDR5X', '엑시노스 W1000'과 'ALoP' 등 이미지 센서 솔루션 총 3개 제품이 혁신상을 받았다. 하만 인터내셔널이 혁신상으로 수상한 'JBL 투어 프로3' 무선 이어폰은 파워풀하고 생생한 사운드 재생을 제공하는 듀얼 드라이버와 트루 어댑티브 노이즈 캔슬링 2.0이 적용됐다. LG전자는 3년 연속 최고 혁신상을 받은 올레드 TV를 포함해 총 24개 제품과 기술이 혁신상을 받았다. 인공지능(AI), 생활가전, 게이밍, 컴퓨터 하드웨어 등 다양한 부문에서 고루 상을 받으며 차별화된 혁신성과 기술력을 인정받았다는게 LG전자의 설명이다. 특히 LG 올레드 TV는 영상디스플레이와 화질 부문에서 최고 혁신상과 함께 총 6개의 혁신상을 싹쓸이했다. 3년 연속 최고 혁신상을 수상한 건 물론 지난 2013년 첫 출시 이후 한 해도 빠짐없이 13년 연속 CES 혁신상을 받는 대기록을 세웠다. LG전자 플랫폼 기반 서비스 사업의 핵심으로 꼽히는 독자 스마트 TV 플랫폼 ‘웹OS’, 생성형 AI를 탑재한 AI홈 허브 ‘LG 씽큐 온’도 혁신상을 받았다. 이동형 AI홈 허브인 'Q9'은 AI와 스마트홈 부문에서 혁신상을 받으며 2관왕을 차지했다. LG 울트라기어(UltraGear) 올레드 게이밍 모니터는 게이밍과 화질 부문에서 최고 혁신상과 함께 3개의 상을 가져왔다. 이 밖에도 초경량 프리미엄 AI PC ‘LG 그램 프로’, 별도 PC 연결 없이 볼 수 있는 ‘LG 마이뷰 스마트모니터’, 고화질 콘텐츠 작업에 최적화된 ‘LG 울트라파인 모니터’, 프리미엄 라이프스타일 프로젝터 ‘LG 시네빔’ 등도 혁신상을 받았다. LS일렉트릭과 LS전선이 공동 개발한 차세대 초전도 솔루션 ‘하이퍼그리드 NX’는 인간안보와 스마트시티 2개 부문에서 수상했다. 사진은 LS일렉트릭 초전도 전류제한기 [사진=LS일렉트릭] LS 일렉트릭과 LS전선이 공동 개발한 차세대 초전도 혁신 솔루션 ‘하이퍼그리드 NX’는 인간 안보와 스마트시티 2개 부문에서 혁신상을 받으며 기술력을 인정받았다. 하이퍼그리드 NX는 LS일렉트릭의 초전도 전류제한기와 LS전선의 초전도 케이블을 결합한 IDC(데이터센터) 전력 공급 시스템이다. 이번에 CES에 처음 참여하는 삼성SDI는 배터리 사업 부문별 대표 제품들 모두 수상하는 성과를 거뒀다. 배터리 브랜드 프라이맥스(PRiMX) 제품인 전기차 배터리, 에너지저장시스템(ESS)용 배터리, 원통형 배터리 등은 에너지 밀도 향상, 안전성 강화, 고출력 및 고속 충전 기술 등 고객 경험과 직결되는 성능 부분에서 높은 평가를 받아 혁신상을 수상했다. 'PRiMX680-EV'는 하이니켈 NCA(니켈, 코발트, 알루미늄) 양극재를 사용해 높은 에너지 밀도를 구현한 전기차용 각형 배터리로 혁신 설계와 공정 기술을 적용해 안전성과 성능을 동시에 잡은 제품으로 평가받고 있다. 전기차 배터리 모듈인 'PRiMX680 Module+'도 무선 통신 기술 적용으로 구조를 단순화해 생산 효율과 품질을 강화한 점이 좋은 점수를 받았다. ESS제품인 'SBB 1.5', 원통형 배터리 'PRiMX50U-Power' 등도 혁신상을 받았다.
2024-11-15 18:14:12